• Title/Summary/Keyword: 치주낭 깊이

Search Result 55,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Effects of Magnoliae Cortex and Zizyphi Fructus Extract Mixtures on the Progression of Experimental Periodontitis in Beagle Dogs (후박 및 대조 추출혼합물이 치주질환유발 성견의 치주질환억제에 미치는 효과)

  • Shin, Seung-Yun;Lee, Yong-Moo;Ku, Young;Rhyu, In-Chul;Han, Soo-Boo;Choi, Sang-Mook;Bae, Ki-Hwan;Chung, Chong-Pyoung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29 no.2
    • /
    • pp.289-297
    • /
    • 1999
  • 최근 생약 추출물의 항균, 항염효과에 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며 이를 이용한 치주질환의 예방 및 억제효과에 관한 연구들이진행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시험관 실험을 통하여 이미 밝혀진 후박 및 대조추출물의 치주질환 원인 균에 대한 항균, 항염효과를 성견에서 인위적으로 치주질환을 일으킨 후 실험 약제의 경구투여를 통하여 질환의 진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실험동물은 생후 18개월된 비글견 6마리를 이용하였다. 상악은 제2,3 소구치 및 제4소구치에 하악은 제2, 3, 4 소구치 및 제1 대구치를 실험대상 치아로 하였으며 교정용 철사와 봉합사를 이용하여 치경부주위에 결찰하여 인위적 치주질환을 일으켰다. 염증 유발 8주 후에 결찰을 풀고 실험동물을 아무 것도 투여하지 않은 군(음성대조군, 3마리), 후박 및 대조 추출혼합물 투여군(실험군, 3마리)으로 나누었다. 실험 시작 (-8주), 약제 투여 시작(0주), 투여 후 2, 4, 6, 8주째에 치태지수, 치은지수, Florida Probe를 이용한 치주낭깊이 및 치은열구액 등의 임상지수를 측정하였다. 염증유발 8주동안에 치태지수, 치은지수, 치주낭깊이, 치은열구액은 급속히 증가하였다. 결찰은 제거하고, 약제를 투여한 이후 실험군에서 치은지수, 치주낭깊이, 치은열구액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고 있었다. 실험군에서는 8주가 될때까지 임상지수 수치가 낮아지고 있었으며, 8주째에는 대부분의 지수에서 음성대조군과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양성대조군에서 비해서 실험군은 대부분의 경우에 임상지수가 나이지고 있었지만 6주 또는 8주째의 치은지수, 치주낭깊이 중 일부만을 제외하고는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이 연구결과 후박 및 대조 추출혼합물이 in vitro뿐만 아니라 in vivo 상태에서도 치주염의 치료 및 골재생의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와 같은 동물실험의 결과를 바탕으로 임상시험을 거쳐 향후 사람에게 유용한 치주염치료제로 개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 PDF

The effects of noncrystalline calcium phosphate glass on the healing of 1-wall intrabony defects in beagle dogs (비결정성 calcium phosphate가 성견의 1면 골내낭에서의 치주조직 재생에 미치는 영향)

  • Baik, Dong-Hoon;Hwang, Sung-Joon;Kim, Chang-Sung;Lee, Yong-Keun;Cho, Kyoo-Sung;Chai, Jung-Kiu;Kim, Chong-Kwan;Choi, Seong-Ho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34 no.1
    • /
    • pp.113-126
    • /
    • 2004
  • 연구목적 : 이번 실험의 목적은 외과적으로 형성된 성견의 1면 골내낭에 새롭게 제조된, Ca/P 비율이 0.6인 비결정성 calcium phosphate를 적용하였을 때 치주조직의 재생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6마리 성견의 양측 하악 제2소구치의 원심면, 제4소구치의 근섬면에 외과적으로 1면 골내낭을 형성하여 치은박리소파술을 시행한 부위를 대조군으로, calcium phosphate만을 이식한 부위를 실험 1군, calcium phosphate와 GTR을 동반한 부위를 실험 2군으로 설정하고 실험하여 술 후 8주에 치유결과를 조직학적으로 관찰하였다. 결론 : 1. 접합상피의 치근단 이동은 대조군에서 결손부 깊이의 30.90 ${\pm}$ 9.92%, 실험 1군에서 결손부 깊이의 24.08 ${\pm}$ 9.12%, 실험 2군에서 결손부 깊이의 38.68 ${\pm}$ 12.22%로 나타났으며 대조군과 실험 1,2군간에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다. 2. 결합조직 유착은 대조군에서 결손부 깊이의 36.38 ${\pm}$ 9.03%, 실험 1군에서 결손부 깊이의 26.96 ${\pm}$ 4.24%, 실험 2군에서 결손부 깊이의 27.87 ${\pm}$ 9.70%로 나타났으며 대조군과 실험 1,2군간에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다. 3. 신생백악질 형성은 대조군에서 결손부 깊이의 32.92 ${\pm}$ 10.51%, 실험 1군에서 결손부 깊이의 49.16 ${\pm}$ 12.70%, 실험 2군에서 결손부 깊이의 39.62 ${\pm}$ 12.14%로 나타났으며 대조군과 실험 1군간에 통계적 유의차가 있었다. 4. 신생골 형성은 대조군에서 결손부 깊이의 27.24 ${\pm}$ 7.49%, 실험 1군에서 결손부 깊이의 43.51 ${\pm}$ 13.34%, 실험 2군에서 결손부 깊이의 36.47 ${\pm}$ 15.11%로 나타났으며 대조군과 실험 1, 2군간에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볼 때, calcium phosphate glasses는 신생골 형성에는 통계적으로 유의차는 없었지만 상당히 증가된 양상을 보였고 신생백악질 형성에는 크게 기여함을 알수 있었다.

The effect of periodontal flap surgery on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 and Tissue inhibitors of matrix metalloproteinase-1 (TIMP-1) levels in gingival crevicular fluids of periodontitis patients (치주 수술이 치주염 환자의 치은 열구액 내의 MMPs와 TIMP-1에 미치는 영향)

  • Kim, Jhee-Hyun;Ko, Jea-Seung;Kim, Hyun-Man;Kim, Tae-Il;Seol, Yang-Jo;Lee, Yong-Moo;Ku, Young;Chung, Chong-Pyoung;Han, Soo-Boo;Rhyu, In-Chul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35 no.1
    • /
    • pp.123-132
    • /
    • 2005
  • 중등도 이상의 치주염 환자에서 치은 열구액내의 MMPs 및 TIMP-1 과 치주염과의 연관성을 규명하고, 치주 수술이 MMPs 및 TIMP-1의 정량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총 14명의 치주낭 깊이 6mm 이상의 중등도 이상의 치주 질환 이환자에서 치아를 선정하여, 치주낭 심도, 치은 지수(gingival index)를 측정하고, 치은의 조직학적 염증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해당 치아의 치주낭 연조직을 절취하여 H-E염색을 하고, 치은 절편에서 염증세포 침윤의 정도 및 분포를 비교하였다. Perio-paper를 이용하여 치은열구액을 얻고, pyrogen-free water에서 추출하였다. 채취한 치은 열구액에서 ELISA-kit를 이용하여 MMP-1, 8, 9, 13과 TIMP-1을 측정하여 수술 전과, 수술 후, 그리고 건강한 조직인 대조군을 비교하였으며, 통계처리는 Wilcoxon 검정을 사용하였다. 또한 MMPs 혹은 TIMP-1이 치주낭 심도나 치은지수등의 임상적 지표와 가지는 연관성을 Spearma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여 알아보았다. TIMP-1을 제외한 MMP-1, 8 ,9, 13 에서 수술 전보다 수술 후에 치은 열구액 내의 양이 현저하게 줄어든 것을 관찰할 수 있었으나, MMP-1(p=0.025), MMP-9(p=0.016) 와 MMP-13(p=0.009) 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성있는 차이를 보였다. 한편 MMP-9 (p=0.011) 나 MMP-13(p=0.026) 은 건강한 대조군과 수술 전 사이에도 유의성있는 차이를 보였다. 연조직의 조직학적 관찰을 통하여 치은지수의 임상적 신뢰도를 평가한 결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치주 치료 전의 치주낭 심도와 치은지수와의 관계나, 수술 전과 수술 후의 치주낭 심도등의 변화도 통계적으로 유의성있는 결과를 보였다. 하지만 치주낭 심도나 치은지수등의 임상적 지표는 MMPs나 TIMP의 정량과는 별다른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이 실험의 결과로 보아 MMP-1, MMP-9나 MMP-13을 치주 수술 전과 수술 후의 치주염의 심도 변화를 반영할 수 있는 지표로 생각할 수 있으며, 특히 MMP-9와 MMP-13가 치주염과 가지는 연관성은 크다고 할 수 있겠다.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tyle and Periodontal Health Status (생활습관과 치주건강상태의 관련성)

  • Ryu, Hae-Gyum;Lee, Jung-Hwa
    •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 /
    • v.13 no.4
    • /
    • pp.418-425
    • /
    • 2013
  • This study was investigated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for prevention of periodontal disease and maintenance through proper lifestyle by finding the relevance of periodontal health with lifestyle habits. Data were collected from total of 326 subjects in their forties and fifties by using questionnaire and examination of periodontal health status. Results were analyzed by using IBM SPSS Statistics 19.0. The smoking statu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o gingival index (p<0.01), pocket depth (p<0.001), and clinical attachment loss (p<0.001). Smoking amount per da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o gingival index (p<0.05), pocket depth (p<0.01), and clinical attachment loss (p<0.001). Duration of smoking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o gingival index (p<0.05), pocket depth (p<0.01), and clinical attachment loss (p<0.001). Drinking cycl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o gingival index (p<0.05), and clinical attachment loss (p<0.05). It is investigated that smoking (p<0.05) influence on clinical attachment loss. Dental care institute needs to make patients be aware of the fact that excessive smoking and drinking affect the periodontal health status for prevention of periodontal disease and maintenance of oral health. Therefore systematic educational programs to stop smoking and drinking should be prepared.

Clinical effect of combined treatment by subgingival curettage and $CO_2$ laser application (치은연하 소파술과 $CO_2$ 레이저의 병용시의 임상적 효과)

  • Lee, Sang-Heon;Jin, Mi-Sung;Im, Se-Ung;Kim, Chang-Sung;Choi, Seong-Ho;Kim, Chong-Kwan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34 no.2
    • /
    • pp.243-253
    • /
    • 2004
  • 최근의 레이저 기술의 발전은 치의화영역에서 많은 가능성을 제시해 주고 있으며, 레이저를 이용한 외과적 치료의 기전과 안전성은 많은 분야에서 입증되어 있다. 근래에는 치주학적 분야에도 레이저를 적용하려는 노력이 계속되어 왔으며, 치석의 제거나 치근면의 세균제거 등에서 효과를 제시한 연구들이 있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CO_2$ 레이저를 통상적 치은연하소파술과 병용하였을때의 임상적 효과를 임상 지수의 측정을 통하여 평가하는 것이다. 만성 중둥도-고도의 치주염으로 진단된 12명의 환자가 본 임상연구에 포함되었다. 한 환자에서 각각 2부위의 사분악을 선택하여 임의로 2가지 치료군에 다음과 같이 나누어 포함시켰다: 1) 치은연하 소파술만을 적용한 사분악을 대조군 2) 치은연하 소파술과 0.8W의 에너지 수준을 갖는 $CO_2$ 레이저를 병용하여 적용한 사분악을 Laser 군으로 포함하였다. 치주낭 탐침 깊이, 임상 부착 수준, 치은 퇴축 및 탐침시 출혈풍의 임상지수를 치료전과 술후 각각 1, 3, 6개월 경과시에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치주낭 탐침 깊이, 임상 부착 수준, 치은 퇴축 및 탐침시 출혈 등의 모든 측정한 임상지수에서 치료전 ${\cdot}$ 후를 비교하였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한 개선을 보였다. 그러나 실험군과 대조군간의 비교에서는 치주낭 탐침 깊이, 임상 부착 수준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탐침시 출혈은 술후 6개월시에 Laser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성있는 차이를 보이며 감소하였다(p<0.05). 결론적으로 $CO_2$ laser를 비외과적 치주 치료에 부가적으로 적용하였을 때 염증 감소에 기여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Histological Evaluation on the Biocompatibility and Degradation of Poly Lactic-co Glycolic Acid (PLGA)/Inorganic Filler Matrix in Surgically Created Intrabony 1-wall Defect in Beagle Dog. (비글견 1벽성 골내낭에서 Poly Lactic-co Glycolic Acid (PLGA)/Inorganic Filler Matrix의 생체 친화성 및 흡수성에 대한 조직학적 연구)

  • Lee, Jae-Youn;Kim, Chong-Kwan
    • The Journal of the Korean dental association
    • /
    • v.47 no.6
    • /
    • pp.364-372
    • /
    • 2009
  • 치주 질환으로 인하여 소실된 치주조직을 재생시키려는 여러 술식이 많이 연구되고있다. 그 중 bioactive factor의 적용은 치주조직의 재생에 있어서 우수한 치료법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이를 수용부에 적절히 적용하기 위한 운반체로 생체친화적인 중합체가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PLGA를 Inorganic filler에 혼합시킨 재료를 성견의 일벽성 골내낭에 적용하여 이 재료의 생체 친화성과 생체 흡수도를 보고자 하는 것이다. 5마리의 비글견에서 제 3 소구치를 모두 발치한 뒤, 8주간의 치유기간이 지나고 제 2 소구치 원심면과 제 4 소구치 근심면에 5mm 깊이, 4mm폭의 일벽성 골내낭을 형성하였다. 좌측 defect에는 PLGA/inorganic filler matrix를 이식하였고 우측에는 아무것도 이식하지 않은 대조군으로 나누어 술 후 8주에 희생하여 치유 결과를 조직학적으로 비교 관찰하였다. 조직학적 분석 결과, 모든 결손부에서 염증의 소견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치근흡수와 유착은 발견되지 않았다. 백악질과 치조골, 치주인대를 포함한 치주조직의 재생에 있어서 대조군, 실험군 간에 조직학적으로 치유양상에 있어 차이를 많이 보이지 않았으며 PLGA/inorganic filler matrix는 8주 내에 완전히 흡수되어 결합조직이나 신생골내에서 그 흔적을 발견할 수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PLGA/inorganic filler matrix는 생체친화성 및 생체흡수성이 우수한 재료로서 치주 조직의 재생 치료에 있어서 신체활성인자의 scaffold로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 PDF

Comparison of electric and manual toothbrushes on periodontal health in fixed orthodontic patients (고정식 교정환자에서 치주건강 유지에 대한 전동치솔의 효과)

  • Park, Seong-Joon;Lee, Ki-Heon;Hwang, Hyeon-Shik
    •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 /
    • v.35 no.4 s.111
    • /
    • pp.286-294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icacy of an electric toothbrush, with a specially designed orthodontic brush head, compared to a manual toothbrush on the periodontal health of patients with fixed orthodontic appliances Forty patien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the electric and the manual toothbrush groups, 1 month after attachment of fixed orthodontic appliances. Periodontal status was measured using a plaque index, a gingival index. a bleeding index, a pocket depth and a relative attachment loss, at baseline and after 3 months. 6 months, 9 mouths. and 12 mouths. The Braun Oral-B Plak Control with Ortho OD 15-1 brush head was used as the electric toothbrush while the Butler G.U.M 124 was given as the manual toothbrush. In the manual toothbrush group, the giugival and bleeding indices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ut the plaque index was significantly decreased (P<0.001) and pocket depth as well as relative attachment los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p<0.01). In the electric toothbrush group. the bleeding index, pocket depth and relative attachment loss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ut the plaque and gingival indic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p<0.001). In the case of the plaque. giugival and bleeding indices,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lectric and the manual toothbrush groups. On the contrary, in the case of pocket depth and relative attachment los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lectric and the manual toothbrush groups: an increase in the manual toothbrush groups unlike the electric toothbrush group which kept the same state (P<0.05)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n electric toothbrush is useful for orthodontic patients with fixed appliances.

Evaluation of Sonic Toothbrush on the Reduction of Clinical Parameters, Interleukin-1, MMP-8 and Periodontal Pathogens in Incipient to Moderate Periodontitis (초기 및 중등도 치주염에서 임상지수, Interleukin-1, MMP-8, 치주원인균 감소에 대한 전동칫솔의 효과)

  • Yoo, Ho-Sun;Chae, Gyung-Joon;Hong, Ji-Youn;Choi, Seong-Ho;Kim, Chong-Kwan
    • The Journal of the Korean dental association
    • /
    • v.46 no.12
    • /
    • pp.742-754
    • /
    • 2008
  • 이 연구의 목적은 초기 및 중등도 치주염 환자에서 전동칫솔을 사용할 경우 임상 지수의 향상 정도와 치주원인균의 정량적 감소 효과를 12주의 연구 기간 동안 평가하는 것이다. $25{\sim}55$세의 환자 80명을 대상으로 12주 동안 진행하였으며, 치태지수 0.5 이상, 치은지수 0.5 이상을 나타내는 대상에서 일반 칫솔 혹은 전동칫솔 ($Sonicare^{(R)}$ Elite, Philips Oral Healthcare Inc., Snoqualmie, Washington, USA) 사용 군을 임의로 선정하였다. 하루 2회, 매 회 2분 간 사용하고, 각 군의 칫솔 사용을 교육하였다. 임상지수는 치태지수 (PI; Silness & $L{\ddot{o}}e$), 치은지수 (GI; $L{\ddot{o}}e$ & Silness), 탐침 후 출혈 부위 (%), 치주낭 깊이 부착소실을 초진 1, 4, 12주에 측정하였다. Interleukin-1 (IL-1), MMP-8과 치은연하치태샘플에서 채취한 4 종류의 치주원인균 (Actinomyces visco년, Porphyromonas gingivalis, Streptococcus sanguis, Tannerella forsythensis)에 대한 16S rRNA test는 초진, 1주, 12주에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전동칫솔과 일반 칫솔 모두 임상지수의 유의한 감소가 나타났으며, 치은지수는 일반칫솔에 비해 전동칫솔에서 감소효과가 통계적으로 더 우수하게 나타났다 (p<0.001). 탐침 후 출혈의 감소는 전동칫솔에서 76.73%, 일반칫솔에서 44.57% 정도로 전동칫솔 군이 더 우수하게 나타났다. 치주낭 깊이 감소는 초진에 비해 전동칫솔 군에서 18.55%, 일반칫솔 군에서 14.81% 정도로 나타났으며, 초진과 비교하였을 때 부착수준의 향상 정도는 전동칫솔 25.24%, 일반 칫솔 16.94% 정도로 두 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p < 0.001). 두 군 모두 IL-1 beta, MMP-8 농도의 감소가 있었으며, 치주원인균 중 A.viscosus, P.gingivalis, T.forsythensis 역시 두 군 모두에서 초진에 비해 12주에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으나, S.sanguis는 전동칫솔 군에서만 12주에 유의한 감소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12주 간의 연구 기간 동안 초기 및 중등도 치주염 환자에서 소니케어 전동칫솔의 사용은 임상지수 및 치주 원인균 감소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개선 효과를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