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치주관리

검색결과 207건 처리시간 0.029초

치주검사와 설문조사를 통한 성인의 구강건강관리행태 및 식이행태와 치주질환과의 관련성 (Study on the relevance of dietary behavior and oral management by periodontal assessment and survey)

  • 문상은;홍선화;김희정;서가혜;박진아;이지연;정주영;최종임;박선미;박진아;한인화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949-961
    • /
    • 2020
  •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evance of dietary behavior and oral management for oral heath in adults to extend the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food intake in oral health an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oral health management. Methods: A survey and clinical assessment were conducted for 119 adults over 20 years of age. The chi-square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using SPSS Statistics 20.0. Results: Gingivitis was influenced less when ham and sausage in the sub-area of meat, fish, egg, and bean were consumed once a week rather than the cases when consumed rarely (3.47 times) or when consumed two times or more a week (7.87 times) (p<0.05). Periodontitis was influenced more in the groups of 30s and 40s age than in that of over 50 years of age (14.97 times, 7.73 times) and in the group without drinking experience than in group with that (4.17 times) (p<0.05). Conclusions: The results verified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food intake frequency and oral health in patients with periodontitis and gingivitis. Thus, it would be necessary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dietary behavior and oral health continuously.

다운증후군 성인환자의 완전구강회복을 위한 피개 의치와 고정성 보철물 적용치료 : 증례보고 (FIXED PROSTHESES AND OVERDENTURE TREATMENT OF A PATIENTS WITH DOWN SYNDROME: CASE REPORT)

  • 임경철;이재영;김영재;진보형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06-110
    • /
    • 2018
  • 이번 증례에서는 다수의 치아우식증과 치주질환이 있는 다운증후군 환자의 구강완전회복을 위해 수복치료 시 고려해야 할 부분에 대해 살펴보았다. 다운증후군 환자의 경우 포괄적인 보철치료를 받았다 할지라도 보호자 동반의 지속적 구강건강관리가 필요하며, 또한 치료 시 환자뿐만 아니라 보호자에게 치료와 관리방법에 대한 설명을 수행하는 것, 치료 전 구강건강상태와 구강관리습관, 전신 병력과 교육 여부도 보철치료의 성공적 예후에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된다. 결과적으로 다운증후군환자의 단순발치에서부터 치주치료, 보철치료 등 치과적 치료 적용 시 다양한 요인들을 파악하고, 보호자 환자와의 라포 형성, 경제적 상황에 맞는 치과치료 선택 등 올어라운드(all-around) 형태의 치료계획 수립이 성공적인 치과 치료를 가능하게하며, 나아가 환자의 삶의 질을 개선시키고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임프란트의 유지관리 (Implant Maintenance Care)

  • 정재연
    • 대한심미치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04-106
    • /
    • 1999
  • 최근 임플란트에 대한 관심이 날로 증가되는 추세이다. 기능적이나 심미적으로 다른 보철물의 단점을 보완해줄수 있기에 환자들의 만족도가 커지고 있다. 임프란트의 성공을 위해서는 적절한 환자의 선택, 치료계획, 정확한 수술 및 보철물제작과 치료후의 유지관리술식이 필수적이다. 그 중에서 치료후의 유지관리를 어떻게 하는가가 임프란트의 수명에 크게 영향을 미치므로 본 저자는 임프란트의 실패원인의 한가지로 implant와 치주질환의 관계를 간단히 살펴 보려한다.

  • PDF

50세 이상 폐경여성의 혈중 비타민 D 농도와 치면세마필요자율의 관련성 (Vitamin D Level in Blood of Menopausal Women over 50 and the Relation with the Proportion Requiring Dental Scaling)

  • 이선희;노상철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93-402
    • /
    • 2013
  •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5기 1차년도(2010) 원시 자료를 활용하여 비타민 D와 치주질환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주요변수의 결측 및 당뇨와 골다공증 유병자를 제외하고 최종 1,327명을 연구대상자로 PASW Statistic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전체(50세 이상) 대상자에서, 비타민 D와 치주질환의 관계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2. 폐경(양측난소절제술 포함) 여성에서, 비타민 D 결핍 그룹1 (<10)은 충분 그룹(${\geq}30$)에 비해서 치주질환에 걸릴 가능성이 6.66배 높게 나타났다(OR, 6.66; 95% CI, 1.004~44.19). 이상의 결과로 보아 비타민 D와 치주질환은 폐경여성(양측난소절제술 받은 여성 포함)에서 유의미한 음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확인된 바, 치주질환 예방 및 관리 시 이러한 점이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교합이 붕괴된 지적장애 환자의 국소의치 수복증례 (Full mouth rehabilitation of the intellectually disabled patient with collapsed bite using partial removable dental prosthesis: a case report)

  • 김민지;양홍서;박상원;임현필;윤귀덕;박찬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3권3호
    • /
    • pp.216-222
    • /
    • 2017
  • 지적장애는 정신 발육이 항구적으로 지체 되어 지적 능력의 발달이 불충분하고 불완전한 장애이며, 지적장애를 가지면 자신의 일을 처리하는 것과 사회생활에의 적응이 상당히 곤란하다. 그렇기 때문에 환자 스스로 구강상태를 위생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쉽지 않아 다발적 우식이 쉽게 관찰되며 치주질환 이환율이 높다. 본 증례의 환자는 지적장애 1급을 판정받은 33세 여환으로 치아 및 치주 건강이 좋지 않아 식사에 어려움이 있다는 주소로 내원하였다. 초진 구내 검사 시 환자는 치주염과 다발성 우식으로 수직고경이 감소되고 구치부 교합이 붕괴되어 있었다. 이를 가철성 국소의치 이용하여 교합을 재구성함으로써 심미적, 기능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만성 치주염에서 비외과적 또는 외과적 치주치료 후 유지관리기 동안 임상적 변화의 비교 (The comparison of clinical changes during maintenance phase after non-surgical or surgical therapy of chronic periodontitis)

  • 김지현;정현주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6권1호
    • /
    • pp.69-84
    • /
    • 2006
  • Reports on the comparison of clinical effect between non-surgical and surgical therapy, and the change of the clinical parameters during maintenance phase have been rarely presented in Korea. This study was to observe the clinical changes during maintenance phase of 6 months in patients with chronic periodontitis treated by non-surgical or surgical therapy in Department of Periodontic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Among the systemically healthy and non-smoking patients with moderate to severe chronic periodontitis, twenty eight patients (mean age: 47.5 years) treated by non-surgical therapy (scaling and root planning) and nineteen patients (mean age: 47.3 years) treated by surgical therapy (flap surgery)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periodontal supportive therapy including recall check and oral hygiene reinforcement was started as maintenance phase since 1 month of healing after treatment. Probing depth, gingival recession. clinical attachment level and tooth mobility were recorded at initial, baseline and 1, 2, 3 and 6 month of maintenance phase. The clinical parameters were compared between the non-surgical and surgical therapies using Student t-test and repeated measure ANOVA by initial probing depth and surfaces. Surgical therapy resulted in greater change in clinical parameters than non-surgical therapy. During the maintenance phase of 6 months, the clinical effects after treatment had been changed in different pattern according to initial probing depth and tooth surface. During maintenance phase, probing depth increased more and gingival recession increased less after surgical therapy, compared to non-surgical therapy. The sites of initial probing depth less than 3 mm lost more clinical attachment level, and the sites of initial probing depth more than 7 mm gained clinical attachment level during maintenance phase after non-surgical therapy, compared to surgical therapy. Non-surgical therapy resulted in greater reduction of tooth mobility than surgical therapy during maintenance phas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clinical effects of non-surgical or surgical therapy may be different and may change during the maintenance phase.

만성 치주염을 동반한 파킨슨병 환자의 전악 보철 수복 증례 (Full mouth rehabilitation for a Parkinson's diseases patient with chronic periodontitis: a case report)

  • 고은솔;김종진;백진;차현석;이주희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5권4호
    • /
    • pp.228-234
    • /
    • 2019
  • 파킨슨병은 떨림, 느려진 움직임, 근육의 경직, 자세 불안정성, 보행장애 등의 특징을 나타내는 신경변성 질환으로 도파민과 같은 신경전달 물질이 고갈되어 생긴다. 이러한 파킨슨병의 특성으로 인해 환자들은 협조적으로 치과 치료를 받는 것이 어렵다. 본 증례에서는 만성 치주염이 있는 47세의 파킨슨병 환자에게 고정성 보철 및 임플란트 식립을 통한 전악구강수복을 시행하였고 기능적, 심미적으로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손 조작능력의 저하와 같은 파킨슨병의 특성을 고려하여 짧은 간격의 주기적인 내원을 통한 관리가 필요할 것이다.

대사증후군 환자의 치주질환과 치아상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eriodontal Disease and Tooth Loss in Metabolic Syndrome Patient)

  • 강현주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445-456
    • /
    • 2015
  • 본 연구는 40세 이상 중 노년 남녀의 대사증후군과 치주질환, 상실치의 관련성을 조사하여 대사증후군과 구강질환의 효과적인 관리법을 모색하고자 국민건강영양조사 제5기(2010, 2012년) 자료를 이용하여 8,225명을 최종 분석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남자의 치주질환에 영향을 미치는 대사증후군 구성요소는 공복혈당으로 정상군에 비해서 비정상군에서 교차비가 1.27배(95% CI, 1.04~1.54) 높았다. 여자의 치주질환에 영향을 미치는 대사증후군 구성요소는 HDL 콜레스테롤, 복부비만으로 HDL 콜레스테롤이 정상군에 비해 비정상군에서 1.45배(95% CI, 1.22~1.72) 높았고, 복부비만이 정상군에 비해 비정상군에서 치주질환 교차비가 1.44배(95% CI, 1.17~1.77) 높았다. 대사증후군에 따른 치주질환 연관성은 정상군을 기준으로 위험군에서 여자의 치주질환 교차비가 1.55배(95% CI, 1.19~2.01) 높았고, 대사증후군에서 교차비가 2.25배(95% CI, 1.68~3.02) 유의하게 높았다. 여자의 상실치에 영향을 미치는 대사증후군 구성요소는 고혈압으로 혈압이 정상인 군에 비해 비정상군에서 상실치 교차비가 1.41배(95% CI, 1.10~1.82) 높았다. 여자의 대사증후군에 따른 상실치 연관성은 정상군을 기준으로 대사증후군에서 상실치 교차비가 1.48배(95% CI, 1.07~2.04)로 유의하게 높았다. 치주질환과 상실치는 대사증후군의 구성요소가 많아질수록, 위험군보다 대사증후군에서 더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 치주 예방관리 전·후 치주질환자의 P. gingivalis 세균 수 변화 (Changes in the number of P. gingivalis bacteria before and after professional periodontal prevention care in periodontal disease patients)

  • 진미영;유병철;권현숙
    • 대한치위생과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99-111
    • /
    • 2021
  •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the amount of P. gingivalis in saliva by professional preventive treatment of periodontal disease by dental hygienists. Methods: A total of 109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with informed consent. The control group (38 subjects) performed oral hygiene management individually. The periodontal treatment group (35 subjects) underwent root planning once every 3 weeks for a total of 4 times. The professional periodontal prevention group (36 subjects) underwent interdental cleaning and professional tooth brushing once every 3 weeks for a total of 4 times. Paired T test and analysis of variance were performed to compare the difference among the groups in the amount of P. gingivalis. Results: The copies of P. gingivalis in the professional periodontal prevention group decreased from 773.62±1,198.09 to 241.40±430.40 after treatment significantly. The control group decreased from 525.22±582.54 to 244.29±385.88 after treatment. The periodontal treatment group showed insignificant change of P. gingivalis. Conclusions: This study showed the professional periodontal prevention was more effective than periodontal treatment in decrease of P. gingivalis.

PHP INDEX에 따른 전문가 치주예방관리 환자의 치주질환 원인균 copy 수 변화 (The change of PHP index and copy numbers of periodontal bacteria in patients with professional periodontal prevention management)

  • 진미영;유병철
    • 대한치위생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55-164
    • /
    • 2022
  • Background: By regulating the factors that contribute to oral diseases in a healthy way, oral health can be maintained and prevented. Method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PHP index, oral health behavior, and clinical periodontal index of each group were calculated by frequency analysis, and a cross-analysis (χ2 test) was conducted to assess the homogeneity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ral health behavior, and clinical periodontal index of the study subjects. An Oral bacteriological examination was performed by gargling with saliva. Results: The expert periodontal prevention group showed a decrease in the copy number of periodontal disease causative bacteria, and A. actinomycetemcomitans, P. gingivalis, T. forsythus, andT. denticola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fore and after treatment (p=0.021). In the periodontal treatment group, A. actinomycetemcomitans, P. gingivalis, T. forsythus, andT. denticolaall showed a decrease in copy number,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s: This study showed professional periodontal prevention management had some effect on periodontal bacterial redu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