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치조점막

Search Result 38,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Isolated Congenital Alveolar Synechiae: Review of Literature and Case Report -A Case Report- (선천성 치조점막 유착에 대한 문헌고찰 및 증례보고 -증례보고-)

  • Kim, Soung-Min;Reddy, SG;Kim, Ji-Hyuck;Park, Young-Wook;Kwon, Kwang-Jun;Lee, Jong-Ho;Lee, Suk-Keun
    • Journal of The Korean Dental Society of Anesthesiology
    • /
    • v.7 no.1
    • /
    • pp.22-26
    • /
    • 2007
  • 상악과 하악이 선천적으로 붙어서 태어나는 선천성 유합증은 드문 선천성 기형으로 단순히 점막이 붙은 점막유합증에서 악골이 붙은 골유합증까지 다양하게 나타난다. 이중 상악골과 하악골의 골자체가 붙는 골유합증은 아주 드물어서 현재까지 26증례만 보고되고 있는데, 보고된 대부분의 증례는 편측에만 발생하는 불완전형으로 알려져 있다. 7세 된 여아환자가 인디아의 GSR 병원에 입이 벌어지지 않는다는 주소로 내원하였는데 환아의 턱은 완전히 움직이지 않았으며, 2-3 mm 정도 벌어지는 앞니부위에서는 2.5 cm 폭경의 3.0 mm 두께의 단단한 치조점막이 관찰되었다. 전기메스로 전방부의 부착성 섬유밴드를 잘라준 후 즉각적인 개구정도는 16 mm 정도까지 가능하여 구강으로의 기관삽관이 가능하였다. 삽관후 양쪽 후방부 협측점막의 두꺼운 밴드들을 모두 제거하여 개구량을 33 mm까지 증진시킨 후 수술을 종결하였다. 환아의 보호자에게 거즈 블록과 설압자를 이용하여 개구 연습을 능동적으로 시키도록 강조하여 교육하였으며 술후 16개월 경과시까지 특별한 합병증이나 개구량 감소는 관찰되지 않았다. 독립적으로 발생한 선천성 치조점막 유합증 환자에서 비정상적으로 커져있는 과두와 설골이 관찰되었는데, 설-하악 구조의 비정상적인 발육에 기인하여 지속적인 비정상적 운동으로 인한 이차적인 치은과 협점막의 섬유성 부착이 생긴 것으로 추측되었다. 이에 마취과와의 효율적인 협진으로 기관절개술 등의 부가적인 마취방법 없이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었다.

  • PDF

Identification of bacteria from the peri-implant sulcus of orthodontic mini-implants using 16S rDNA clone library (16S rDNA 클론 library 제작 및 핵산염기서열 결정을 통한 교정용 미니임플랜트 주위 열구의 세균 동정)

  • Lim, Sung-Hoon;Kim, Kwang-Won;Yoo, So-Young;Kook, Joong-Ki;Chang, Young-Il
    •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 /
    • v.36 no.4
    • /
    • pp.251-262
    • /
    • 2006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bacterial flora at the peri-implant sulcus of the orthodontic mini-implant placed in the alveolar mucosa with the bacterial flora at the adjacent healthy gingival sulcus. Methods: Two plaque samples from 7 patients were collected by inserting paper points into the sulcus between the mini-implant and ligature wire connected to the mini-implant head and inflamed alveolar mucosa, and from the gingival sulcus of a healthy tooth adjacent to the mini-implant. Results: Using 16S rDNA clone library, the 24 kinds of bacteria including Haemophilus aphrophilus, Sphingomonas species, Capnocytophaga species, Prevotella melaninogenica, Lachnospiraceae species, Porphyromonas species, Neisseria flava were identified only from the sulcus around the mini-implant. These bacteria constituted only 9.2% of total clones, and the bacteria identified from both the sulcus around mini-implants and the gingival sulcus constituted 80.4% of total clones. Of these bacteria, clones of Prevotella species, Atopobium rimae, Veillonella species, Streptococcus intermedius/constellatus, Streptococcus salivarius were more frequently isolated from the peri-implant sulcus.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a broad epidemiological study is needed to find causative bacteria which induce inflammation from the peri-implant sulcus.

Prosthetic rehabilitation of the edentulous patients using O-ring attachment:A clinical report (O-ring Attachment를 이용한 무치악환자의 보철수복증례)

  • Ahn, Jae-Jin;Jo, Byung-Woan;Ahn, Sang-Hun;Kim, Jong-Pil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 /
    • v.36 no.4
    • /
    • pp.581-586
    • /
    • 1998
  • A successful prosthesis is difficult to produce without using the implants in the severely resorbed alveolar ridges and maxillofacial defects. This report describes clinical experience of the overdenture using O-ring attachment. Clinical results have revealed successful application for the O-ring attachment in the two edentulous patients and a partial maxillectomy patient.

  • PDF

EXFOLIATIVE CYTOLOGISCHE UNTERSUCHUNGEN UBER DIE BEEINFLUSSUNG AM MUNDSCHLEIMHUAT DURCH METALL-UND KUNSTSTOFF(ZAHNARZTLICHE PROTHESE) (치과용금속,인공수지(각종의치)가 구강점막상피에 미치는 탈락세포학적 연구)

  • Kim, Yong-Gwan
    • The Journal of the Korean dental association
    • /
    • v.8 no.3
    • /
    • pp.279-282
    • /
    • 1970
  • 구강점막상피는 여러 가지의 외적 자극을 받게 되는데,특히 치과보철용재료인 금속,인공수지 등으로 조제된 총의치,국부의치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구강상피의 변화를 탈락세포의 각화상태를 관찰함으로서, 국소적인,기계적화학적인 자극이 점막상피에 어떤 영향을 미치며, 그것이 병적 진행 여부를 추구하였다. 이과 같이, 끼웠다 뺏다 하는 의치가 구강상피조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많은 학자들이 연구해 왔다. 그리고 그들 대부분의 학자들이 비고정의치의 기능적인 작용이 악골에도 크게 자극하지만,그 보다도 점막상피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게 한다고 했다. 본인은 이러한 것을 Pap.씨법에 의하여 구강탈락세포를 관찰함으로서, 의치에 의하여 구강점막상피가 정상적인 각화과정에 장해를 받고 있는 것을 인정하게 했다. 즉 의치에 의하여 피복되어 있는 상피(접착점막)에는 정상적인 각화현상을 볼 수 없고,다만 parakeratose 로 이행되는 것을 관찰하게 되었다. 이러한 상피의parakeratose 현상은 의치에 의한 물리적인 작용(교합압)도 그 이유의 하나이겠지만,의치를 조제하는 재료,즉 금속인공수지의 화학적인 자극에 의히여 상피각화과정에 장해를 주어,의치사용자의 구강상피가 parakeratose 과정을 취하는 것을 알게 하였다. 이러한 것은 또한 의치의 교합압을 가장 많이 받는 경구개와 하악치조돌기점막상피의 각화도가 타부위에 비하여 심한 것으로 보아서도 증명된다.

  • PDF

ERUPTING GUIDANCE OF IMPACTED MAXILLARY PERMANENT INCISOR WITH APICALLY REPOSITIONED FLAP (근단 변위 판막술을 이용한 상악 영구 절치의 맹출 유도)

  • Im, Ye-Jin;Kim, Young-Jin;Kim, Hyun-Jung;Nam, Soon-Hyun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 /
    • v.37 no.4
    • /
    • pp.512-518
    • /
    • 2010
  • The impaction of the maxillary permanent incisor is a common clinical problem and is mostly found at the "labial to the alveolar process." Surgical exposure and orthodontic treatment with fixed orthodontic appliances can be considered if normal eruption of the labillay impacted tooth is not expected. Surgical exposure of the impacted tooth, that is usually under the attached gingiva or is surrounded by alveolar bone through gingivectomy and removal of alveolar bone, may give a rise to complications such as diminution in the width of the attached gingiva, inflammation of the gingiva, and the loss of marginal alveolar bone. Therefore, closed eruption technique, which includes surgical exposure and orthodontic treatment with fixed orthodontic appliances followed by repositioning of surgical flap, is preferred. However, apically repositioned flap of the impacted tooth, which is beneath the movable submucosal area or is above the alveolar crestal area, can prevent unwanted exposures and facilitate successful tooth eruption. In this report, we described esthetic results of three patients with unerupted maxillary permanent incisor who were performed with an apically positioned flap without the loss of attached gingiva.

A Study on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Burning Mouth Syndrome (구강내 작열감 증후군의 임상적 특징에 관한 연구)

  • Jin-Woo Chung;Ki-Yong Hyun;Sung-Woo Lee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v.19 no.2
    • /
    • pp.7-23
    • /
    • 1994
  • 구강내 작열감 증후군은 객관적 징후없이 구강점막에 작열감을 나타내는 만성동통장애이다. 다양한 원인요소들이 제시되어 있지만, 이러한 요소들의 관련성에 대해서는 아직 분명하지 않은 실정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구강내 기능이상의 근본적이고 효과적인 치료를 위해서는 다양한 임상적 관찰과 원인요소의 분석등이 계속 연구 조사되어져야 할 것이다. 저자는 구강내 작열감 증후군의 증상을 호소하는 112명의 환자의 임상적 특징에 대해 조사하고자, 환자군과 대조군에 대해 구강내 작열감 증후군에 관한 설문조사 및 구강검사와 혈액학적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점도계를 사용하여 구강내 작열감 증후군 환자의 자극이 전타액의 점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환자의 심리적 요인을 파악하고자 간이정신진단검사를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구강내 작열감 증후군은 주로 페경기 전후의 여성에서 많이 나타났으며, 호발부위는 혀, 치주 및 치조점막, 구개, 협점막의 순이었다. 2. 구강내 작열감 증후군 환자에게서 대조군 비해 구강건조감, 미각 및 수면장애, 빈혈, 소화기 장애, 두통과 기타 다른 신체불편감의 호소 등이 더 많이 나타났다. 3. 혈액학적 검사결과, 구강내 작열감 증후군 환자중의 26%와 12%에서 각각 혈중 엽산농도와 철분농도의 저하를 나타냇다. 4. 자극시 분비된 전타액의 점도는 40대와 50대이상의 연령군에서 구강내 작열감 증후군 환자가 정상인에 비해 높았다.(p<0.01). 5. 구강내 작열감 증후군 환자군의 간이정신진단검사의 각 증상차원 및 전체지표의 T점수의 평균치는 정상범위내에 있었으며, 신체화(SOD)와 우울 (DEP)차원의 평균치가 가장 높았다.

  • PDF

Regeneration of total tissue using alveolar ridge augmentation with soft tissue substitute on periodontally compromised extraction sites: case report (치주질환 원인의 심한 골소실을 동반한 발치와에 대한 치조제 증강술과 연조직 대체제를 이용한 조직 재생 효과: 증례보고)

  • Yerim Oh;Jae-Kwan Lee;Heung-Sik Um;Beom-Seok Chang;Jong-bin Lee
    • Journal of Dental Rehabilitation and Applied Science
    • /
    • v.39 no.4
    • /
    • pp.276-284
    • /
    • 2023
  • After tooth extraction, alveolar bone is resorbed over time. Loss of alveolar bone and reduction of upper soft tissue poses difficulties in future implant placement and long-term survival of the implant. This case report focuses on increasing the soft and hard tissues at the implant placement site by using alveolar ridge augmentation and a xenogeneic collagen matrix as a soft tissue substitute in an extraction socket affected by periodontal disease. In each case, the width of the alveolar bone increased to 6 mm, 8 mm, and 4 mm, and regeneration of the interdental papilla around the implant was shown, as well as buccal keratinized gingiva of 4 mm, 6 mm, and 4 mm, respectively. Enlarged alveolar bone facilitates implant surgery, and interdental papillae and keratinized gingiva enable aesthetic prosthesis. This study performed alveolar ridge augmentation on patients with extraction sockets affected by periodontal disease and additionally used soft tissue substitutes to provide a better environment for implant placement and have positive effects for aesthetic and predictive implant surgery.

Maxillary complete denture and mandibular All-on-4 implant restoration considering maintenance: a case report (유지 관리를 고려한 상악 총의치와 하악 All-on-4 임플란트 보철 수복 증례)

  • Kim, So-Yeun;Kwon, Eun-Young;Jung, Kyoung-Hwa;Jeon, Hye-Mi;Kang, Eun-Sook;Yun, Mi-Jung
    • Journal of Dental Rehabilitation and Applied Science
    • /
    • v.35 no.1
    • /
    • pp.37-45
    • /
    • 2019
  • In the case of edentulous patients, the total amount of occlusal force is dispersed by the keratinized gingiva during mastication, in result, causing lower masticatory and chewing efficiency. In particular, the mandibular area has more side effects such as pain than the maxilla has. It gets worse when the patient has more absorption of alveolar bone, but the implant treatment is often interrupted due to the existence of the inferior alveolar nerve. In this case, a patient treated with the all-on-4 method by placing the implant in the anterior part of mandible and with the conventional complete denture for the maxilla has maintained without complications and was satisfied with the restoration both functionally and esthetical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