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치은 상피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5초

염증성 치은에서 superoxide dismutase isoform의 발현에 대한 연구 (Expression of Superoxide Dismutase Isoforms in Inflamed Gingiva)

  • 나혜진;김옥수;박병주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6권1호
    • /
    • pp.97-112
    • /
    • 2006
  • 유리 라디칼과 활성 산소종, 산화방지제 간의 불균형이 염증성 구강내 질환의 발생과 진행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고 최근에는 만성 염증성 치주질환에서도 산화에 의한 소실이 관찰되었다. 다양한 내적인 항산화 방어 기전 중 superoxide dismutase 가 $O_2$$H_2O_2$로 효과적으로 전환시킴으로써 활성산소종에 대한 일차적인 방어를 맡고 있다. 현재까지 인간에서 발견된 superoxide dismutase 는 cytoplasmic copper-zinc SOD와 mitochondrial manganase SOD, extracellular SOD의 3가지 아형이다. 이번 연구는 만성 치주질환을 가전 환자의 치주조직에서 효소 항산화제인 SOD의 발현정도를 알아봄으로써 질환조직 내의 산화자극 정도를 평가해 보고자하였다. 전남대학교 치주과에 내원한 33명의 만성 치주질환자와 20명 의 임상적으로 건강한 대상으로부터 조직을 얻어 Cu/Zn-SOD와 Mn-SOD, EC-SOD를 이용한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시행하였다. 임상적 소견과 조직학적 소견이 일치하지 않아 조직학적 소견을 기준으로 건강한 조직, 경도, 중등도, 중도 치주질환 조직으로 그룹을 나누고 완전한 상피와 결합조직을 가진 27개의 표본에 대한 분석을 시행하였다. 치주질환 조직에서 건강한 조직에 비해 Cu/Zn-SOD가 상피의 기저층과 상피에 근접한 결합조직에서 발현되고 Mn-SOD는 염증이 증가함에 따라 크게 상피의 과립증과 각화층, 그리고 상피에 근접한 결합조직에서 발현됨으로써 활성산소종이 치주조직 파괴에 관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세 아형 모두 혈관주위에서 발현되었고 특히 EC-SOD는 작은 모세혈관주위에서만 발현되었으나 염증에 의해 혈관벽이 두꺼워지고 혈관 수가 증가한 곳에서 뚜렷하게 염색되었다. 이번 연구는 염증성 치주조직내 증가된 SOD의 활성이 치주질환자의 산화자극 정도와 관련되어 있음을 시사하였다.

미성숙 영구치의 탈구성 외상 이후 계속된 치근 성장 (CONTINUED ROOT DEVELOPMENT AFTER AVULSION OF IMMATURE TEETH)

  • 이주은;김영진;김현정;남순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27-132
    • /
    • 2013
  • 외상에 의한 미성숙 영구치의 손상은 유치열에서 영구치열로 이환되는 8~10세경에 가장 빈발하며 전체 외상 환자의 높은 빈도를 차지한다. 외상에 대한 결과는 치아의 파절, 전위, 함입, 정출, 탈구 등의 경조직 손상 뿐 아니라 치수, 치주인대, Hertwig 상피 근초, 치조골, 치은 및 구강점막 등의 치아 인접조직의 손상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Hertwig 상피 근초는 외상성 손상에 취약하지만, 때때로 감염이나 외상에 의한 손상을 견디고 생활력을 유지하여 치근성장에 대한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보고된 바 있다. 본 증례에서는 외상에 의해 완전 탈구된 미성숙 영구치를 가진 두 명의 환자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첫 번째 환자의 경우 탈구된 상악 중절치를 재식하였고 두 번째 환자의 경우 탈구된 하악 중절치를 재식하지 않았다. 하지만 두 환자 모두에서 탈구된 치아의 치조와 부위에 분리된 치근의 계속적인 성장을 보이는 바 이를 보고하고자 하며, 나아가 계속적인 치근형성에 있어서 미성숙 치수 조직과 Hertwig 상피 근초의 생활력 보존이 결정적임을 알리고자 한다.

상피하결합조직 이식을 동반한 측방변위 판막술을 통한 의원성 치은퇴축 치료 증례보고 (Laterally positioned flap using subepithelial connective tissue graft for iatrogenic gingival recession treatment)

  • 이성조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2권4호
    • /
    • pp.330-337
    • /
    • 2016
  • 치은퇴축의 원인 중 하나인 의원성 치은퇴축은 교정치료 또는 근관치료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다. 이는 기능적, 심미적 문제뿐만 아니라 치료에 대한 만족도도 낮출 수 있다. 이를 위한 치료 방법으로 다양한 술식이 존재하나, 상피하결합조직 이식을 동반한 측방변위판막술은 각화치은량의 증대, 치유된 치은의 수여부 연조직과의 조화로운 형태 및 색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술 전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검사를 통한 예지성 있는 적절한 증례 선택을 필요로 하며 술식에 있어 적합한 양의 상피하결합조직 획득과 판막의 피개량을 고려해야 한다. 본 증례보고의 두 가지 다른 원인의 의원성 치은퇴축의 치료 결과를 살펴보았을 때, 상피하결합조직 이식을 동반한 측방변위판막술은 의원성 치은퇴축의 치료법으로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1년 이상의 추적관찰시 높은 예지성을 보였다.

Focal epithelial hyperplasia : 증례보고 (FOCAL EPITHELIAL HYPERPLASIA : A CASE REPORT)

  • 한유리;최형준;최병재;이종갑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581-585
    • /
    • 2002
  • Focal epithelial hyperplasia(FEH)는 구강편평상피의 국소적인 증식으로 사람유두종바이러스(Human papilloma virus)에 의해 유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보통 어린 나이에 호발하며 종종 젊은 성인에서 발생하기도 한다. 협,순측 및 설측 점막에 호발하지만 치은이나 혀의 병소(lesions of tongue)도 보고된 바 있다. 이 병소는 전형적으로 다발성인 부드럽고 촉진 시 압통이 없는 편평한 구진이나 반의 형태를 갖는다. 종종 유두상의 표면을 보이기도 한다. 각각의 병소는 비교적 작고 분리되어 있으며 잘 경계지어진다. FEH의 조직학적 특징은 구강 상피의 유극세포증(acanthosis)이다. 그 밖에 바이러스에 의한 세포병리학적 변화를 나타내는 구멍세포(koilocyte)나 유사분열상 세포(mitosoid cell)가 관찰되기도 한다. 본 증례의 5세 여자환아는 치은의 돌기성 병소를 주소로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하였다. 임상구강검사 결과 무경형의 유두상 구진(sessile papillary papules)이 상악 좌우측 제 2 유구치 협측 치은에서 관찰되었다. 촉진 시 동통은 없었다. 조직학적 검사를 위해 조직생검을 시행하였으며, 유극세포증이 관찰되었다. 이에 FEH로 진단되어 보고하는 바이다. FEH는 몇 달이나 몇 년 이내에 자발적으로 소멸하므로 일반적으로 치료는 불필요하다. 다만 진단적인 이유나 심미적인 이유로 보존적인 절제술을 시행하기도 한다. 이러한 치료 후 재발의 위험은 최소한이며, 악성 전이 가능성 역시 거의 없다.

  • PDF

더러브렛 망아지에서 발생한 골화성 치은종 (Ossifying Epulis in a Thoroughbred Foal)

  • 김준규;문성환;고규련;김재훈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59-162
    • /
    • 2014
  • 4개월령 더러브렛 암컷 망아지가 하악 치은의 큰 종괴로 인해 내원하였다. 증식된 종괴는 단단하고 황색 기미의 분홍색을 띠고, 하악 잇몸 전체에 분포하고 있었다. 암망아지는 종괴로 인해 입술을 다물 수 없었고, 방사선상 아래턱의 종괴 음영이 확인되었다. 종괴는 전신마취상태에서 외과적으로 제거되었다. 병리조직학적으로 잇몸 종괴는 증식된 잇몸 상피, 혈관이 발달한 교원성 기질 및 많은 골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와 같은 육안 및 병리조작학적 특징을 토대로 하악 잇몸에서 발생한 골화성 치은종으로 확진되었다. 본 증례는 한국에서 더러브렛 망아지에서 발생한 골화성 치은종의 첫 보고이다.

2형 당뇨병을 동반한 만성 치주염 환자의 치은조직에서 MMP-2, MMP-8의 발현 양상 비교 (MMP-2, MMP-8 Expression in gingival tissue of Chronic Periodontitis associated to Type 2 Diabetes Mellitus)

  • 강민구;차현정;송선희;박진우;서조영;이재목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5권3호
    • /
    • pp.661-674
    • /
    • 2005
  • 치주질환은 치주지지 조직의 상실로 특징 지워지는 감염성 질환으로, 지주조직의 세포외 기질(특히 교원질)이 주요 degradation target이 된다. 현재로서는 MMP family가 주역을 담당하고 있음이 밝혀졌는데, 구강 조직에서 가장 광범위하게 분포하는 것이 MMP-2, MMP-8 이다. 치주조직에서 MMP-2는 주로 결합조직내 섬유아세포와 육아조직에서, 발현되며 , basement membrane의 integrity와 접합상피 부착에 영향을 줄 수 있고, MMP-8은 neutrophils에서 발현되어 다양한 염증세포와 염증진행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치주질환에서 MMP-2, MMP-9의 발현 증가는 이미 치은 열구액을 분석한 여러 연구에서 보고 되어 그 발현 수준이 치주질환 진단의 좋은 indicator가 될 수 있음이 시사되었다. 치주질환에서 MMP-2, MMP-8의 발현이 증가하는 것은 주로 P. gingivalis, IL-1과 연계되어 그 기전이 추정되어 왔는데, 이는 2형 당뇨병이 치주 질환의 심도에 영향을 미치는 기전과 많은 부분을 공유한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2형 당뇨병 환자와 비당뇨자에서 만성 치주염 부위의 치은, 건강한 치은에서 염증 매개체 중 하나인 MMP-2, MMP-8의 발현에 대해 비교 분석함으로써 염증, 혈당이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2형 당뇨환자의 만성치주염 치은조직에서 치주조직 파괴의 기전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경북대 병원 치주과 내원 환자중 2형 당뇨병 환자와 비당뇨 환자를 대상으로 여러 가지 환자요소, 임상 치주 상태를 기록하고, 비당뇨 환자의 만성 치주염 부위(n=8, group 1), 비당뇨 환자의 건강한 부위(n=8, group 2), 2형 당뇨병 환자의 만성 치주염 부위(n=8, group 3)에서 각각 변연 치은을 채득하고, 액화 질소에 급속 동결하였다. Western blotting을 이용하여 각 조직 내 MMP-2, MMP-8의 발현을 관찰, densitometer를 이용하여, 상대적 발현을 정량, 각 조직의 ${\beta}-actin$을 이용하여 표준화하여여 실험군들과 대조군들의 평균치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정상군에 비해 치주 환자군에서 채득된 시편에서 MMP-2, MMP-8의 발현이 증가하였으며, 염증군의 당뇨군과 비당뇨군 사이에서는 2형 당뇨병을 동반한 치주 환자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지만,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P<0.05).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2형 당뇨병을 동반한 치주 환자군의 치은 조직에서 정상군과 비당뇨 치주 환자군보다 MMP-2, MMP-8의 발현이 다소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감압술을 이용한 치근단 낭의 처치 (TREATMENT OF RADICULAR CYST USING DECOMPRESSION)

  • 김남혁;최병재;이제호;손흥규;김성오;최형준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275-280
    • /
    • 2009
  • 치근단 낭은 염증 등에 의한 자극으로 치수가 실활되어 치근단에 있는 상피로부터 형성되는 낭종으로 주된 기원은 말라세즈 상피판사이지만 치은열구 상피나 상악동 이장 상피 누공의 싱피에 의한 것도 보고 되었다. 구강악안면 영역에서 가장 흔히 발생되는 낭종의 하나이지만 유치열기에서의 발생 빈도는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악골 내의 치성 낭종든 크기가 커지면서 주위 조직의 파괴나 구조의 변형을 초래할 수 있으며 유치의 경우에서는 후속 영구치배의 변위를 유발할 수 있다. 이런 큰 크기의 치성 낭종을 외과적으로 제거하면 해부학적 구조의 손상 및 안모의 변형, 치아 흡수, 신경손상 등의 후유증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조대술이나 감압술 후 적출하는 술식이 권장되고 있다. 이 증례는 하악 우측 부위의 동통을 주소로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8세 남아로, 임상 및 방사선학적 검사 결과 치수치료 후 기성금속관의 수복을 시행한 하악 우측 제1유구치와 치근단 하방에 방사선투과성 병변과 견치와 제1소구치의 변위를 발견하였다. 병소가 있는 하악 우측 제1유구치를 발거하였고, 조직학적 검사에서 치근단 낭으로 진단되었다. 감압술 및 공간유지장치를 시행하고 병소의 크기 변화와 하악 우측 견치와 제1소구치의 맹출 양상을 정기적으로 관찰한 결과 양호한 치유 양상과 정상적인 맹출을 보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 PDF

백서 치주 골결손부에 calcium carbonate 이식 및 pulsed Nd:YAG 레이저에 의한 치은상피의 제거 후 접합상피의 치유양상 (A Study On The Junctional Epithelial Downgrowth After DeEpithelization Using Pulsed Nd : YAG Laser In Rat Peiodontal Bone Defect Filled With Calcium Carbonate)

  • 정철웅;정현주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6권1호
    • /
    • pp.276-292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whether removal of gingival epithelium with pulsed Nd :YAG laser could inhibit the downgrowth of junctional epithelium after alloplastic material grafting in periodontal bone defect. The periodontal bone defects were created surgically on the palatal aspect of the upper right and left molar teeth in 30 rats and filled with resorbable calcium carbonate($Biocoral\;450^{(R)}$: Inoteb, France). The control sites(right molar area) was sutured. The test side (left molar area) received controlled deepithelization of the oral and sulcular epithelium with pulsed Nd:YAG laser($Sunrise\;Maste^{(R)}$: Sunrise Technologies, U.S.A.) under the mode of 1.75W, 15Hz, 116mJ/pulse and was sutured. The control and test sites were evaluated clinically and histologically, at 1, 3, 7, 14, and 28 days postoperation. Clinically, the gingiva showed normal color and shape at the 5th day in the control site and at the 10th day in the test sites. Histologically, the junctional epithelium was formed at the 7th day in the control sites and at the 14th day in the test sites, and the long JE attachment were observed at the 28th day in both sites. The attachment of connective tissue to root surface was observed initially at the 7th day in the control sites and at the 14th day in the test sites, and completed at the 28th day in both sites. In summary,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removal of oral epithelium using pulsed Nd:YAG Laser could not prevent epithelial downgrowth after alloplastic material implantation in rat periodontal bone defect.

  • PDF

비염증성 치은증식증의 상피 및 상피하조직내 세포변화에 관한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AN IMMUNOHISTOCHEMICAL STUDY ON THE CELLULAR CHANGE IN EPITHELIUM AND SUBEPITHELIAL TISSUE OF NON-INFLAMMATORY GINGIVAL HYPERPLASIA)

  • 최영욱;한경윤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3권3호
    • /
    • pp.605-621
    • /
    • 1993
  • The gingival hyperplasia refers to an increase in the size of the gingival tissue produced by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its component cell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ellular change in epithelium and subepithelial tissue of noninflammatory gingival hyperplasia, the gingival tissues were surgically obtained from the patients with dilantin gingival hyperplasia and idiopathic gingival hyperplasia. The excised tissue samples were fixed in neutral formalin for 6-24 hours, embedded with paraffin, sectioned at $4-6{\mu}m$ in thickness, mounted on glass slides coated with 3-aminopropyltriethoxysilane(Sigma Chemical Co., St. Louis, MO, U.S.A.) and immunocytochemically processed by Avidin-Biotin peroxidase complex method for detecting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 tenascin and collagen type IV. Monoclonal mouse anti-human PCNA antibody(Oncogene Science, Uniondale, NY, U.S.A., 1 : 250,000), monoclonal mouse anti-human tenascin antibody(Chemicon-International Inc., Temecula, CA, U.S.A., 1:5,000), and monoclonal mouse anti-human collagen type IV(Dakopatts, Glostrup, Denmark, 1: 50) were used as primary antibodi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non-inflammatory gingival hyperplasia, the positive reaction to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 was localized in the basal cell layer of gingival epithelium and well-developed rete pegs. 2. The positive reaction to tenascin was shown in the connective tissue subjacent to basament membrane of gingival tissue, and especially strong positive reaction was noted in the tip portion of connective tissue projections. 3. The positive reaction to collagen type IV was localized along the basement membranes of gingival epithelium and blood vessels. The results suggest that connective tissue enlargement may affect the proliferation of gingival epithelium.

  • PDF

상악 구개부 치은에 발생한 편평상피세포암의 증례보고 (Squamous Cell Carcinoma In Palatal Gingiva. A Case Report)

  • 김옥수;정현주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6권1호
    • /
    • pp.309-316
    • /
    • 1996
  • Squamous cell carcinoma is the most common malignant tumor of the gingiva. Oral cancer accounts for 5 percent of all malignant tumors in the body, and 6 percent of these occur in the gingiva. We present one case of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gingiva in 23-year-old female. She complained of gingival swelling and pain during mastication between left maxillary first molar and second molar. Since she had received scaling 2 years ago, food impaction occurred frequently in this site and an ulcerative lesion recurred several times. When she was referred from local clinic, she had a large, irregularly ulcerated lesion of palatal gingiva between left maxillary first molar and second molar, accompanying induration in center and slight elevation around ulcerative margin. The etiology could not be defined but we could diagnose by careful history taking and excisional biopsy of the recurrent ulcerative lesion. In addition, computed tomography and nuclear medicine imaging were undertaken. As a result, we finally diagnosed as moderately differentiated squamous cell carcinoma without metastases. It is concluded that if ulcerations do not respond to therapy in the usual manner, it should be biopsed and histologically evaluated for the definitive diagnosis and treatm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