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치은지수

Search Result 45,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QUANTITATIVE DETECTION OF PERIODONTOPATHIC BACTERIA USING REAL-TIME PCR (Real-time PCR을 이용한 치주질환 원인균의 정량적 분석)

  • Kim, Seon-Mi;Yang, Kyu-Ho;Choi, Nam-Ki;Kang, Mi-Sun;Oh, Jong-Suk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 /
    • v.35 no.3
    • /
    • pp.494-503
    • /
    • 2008
  • Real-time PCR 기법을 이용하여 구강내 치태에서 특정 세균의 존재여부를 알 수 있을 뿐 아니라 정량적 분석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 연구는 real-time PCR 기법을 이용하여 8-18세의 청소년에서 치주질환 원인균의 조성을 알아보고자 전신질환이 없는 어린이 및 청소년 65명을 대상으로 치은연하의 치태를 채취하여 5종의 치주질환 원인균의 출현율과 그 양을 측정하고, 또한 함께 측정한 치태지수 및 치은지수와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치태지수의 평균은 1.33이었으며, 치은지수의 평균은 0.97이었다. 치태지수는 나이가 증가할수록 낮아졌다(p<0.05). 2. 치주질환 원인균의 출현율은 P. gingivalis 61.5%, T. forsythia 53.8%, T. denticola 29.2%, A. actinomycetemcomitans 15.4%, F. nucleatum은 100%였다. P. gingivalis, T. denticola는 10세 이후 출현율이 증가하였고 A. actinomycetemcomitans는 8-10세 군에서 출현율이 높았다(p<0.05). 3. 정량적 분석에서 치태지수와 치은지수는 F. nucleatum의 양과 유의한 상관성이 있었으며, 치태지수는 치은지수와 유의한 상관성이 있었다. T. forsythia는 A. actinomycetemcomitans, T. denticola양과 강한 상관성을 보였으며, T. denticola양과 A. actinomycetemcomitans도 강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 PDF

Assessment of Clinical Applicability of a New Plaque Scoring System Using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Digital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Digital을 이용한 치면세균막 검사법의 임상적 활용 가능성 평가)

  • Hwang, Hye-Rim;Cho, Young-Sik;Kim, Baek-Il
    •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 /
    • v.14 no.2
    • /
    • pp.150-157
    • /
    • 2014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a convenient method of monitoring the gingival state through plaque detection.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Digital (QLF-D), which can assess mature plaque, can be used to assess the oral hygiene status of individuals and to establish an adequate intervention plans for them. The subjects of the study participated in the clinical training at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N University. The subjects completed questionnaires o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oral hygiene methods. Then, photographs of maxillary and mandibular anterior teeth of the subjects were taken using the QLF-D. After the oral examinations, gingival state was recorded according to the $L{\ddot{o}}e$ & Silness's Gingival Index (GI). In addition, a plaque control record was calculated in percentage using disclosing agent. The analysis of the relation between the plaque control record and the QLF-D scores showed positive correlation (r=0.638, p<0.001), and the analysis of the relation between the QLF-D scores and the gingival bleeding index scores also showed positive correlation (r=0.562, p<0.001). Besides, the study classified the participants into healthy gingiva group and the gingivitis group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criteria of GI, and when the difference of QLF-D scores between the groups was analyzed, the QLF-D scor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2.785, p=0.007) in the gingivitis group ($1.71{\pm}1.545$) than the healthy gingiva group ($0.74{\pm}1.290$). When the differences in mean values of the QLF-D scores were analyzed against and the gingival bleeding index scores, the QLF-D scores of 0 and 1 belonged to the category of normal gingival state while the QLF-D scores of 2, 3 and 4 belonged to the category of gingivitis state. Therefore, it is deemed that the red fluorescence detected by the QLF-D from the mature supragingival plaque can be used for monitoring the state of gingivitis.

The Effect of Argon Laser on Periodontal Disease (치주질환에 대한 Argon 레이저의 효과)

  • Ahn, Hyung-Joon;Ryu, Ji-Won;Kim, Jae-Hong;Kim, Chong-Youl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v.30 no.2
    • /
    • pp.277-285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photothermal effect of laser, which eliminates and reduces bacteria causing periodontal disease, on treatment of periodontal disease. This study included subjects with moderate periodontitis who visited the Department of Oral Medicine, College of dentistry, Yonsei University.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experimental group, where Argon laser treatment was used, and control group, where conventional subgingival curettage was used. Gingival fluids from each subject were collected prior and after 1 week of the treatment, and changes in number of bacterial colonies cultured from aerobic as well as anaerobic bacteria responsible for the periodontal disease, and changes in clinical indices related to the periodontal disease, such as plaque index, gingival index, sulcus bleeding index, were analysed. As a result, the number of bacterial colonies of aerobic and anaerobic bacteria reduced after 1 week of the treatment in both groups, especially the bacterial colonies of anaerobic bacteria which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duction(p<0.1).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Clinical indices including plaque index, gingival index, sulcus bleeding index were reduced after 1 week of the treatment in both groups. In the experimental group, gingival index(p<0.1) and sulcus bleeding index(p<0.01) showed significant reduction, and, in the control group, sulcus bleeding index(p<0.01) showed significant reduction.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each indices between the two groups. The above results suggest that Argon laser could be used as a substitute of conventional subgingival curettage, or in combination with subgingival curettage which would increase the effect of the treatment. Although the possibility of clinical application of Argon laser was observed in this study, more randomized-controlled research, including acquirement of sufficient samples as well as long-termed follow up, would be necessary before clinically effective application of Argon laser.

THE EFFECTS OF TETRACYCLINE-CONTAINING GEL ON GINGIVAL CREVICULAR ENZYME ACTIVITY (치근활택술 및 테트라사이클린 젤의 부가적 사용시 치은 열구액내 효소활성도에 관한 연구)

  • Chang, Mee-Khyoung;Han, Soo-Boo;Kim, Kack-Kyun;Son, Seong-Heui;Shim, Chang-Koo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24 no.3
    • /
    • pp.443-457
    • /
    • 1994
  • 본 연구의 목적은 비외과적 치주치료시에 부가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개발한 테트라싸이클린 젤의 효과를 임상지수, 치은 열구액양 및 치은열구액내 효소활성도 측정을 통해 평가함에 있다. 치주낭 깊이가 4mm 이상 6mm이하인 구치가 편악당 적어도 2개 이상 존재하는 중등도 치주염에 이환된 환자 23명을 선택하여, 한 편악에서는 치근활택술 만을 시행하였고, 다른 한 편악에는 치근활택술 후 테트라싸이클린 젤을 치은연하로 주입한 뒤 치근면 처리하였다. 사용된 임상검사 지수는 치태지수, 치은지수, 치주낭 깊이, 치은부착 상실도 및 탐침시 출혈로, 각각 치료시작 전과 치료 후 4, 12주에 검사하였으며, 치은열구액내 효소활성도 검사를 위해 치은열구액을 치료시작 전과 치료 후 1, 2, 4, 12주에 각각 채취하고 치은열구액 양을 조사한 뒤 Lactate dehydrogenase(LDH)와 Beta-glucuronidase(BG)의 활성도를 측정하였고, 효소활성도는 LDH는 340nm에서, BG는 550nm에서 각각 흡광도를 조사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임상지수를 측정 비교한 결과 치근활택술 만으로 치료한 군과 치근활택술 후 테트라싸이클린 젤을 병용한 군 모두에서 임상적으로 치은건강의 현저한 향상을 관찰할 수 있었으나, 통계상 두 군간의 유의성있는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2. 치은열구액 양은 치근활택술 후 테트라싸이클린 젤을 병용한 군이 치근활택술만 시행한 군보다 치료 후 2주와 4주에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3. LDH와 BG 효소 활성도는 두 군 모두 현저히 감소하였고, 비록 통계학적인 유의성은 관찰할 수 없었으나 치근활택술 후 테트라싸이클린 젤을 병용한 군에서 감소량이 더 크게 나타났다.

  • PDF

The effect of periodontal flap surgery on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 and Tissue inhibitors of matrix metalloproteinase-1 (TIMP-1) levels in gingival crevicular fluids of periodontitis patients (치주 수술이 치주염 환자의 치은 열구액 내의 MMPs와 TIMP-1에 미치는 영향)

  • Kim, Jhee-Hyun;Ko, Jea-Seung;Kim, Hyun-Man;Kim, Tae-Il;Seol, Yang-Jo;Lee, Yong-Moo;Ku, Young;Chung, Chong-Pyoung;Han, Soo-Boo;Rhyu, In-Chul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35 no.1
    • /
    • pp.123-132
    • /
    • 2005
  • 중등도 이상의 치주염 환자에서 치은 열구액내의 MMPs 및 TIMP-1 과 치주염과의 연관성을 규명하고, 치주 수술이 MMPs 및 TIMP-1의 정량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총 14명의 치주낭 깊이 6mm 이상의 중등도 이상의 치주 질환 이환자에서 치아를 선정하여, 치주낭 심도, 치은 지수(gingival index)를 측정하고, 치은의 조직학적 염증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해당 치아의 치주낭 연조직을 절취하여 H-E염색을 하고, 치은 절편에서 염증세포 침윤의 정도 및 분포를 비교하였다. Perio-paper를 이용하여 치은열구액을 얻고, pyrogen-free water에서 추출하였다. 채취한 치은 열구액에서 ELISA-kit를 이용하여 MMP-1, 8, 9, 13과 TIMP-1을 측정하여 수술 전과, 수술 후, 그리고 건강한 조직인 대조군을 비교하였으며, 통계처리는 Wilcoxon 검정을 사용하였다. 또한 MMPs 혹은 TIMP-1이 치주낭 심도나 치은지수등의 임상적 지표와 가지는 연관성을 Spearma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여 알아보았다. TIMP-1을 제외한 MMP-1, 8 ,9, 13 에서 수술 전보다 수술 후에 치은 열구액 내의 양이 현저하게 줄어든 것을 관찰할 수 있었으나, MMP-1(p=0.025), MMP-9(p=0.016) 와 MMP-13(p=0.009) 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성있는 차이를 보였다. 한편 MMP-9 (p=0.011) 나 MMP-13(p=0.026) 은 건강한 대조군과 수술 전 사이에도 유의성있는 차이를 보였다. 연조직의 조직학적 관찰을 통하여 치은지수의 임상적 신뢰도를 평가한 결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치주 치료 전의 치주낭 심도와 치은지수와의 관계나, 수술 전과 수술 후의 치주낭 심도등의 변화도 통계적으로 유의성있는 결과를 보였다. 하지만 치주낭 심도나 치은지수등의 임상적 지표는 MMPs나 TIMP의 정량과는 별다른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이 실험의 결과로 보아 MMP-1, MMP-9나 MMP-13을 치주 수술 전과 수술 후의 치주염의 심도 변화를 반영할 수 있는 지표로 생각할 수 있으며, 특히 MMP-9와 MMP-13가 치주염과 가지는 연관성은 크다고 할 수 있겠다.

Effects of Magnoliae Cortex and Zizyphi Fructus Extract Mixtures on the Progression of Experimental Periodontitis in Beagle Dogs (후박 및 대조 추출혼합물이 치주질환유발 성견의 치주질환억제에 미치는 효과)

  • Shin, Seung-Yun;Lee, Yong-Moo;Ku, Young;Rhyu, In-Chul;Han, Soo-Boo;Choi, Sang-Mook;Bae, Ki-Hwan;Chung, Chong-Pyoung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29 no.2
    • /
    • pp.289-297
    • /
    • 1999
  • 최근 생약 추출물의 항균, 항염효과에 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며 이를 이용한 치주질환의 예방 및 억제효과에 관한 연구들이진행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시험관 실험을 통하여 이미 밝혀진 후박 및 대조추출물의 치주질환 원인 균에 대한 항균, 항염효과를 성견에서 인위적으로 치주질환을 일으킨 후 실험 약제의 경구투여를 통하여 질환의 진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실험동물은 생후 18개월된 비글견 6마리를 이용하였다. 상악은 제2,3 소구치 및 제4소구치에 하악은 제2, 3, 4 소구치 및 제1 대구치를 실험대상 치아로 하였으며 교정용 철사와 봉합사를 이용하여 치경부주위에 결찰하여 인위적 치주질환을 일으켰다. 염증 유발 8주 후에 결찰을 풀고 실험동물을 아무 것도 투여하지 않은 군(음성대조군, 3마리), 후박 및 대조 추출혼합물 투여군(실험군, 3마리)으로 나누었다. 실험 시작 (-8주), 약제 투여 시작(0주), 투여 후 2, 4, 6, 8주째에 치태지수, 치은지수, Florida Probe를 이용한 치주낭깊이 및 치은열구액 등의 임상지수를 측정하였다. 염증유발 8주동안에 치태지수, 치은지수, 치주낭깊이, 치은열구액은 급속히 증가하였다. 결찰은 제거하고, 약제를 투여한 이후 실험군에서 치은지수, 치주낭깊이, 치은열구액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고 있었다. 실험군에서는 8주가 될때까지 임상지수 수치가 낮아지고 있었으며, 8주째에는 대부분의 지수에서 음성대조군과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양성대조군에서 비해서 실험군은 대부분의 경우에 임상지수가 나이지고 있었지만 6주 또는 8주째의 치은지수, 치주낭깊이 중 일부만을 제외하고는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이 연구결과 후박 및 대조 추출혼합물이 in vitro뿐만 아니라 in vivo 상태에서도 치주염의 치료 및 골재생의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와 같은 동물실험의 결과를 바탕으로 임상시험을 거쳐 향후 사람에게 유용한 치주염치료제로 개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 PDF

Correlation of gingival biotypes with clinical parameters (치은두께와 임상검사지수들과의 상관관계)

  • Kim, Sung-Jun;Kim, Tae-Il;Seol, Yang-Jo;Cho, Ki-Young;Ku, Young;Rhyu, In-Chul;Chung, Chong-Pyoung;Han, Soo-Boo;Lee, Yong-Moo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35 no.3
    • /
    • pp.537-548
    • /
    • 2005
  • 1.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평가기준에 따라 관찰자에 의해 주관적으로 판단된 치은형과 실제 치은두께와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 임상검사 시에 측정할 수 있는 변수들과 치은두께의 연관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2 방법 211명의 치과대학생(22-43세, 평균 24.7세)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상악중절치부위에서 국소마취하에 근관 치료용 파일을 치은에 삽입하여 두께를 측정하고 임상검사를 통해 치주낭깊이, 치태지수, 치은지수, 치은퇴축, 체형 및 비만도, 피부형, 치경부의 형태, 관측자가 임의로 판단한 치은형을 기록하였다. 임상사진으로 치관의 폭경과 길이의 비율, 치은외형의 만곡정도를 조사하고 평행촬영법을 이용한 방사선사진으로 치아의 장평비율 및 치아의 치관 폭경과 치경부 폭경의 비율을 조사하였다. 전체 대상을 치은의 두께를 기준으로 평균두께보다 얇은 군과 두꺼운 군의 두 개의 군으로 분류하여 임상검사 사에 측정한 변수들이 각 군 간에 유의할 만한 차이를 보이는지와 임의로 판단한 치은형이 실제 치은두께와 연관이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통계처리는 Student t-test를 이용하였다. 3. 결과 치주낭 깊이, 치은지수, 체형 및 비만도, 피부형, 치아의 형태, 치경부의 형태, 치아의 장평비율의 경우 실제 측정하여 얻은 치은의 두께와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없었다. 치은의 형태는 치은의 두께와 상관성은 보이고 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관측자가 임의로 평가한 치은형과 실제 측정치도 유의할만한 일치를 보이지 않고 있다. 4. 결론 치은의 형태는 치은의 두께를 예상하는데 약간의 도움이 될 수 있으나 실제 치은의 두께는 임상적으로 간단히 측정할 수 있는 겸사지수들과 직접적인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치료결과의 예측에 있어서 치은형을 분류하여 예상하는 것은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Influence of Smoking on Matrix Metalloproteinase-9 in the Gingival Crevicular Fluid (흡연이 치은열구액 내 Matrix Metalloproteinase-9에 미치는 영향)

  • Hwang, Soo-Jeong;Kim, Young-Kwon;Yang, Seong-Ju;Cho, Hyun-Jeong
    •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 /
    • v.11 no.4
    • /
    • pp.339-344
    • /
    • 2011
  • Matrix metalloproteinase(MMP)-9 is considered important in tissue destruction in periodontiti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smoking on MMP-9 in the gingival crevicular fluid(GCF). GCF samples in upper incisors area from 332 male subjects were collected after the informed consent. The dental examination included the assessment of oral hygiene, gingival inflammation and probing pocket depth. A quantitative assessment of MMP-9 levels in GCF was performed utilizing and immunological procedure. The mean MMP-9 concentrations found in GCF of smokers(30.86 ng/ml) and quit-smokers(29.82 ng/ml) differed from non-smokers(11.33 ng/ml), adjusted by age, gingival index and Community periodontal index(p<0.001). Smoking seems to influence MMP-9 in GCF regardless of gingival inflammation and age. It means smoking can destruct the periodontal tissue for itself.

EVALUATION OF GINGIVAL CONDITION ON CHILDREN USING PERIOTRON (Periotron을 이용한 소아 치은 상태의 평가)

  • Shin, Jeong-Geun;Kim, Jae-Gon;Yang, Yeon-Mi;Kim, Sung-Hee;Baik, Byeong-Ju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 /
    • v.33 no.3
    • /
    • pp.411-421
    • /
    • 2006
  • In children, during developing occlusion stage, many studies confirm a high prevalence of gingival inflammation. Prevention, early diagnosis and treatment of gingival and periodontal disease is important because by establishing excellent oral hygiene habits in children, the risk of periodontal disease can be on the decrease in adulthood. This study evaluated the gingival conditions of 50 children$(8.5{\pm}3.1years)$ and 20 $adults(26.1{\pm}3.3 years)$ receiving clinical examination and GCF test at the pediatric dentistry of Chon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in Jeonju, Korea. I estimated children's and adult's gingival states by measuring gingival crevicular fluid(GCF) using Periopaper and $Periotron^{(R)}$ 8000, gingival index, plaque index, DMFT scal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re a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of GCF volume among the groups of the primary dentition, tooth erupting stage, complete eruption stage(p>0.1). But mean value of GCF is highest at the tooth erupting stage. 2. Comparing with adults, children have higher mean value of GCF volume with statistical differences (p<0.001). 3. There is statistically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volume of GCF and gingival index (GI), plaque index(PLI) in both adults and children(GI; r=0.394, PLI ; r= 0.642). 4. There is no relationship between GCF volume and dental caries, composite resin treatments (p>0.05). But There is statistically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GCF and orthodontic treatments(p<0.001) 5. Primary dentition has higher mean value of DMFT than permanent dentition(p<0.001). But there is no statistical relationship between GCF and DMFT (p>0.1).

  • PDF

Influence of the Sonic Power Toothbrush on Reduction of Gingival inflammation and on the Amount of interleukin-6, Prevotella intermedia and Actinobacillus actinomycetemcomitans in Periodontal Pocket (치주낭 내의 치은 염증의 감소와 Interleukin-6, Prevotella intermedia 및 Actinobacillus actinomycetemcomitans에 대한 전동 칫솔의 효과)

  • Hong, Ji-Youn;Chae, Gyung-Joon;Jung, Sung-Won;Um, Yoo-Jung;Choi, Seong-Ho;Kim, Chong-Kwan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37 no.sup2
    • /
    • pp.409-426
    • /
    • 2007
  • 세균성 치태는 치은의 염증과 치주 조직 파괴를 동반하는 치주염의 주요한 인자로서 치주 조직 건강을 유지하기 위하여 적절한 치태 조절이 필요하다. 본 논문의 목적은 12주 동안 만성 초기 및 중등도 치주염 환자에서 치은염에 대한 임상 지수의 감소, interleukin-6 (IL-6) 농도와 치주질환 원인균인 Prevotella intermedia (P. intermedia), Actinobacillus actinomycetemcomitans (A. actinomycetemcomitans)에 대한 소니케어 전동 칫솔의 효과를 일반 칫솔과 비교해 보고자 하는 데 있다. 총 82명의 환자를 선택하였으며, 30명은 일반 칫솔, 52명은 소니케어 전동 칫솔 군으로 분류하여 칫솔질 교육을 실시하였다. 전악을 전치부와 구치부로 나누어 초진, 1, 4, 12주에서의 치태, 치은 지수 및 탐침 시 출혈 여부를 조사하였으며, 가장 깊은 치주낭 탐침을 보이는 치아 3개를 선택하여 탐침 깊이와 부착 정도를 측정하였고, 선택된 치아에서 초진, 1, 12주에 채취된 샘플을 통해 치은열구액 내의 IL-6 농도와 P. intermedia, A. actinomycetemcomitans의 CT값을 추가적으로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소니케어 전동 칫솔과 일반 칫솔군 모두 치은 염증을 나타내는 임상 지수 (치태지수, 치은지수, 탐침 시 출혈)는 12주 기간 동안 유의한 감소 (p<0.05)를 보였으나, 전동 칫솔 군에서 통계학적으로 더욱 유의하게 (p<0.05) 나타났다. 2. 전치부를 제외한 구치부 치아에서 소니케어 전동 칫솔군은 12주 기간 동안 탐침 시 출혈의 감소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p<0.05) 나타났다. 3. 가장 깊은 치주낭 탐침 깊이를 보이는 3개의 선택된 치아에서 치주낭 탐침 깊이와 부착 정도는 두 군 모두 초진에 비해 유의한 감소 (p<0.05)를 보였다. 퍼센트 변화 비교에서 치주낭 탐침 깊이는 소니케어 전동 칫솔군이 $18.47{\pm}10.05%$, 일반 칫솔군이 $14.19{\pm}8.16%$로, 부착 정도는 소니케어 전동 칫솔군이 $24.26{\pm}12.51%$, 일반 칫솔군이 $15.65{\pm}9.92%$로 각각 나타났으나, 군 간 통계적 유의차는 보이지 않았다. 4. 치은열구액의 IL-6 농도는 두 군 모두 12주 기간 동안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 (p<0.05)를 나타내었다. 퍼센트 변화 비교에서 전동 칫솔군은 51%, 일반 칫솔군은 37%로 각각 나타났으나, 군 간 통계적 유의차는 보이지 않았다. 5. Prevotella intermedia, Actinobacillus actinomycetemcomitans의 관찰에서 두 군 모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위 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소니케어 전동 칫솔의 사용이 일반 칫솔에 비하여 만성 초기 및 중등도 치주염 환자에서 치태의 제거, 치은 염증 및 임상 지수의 감소에 유의한 효과가 있으며 IL-6의 감소 경향에도 효과가 있음을 관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