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치유율

검색결과 176건 처리시간 0.022초

PCC(Powder Compacted Capsule) 크기 및 혼입율에 따른 자기치유 모르타르의 공학적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Engineering Properties of Self-healing Mortar according to PCC(Powder Compacted Capsule) Size and Mixing Ratio)

  • 이재인;김채영;최세진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10권4호
    • /
    • pp.514-522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시멘트 복합체에 시멘트계 재료로 구성된 자기치유 캡슐을 적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자기치유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PCC(Powder Compacted Capsule) 크기 및 혼입율에 따른 모르타르의 공학적 특성을 비교ㆍ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PCC 크기 및 혼입율에 따른 모르타르의 유동성, 압축강도, 하중재부하 시험, 탄산화, 초음파속도, 투수 특성 등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PCC의 혼입율이 증가할수록 유동성과 압축강도가 증가하였으며, 치유특성 검토를 위해 진행한 하중재부하 시험의 경우 03PC 배합에서 PCC 혼입율이 증가할수록 치유율이 증가하였다. 정수위투수 시험의 경우 PCC를 사용할 경우 유출수량 감소율이 Plain 배합에 비해 최대 35 % 높은것으로 나타났으며, 크기 0.3~0.6 mm의 PCC를 15 % 혼입할 시 모르타르의 균열 치유율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군집화된 구간 중도절단자료에 대한 치유율 모형의 적용 (Cure Rate Model with Clustered Interval Censored Data)

  • 김양진
    • 응용통계연구
    • /
    • 제27권1호
    • /
    • pp.21-30
    • /
    • 2014
  • 치유율 모형(cure rate model)은 위험 그룹의 단조 감소에 대한 가정이 부적절한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존 분석에서 위험 그룹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점 감소하여 무한대의 시간대에는 영으로 수렴하며 이는 곧 생존 함수가 영으로 수렴함을 의미한다. 하지만 이러한 가정이 적합하지 못한 자료가 의약학, 사회학, 경제학 등에서 종종 발생된다. 즉, 어느 시점에 이르러 더 이상의 생존함수는 감소하지 않고 평행선을 보여주는 경우에 로그 순위검정(log rank test)과 Cox's 비례위험모형(proportional hazard model)의 적용은 바람직하지 못한 결론을 가져오게 된다. 이러한 자료에 대해 치유율 모형(cure rate model)에서는 사건 발생 취약 그룹(susceptible group)과 비취약 그룹(insusceptible group)으로 나누어 취약그룹에 대해서만 일반적인 생존 분석 방법을 적용하는 혼합 모형(mixture model)을 적용해왔다 (Berkson과 Gage, 1952).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치유율 모형을 군집화 구간 중도 절단 자료(clustered interval censored data)에 적용해 보고자 한다. 최근에 Kim과 Jhun (2008)은 구간 중도 절단자료에 대해 치유율 모형을 적용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그들의 방법을 군집화 자료로 확장할 것이다. 실제 자료 분석의 예로 금연자료를 분석할 것이다.

기계·화학 처리 자기치유 혼화재가 포함된 모르타르의 성능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of Mortar Containing Mechanochemical Treated Self-Healing Admixtures)

  • 박동철;권혁;이정우;황무연;김태형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9권3호
    • /
    • pp.367-374
    • /
    • 2021
  • 본 연구는 기계·화학적 에너지를 활용하는 메카노케미칼 공정기술을 자기치유 혼화재에 적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기계·화학적 공정기술을 자기치유 혼화재 제조 공정에 적용하여 치유 소재의 활성화 에너지를 증가시켜 치유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자기치유 모르타르에 사용한 자기치유 소재는 팽창/팽윤제를 주요 구성물로 선정하고 탄산염 촉진제와 무기염 첨가제를 기타 첨가제로 혼입하였으며, 기계·화학 처리공정 적용에 의한 치유 소재의 활성화도 및 개질화 반응이 가능한 재료로 선택하였다. 기계·화학 처리공정에 대한 자기치유 혼화재의 기초평가는 XRD, FT-IR 분석으로 확인하였으며, 자기치유 모르타르의 치유 성능평가는 정수위 투수시험을 이용하여 치유율을 확인하였다. 치유성능 확인결과 기계·화학 처리 공정을 적용한 WM3 시료(MC360min)가 공정처리 하지 않은 WM1 시료에 대비 치유성능이 4.1% 증가하였으며, 자기치유율은 평균 94.3%로 확인되었다.

자기치유 하이브리드 캡슐 혼합율에 따른 시멘트 복합재료의 치유성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Healing Performance of Cement Composites According to Mixing Ratio of Self-Healing Hybrid Capsules)

  • 최연왕;박준호;김용직;오성록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10권4호
    • /
    • pp.531-538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자기치유 하이브리드 캡슐을 제조하였다. 균열 자기치유 하이브리드 캡슐을 시멘트 질량 기준으로 3 %, 5 % 및 7 % 혼합하여 자기치유 시멘트 복합재료 배합을 진행하였으며, 자기치유 하이브리드캡슐 혼합율에 따른 품질 및 치유성능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자기치유 하이브리드캡슐을 혼합율이 증가할수록 균열 치유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지만 품질성능이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따라서 하이브리드 캡슐의 혼합율은 5 % 이내로 사용하는 것이 품질성능을 약 10 % 이내로 감소시키며, 치유성능 약 90 % 이상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Wilms씨 종양에서 방사선 치료의 역할 (The Role of Radiation Therapy in Management of Wilms' Tumor)

  • 김미숙;김일한;윤형근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9권2호
    • /
    • pp.325-331
    • /
    • 1991
  • 1979년부터 1988년까지 서울대학교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방사선 치료를 받았던 Wilms씨 종양환자 28명의 치료성적을 분석하였다. 평균 추적관찰기간은 40개월이었다. 3년 국소 치유율 및 생존율은 각각 78.1$\%$와 67.4$\%$이었다. 연령에 따른 국소치유율의 차이는 없었다. Favorable histology 와 Unfavorable histology 유형의 국소치유율은 각각 83.3$\%$와 62.5$\%$이었다. Favorable histology유형의 II기와 III기 종양의 국소치유율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83.3\%\;vs100.0\%$). Unfavorable histology유형의 I/II기와 III기 종양의 국소치유율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83.3\%:0\%$). 임파절 침윤이 확인된 경우에서의 국소치유율은 불량하였다($50.0\%\;vs\;87.5\%$). 방사선치료를 수술후 10일 이후에 개시한 경우에서의 국소치유율과 수술 후 9일 이내에 개시한 경우에서의 국소치유율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 따라서 방사선치료는 국소치유율을 향상시키는데 유용하였으나 수술적 절제가 불가능한 종양에 대하여는 치료방법의 강화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PDF

편층증 치료 및 집단관리에 있어서 메벤다졸의 효과 (Efficacy of Mebendazole in Treatment and Control of Trichuriasis in Korea)

  • 서병설;이순형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1권1호
    • /
    • pp.95-101
    • /
    • 1983
  • 편층증의 개인치료와 집단관리에 있어서 메벤다졸의 유용성 및 효과를 측정하였다. 메벤다졸(100∼1,200mg) 투약 3주후 430명에 있어서의 치료효과는 15.0∼64.0% 및 24.6∼95.2%의 치유율 및 충란감소율을 보여 대체로 만족스럽지 못한 결과이었으나 메벤다졸의 총 투여량이 높으면 높을수록 치유율 및 충란감소율도 높아지는 것이 관찰되었다. 일정간격 반복투여(600mg용량)에 의한 집단관리를 주민(4개군, 총 551명)의 편충란양성율은 3개월간격(3일 분복군) 투여 군에서 가장 현저한 감소추세를 보여 관리시작후 1년만에 40.0%에서 5.6%로 저하되었고, 3개월 간격(단희 또는 2회 분복군), 6개월, 12개월군 및 대조군에서는 감소추세가 완만하거나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메벤다졸은 편충의 개인치료에는 그다지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3개월간격으로 반복투여하면 집단관리에는 유효한 약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고로 슬래그 시멘트 페이스트 균열에서의 자기치유 특성 (Self-Healing Properties in Cracking of Blast Furnace Slag Cement Paste)

  • 이승헌;강국희;임영진;이세진;박병선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7권1호
    • /
    • pp.29-36
    • /
    • 2019
  • 본 연구는 투수시험 실시 후 고로 슬래그 자극제로 $Na_2SO_4$를 첨가한 고로 슬래그 시멘트 페이스트 시편의 자기치유 특성으로서 충진율과 자기치유 생성물을 고찰하였다. 실시한 시편에 대해 충진율과 자기치유 생성물을 분석하였다. 자기치유 정도는 충진율로 평가하였으며 충진율은 객관성을 갖기 위해 BSE-DIP를 이용한 파노라마 분석법으로 실시하였다. 평균 충진율은 Top 부분은 평균 18%, Middle 부분은 평균 7%, Bottom 부분은 평균 5%로 시편의 윗부분에서 아래 부분으로 갈수록 충진율은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또한 구간별 최대 충진율은 44%이었고 최소 충진율은 3%이었다. 투수시험 후 잔존하는 자기치유생성물은 기본적으로 Ca 원소와 고로 슬래그에서 유래된 Al 원소를 다량 함유하고 있었으며 Si 원소는 균열 표면으로부터 가깝게 위치한 곳에 주로 존재하였다. 자기치유 생성물 중에서 가장 많이 존재하는 광물은 C-A-H로 68% 정도 존재하였다. $CaCO_3$는 13%, C-A-S-H는 8% 순으로 3가지 물질이 자기치유 생성물의 90% 정도를 차지하고 있었다. C-A-H는 주로 균열 표면에서 약간 떨어진 부분에서 존재하였으며 각진 형태 이거나 침상 형태의 형상을 나타냈다. C-A-S-H는 기존의 시편과 자연스럽게 이어지게 표면을 타고 생성되었으며 $CaCO_3$는 시편의 표면이나 균열의 내부 등 위치에 상관없이 전반적으로 보였다.

하이브리드 자기치유 소재를 혼입한 콘크리트의 치유성능 (Healing Performance of Concrete Containing Hybrid Self-healing Materials)

  • 황민호;권혁;김형석;최성;이광명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10권4호
    • /
    • pp.569-576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유·무기계 자기치유재료를 기반으로 박테리아 펠렛과 고상캡슐을 각각 혼입하여 사용한 하이브리드 자기치유 콘크리트의 치유성능을 조사하였다. 치유성능 평가방법으로 정수위 투수시험을 적용하였으며, 평가지표로 치유율과 등가균열폭에 의해 산출된 치유된 균열폭을 활용하였다. 정수위 투수시험 결과 초기 균열폭이 0.3 mm일 때 MC-BP와 MC-SC의 치유율은 MC와 비교하여 2.1~3.0 %pt 높았으며, 하이브리드 콘크리트의 치유된 균열폭은 0.017~0.018 mm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두 가지 치유소재를 함께 사용하더라도 자기치유 성능은 크게 향상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치유형 무기계 혼합재를 사용한 모르타르의 압축강도 및 치유성능 (Compressive Strength and Healing Performance of Mortar Using Self-healing Inorganic Materials)

  • 김형석;이웅종;최성;이광명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10권4호
    • /
    • pp.577-583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고로슬래그 미분말, 팽창재 및 무수석고로 이루어진 무기계 자기치유 소재를 사용하여 제조한 자기치유 모르타르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무기계 치유재료의 사용량이 다른 3종류의 자기치유 모르타르를 대상으로 압축강도를 측정하고 정수위 투수시험를 통하여 치유성능을 평가하였다. 치유성능 평가지표로 균열유도재령애 따른 치유율과 등가균열폭을 활용하였다. 자기치유 모르타르의 압축강도 발현, 치유재령에 따른 치유율 변화와 경제성을 고려하여 무기계 혼합재의 최적 사용량을 시멘트 질량 대비 20 %로 제안하였다.

고상캡슐을 활용한 자기치유 표면보호재의 품질 및 장기재령 치유특성 (Quality and Long-tern Aged Healing Properties of Self-healing Surface Protection Materials Using Solid Capsules)

  • 오성록;남은준;강신택;최연왕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9권3호
    • /
    • pp.397-404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고상캡슐을 활용한 자기치유 표면보호재를 보수재료로 활용하기 위한 일환의 연구로써 고상캡슐이 표면보호재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및 장기재령의 치유 특성을 검토하였다. 고상캡슐 혼합에 따른 자기치유 표면보호재의 유변학적 특성 평가결과, 소성점도 및 항복응력, 테이블 플로우는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압축강도의 경우 고상캡슐 1%당 1 MPa이 비례적으로 감소하였다. 장기재령 치유특성을 평가한 결과, 재령 91일이 경과된 경우에도 고상캡슐이 보존되어 10% 혼합한 경우 치유재령 28일에 90% 수준의 치유율이 나타났으며, 치유재령 91일 경과후에는 고상캡슐 5%의 경우에도 90% 수준의 치유율이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