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치아 교합

Search Result 808,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 STUDY ON THE EFFECTS OF CENTRIC RELATION OCCLUSION-MAXIMUM INTERCUSPATION DISCREPANCIES TO DENTAL WEAR (중심위 교합-최대교두감합위 불일치가 치아 마모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Hong, Min-Ah;Kim, Kwang-Nam;Heo, Seong-Joo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 /
    • v.36 no.5
    • /
    • pp.683-700
    • /
    • 1998
  • 치아경조직의 소실은 반드시 치아우식증이나 사고에 의해서만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마모에 의해서도 일어난다. 마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은 시간/나이, 성별, 이갈이와 같은 과기능, 저작력, 위장관장애, 음식물, 환경적인 영향, 타액의 상태 그리고 교합적인 조건들이 있다. 한편 중심위와 최대교두감합위 불일치가 악구강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서는 아직도 논란이 분분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심위와 최대교두감합위의 불일치가 치아마모에 미치는 영향과 중심위에서 제일 먼저 닿는 치아와 나머지 치아의 마모에 있어서 차이에 대해서 알아 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두개하악관절과 저작습관에 이상이 없으며, 식이습관에 문제가 없으며 치아우식증과 치주질환, 수복물, 교정 또는 교합치료의 경험이 없는 21세에서 25세 사이의 서울대학교 치과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교합기를 이용하여 중심위 교합-최대교두교두감합위 불일치를 조사하여, 중심위 교합-최대교두감합위가 불일치가 작은 군과 큰 군으로 나누었다. 각 군은 각각 10명의 피검자들로 구성되었다. 각 피검자의 인상채득 후 CR mounting을 시행하고 중심위교합-최대감합위 불일치를 측정한 다음 임상검사로 ordinal scale을 측정하고 모형을 통해 arbitrary scale을 측정하였다. 평균치아마모도 그리고 중심위에서 먼저 닿는 치아와 나머지 치아, 나머지 구치의 마모도를 각각 조사하여 통계처리하였다. 1. 평균치아마모도는 ordinal scale로 측정하였을 때 중심위 교합-최대교두감합위 불일치가 작은 군과 큰 군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할만한 차이가 없었다(p>0.05) 2. 평균치아마모도는 arbitrary scale로 측정하였을 때 중심위 교합-최대교두감합위 불일치가 작은 군과 큰 군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할만한 차이가 없었다(p>0.05). 3. CR에서 먼저 닿는 치아와 나머지 치아, 나머지 구치의 마모도는 ordinal scale로 측정하였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4. CR에서 먼저 닿는 치아와 나머지 치아, 나머지 구치의 마모도는 arbitrary scale로 측정하였을 때 먼저 닿는 치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높은 수준의 마모도를 보였다(p<0.05).

  • PDF

A STUDY ON OCCLUSAL CONTACT USING COMPUTERIZED OCCLUSAL ANALYSIS SYSTEM (Computerized Occlusal Analysis System을 이용한 Occlusal Contact에 관한 연구)

  • 연태호;김영구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v.14 no.1
    • /
    • pp.81-88
    • /
    • 1989
  • 저자는 정상 치열을 가지며 두개하악장애의 증상 및 병력이 없는 성인 21명을 대상으로 computerized occlusal analysis system인 T-Scan system을 이용하여 교합력에 따른 치아접촉수와 총치아접촉시간을 측정한 후 정량적인 분석을 시도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최대 측두근 전부 근활성도의 약 20%, 50%, 80% 수준의 교합력에서 치아접촉수의 평균은 각각 1.6개, 8.8개, 16.7개로 교합력이 증가할수록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2. 최대 측두근 전부 근활성도의 약 20%, 50%, 80% 수준의 교합력에서 치아당 치아접촉수이 평균은 대구치에서는 0.2, 1.4, 2.2 개였으며 소구치에서는 0.1, 0.5, 1.1개였고, 전치에서는 0.1, 0.2, 0.6개로 교합력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3. 치아접촉분포로 구분된 대칭군과 비대칭군간의 총치아접촉시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 PDF

A Study on Teeth Image Recognition for Biomerics (생체 인식을 위한 치아 영상 인식에 대한 연구)

  • Kim, Tae-Woo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8.11a
    • /
    • pp.240-242
    • /
    • 2008
  • 본 논문은 치아의 전치 교합과 후치 교합 상태에서 획득된 영상들에 대해 BMME와 LDA에 기반한 개인 인증 방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두 치아 교합 상태의 영상들로부터 치아 영역 추출, BMME, 패턴인식 과정으로 구성된다. 두 상태의 치아 교합을 사용하면 영상에서 일정한 치아 모양이 유지되며, BMME는 패턴인식에서 정합 오차를 줄일 수 있도록 해 준다. 강체인 치아는 영상 획득시 왜곡되지 않으므로 치아 영상을 이용하는 방법은 생체 인식에 장점으로 작용한다. 실험에서, 제안한 방법은 20명에 대해 개인 인증을 위한 인식에 성공하여 다중 인증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음을 보였다.

  • PDF

A Study on the Side Effect of the Splint Therapy for the Patient with Craniomandlbular Disorders (교합상을 이용한 치료가 두개하악장애 환자에 미치는 부작용에 관한 연구)

  • 김영구;이승우;정성창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v.15 no.1
    • /
    • pp.45-53
    • /
    • 1991
  • 저자는 두개하악 장애로 교합상치료를 받고있는 4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치료전, 치료후 1개월, 3개월, 6개월째에 주관적 평가, 임상적 검사, 근전도 검사, 컴퓨터 교합 분석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주관적 평가인 visual analogue scale과 Helkimo's anamnestic dysfunction index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임상적 검사시 MM(mandibular movement), TM(TMJ capsule palpation), EM(extraoral muscle palpation), Di(Helkimo's clinical dysfuction index)는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무통성 개구량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2. 42명의 환자중 10명에서 교합변화가 관찰되었으며, 5명에서 치주질환, 2명에서 치아 과민감, 1명에서 구토경향이 관찰되었다. 3. 치주칠환을 보이는 10명의 환자중 3명은 교합상치료 이전부터 치주질환에 이환된 상태였으며 3명에서는 교합변화가 함께 관찰되었다. 4. 교합변화를 보인 10명의 환자중 교합상의 장착시간을 줄였을 때, 3명이 원래의 교합상태로 회복되었고 4명은 부분적으로 회복되었으며 3명에서는 변화를 관찰할 수 없었다. 5. 악관절 내장 제 5기 환자에서 교합변화가 더 빈번히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6. Habitual clenching 시와 Maximal clenching 시 사이의 치아접촉점 수, maximal clenching 시의 치아 접촉점의 수와 접촉 치아수 사이에 매우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habitual clenching 시의 치아접촉점의 수와 접촉 치아수, Habitual clenching 시와 maximal clenching시 사이의 치아 접촉시간에서도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 PDF

교합과 저작근 활동

  • Kim, Jung-Su
    • The Journal of the Korean dental association
    • /
    • v.25 no.10 s.221
    • /
    • pp.913-916
    • /
    • 1987
  • 저작운동을 중추신경계와 말초조직의 작용에의해 일생동안 학습과 적응의 가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저작의 양상은 유치가 구강내에 맹출되면서 이루어지며, 상하악 치아의 접촉, 점막과 혀 및 치아상호간에 일어나는 접촉과 치근막의 고유수용기와 악관절 수용기등에 의해 조정되어 최종적으로 에너지소비가 적고 동통이나 불편함이 없이 최대의 효율을 나타내는 양상으로 된다. 그러나 원활한 저작과 하악은동을 이룩하기 위해서는 저작근, 악관절, 상하악 치아의 교합등이 서로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만일 외상에 의해 악관절의 기능장애가 오면 저작근활동이 변화하고 이에따라 교합장애를 야기한다. 또한 치아를 상실하거나 대합치아간의 조기접촉이 있으면 교합장애가 원인이 되어 근육활동이 변화와 악관절 기능장애를 초래한다. 그리고 때로는 지나친 근육의 활동(이갈이, 지속적 긴장성 수축)에 의해 지나친 치아의 마모로인한 교합장애나 악관절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하악의 기능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교합의 형태학적 관계와 더불어 저작계의 기능적인 면도 고려하여 그 상호관계를 검토하여야 하며 본문에서는 교합에 관련된 저작근의 작용과 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 및 교합장애와 근육활동장애의 연관성에 관해 고찰코자 한다.

  • PDF

Oral rehabilitation of excessive tooth wear patient using zirconia fixed prosthesis with increased vertical dimension (과도한 치아 마모 환자의 수직 교합 고경 증가를 동반한 지르코니아 고정성 보철물 전악 수복 증례)

  • Jang, Ju-Ho;Choi, Yeon-Jo;Ryu, Jae-Jun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 /
    • v.58 no.2
    • /
    • pp.121-129
    • /
    • 2020
  • From the point of view of oral rehabilitation, the treatment of extensive tooth wear requires a prosthetic approach. Physiological tooth wear is considered as a normal process and generally does not require treatment, but excessive tooth wear causes problems like inadequate occlusion and esthetics. Changes of occlusal vertical dimension should be made through accurate diagnosis and analysis. Also, the patient's adaptation to the changed occlusal vertical dimension should be assessed over time. This case was a 60-year-old male patient who complained of a decrease in chewing function and esthetics due to severe tooth wear. Full-mouth rehabilitation was performed with a tooth supported fixed prosthesis. An occlusal stabilization splint and provisional restoration were used to evaluate the adaptation to increased occlusal vertical dimension and induce a stable centric relation position. After that, monolithic zirconia prosthesis was delivered. We report this as a satisfactory functional recovery and esthetics.

Study on Using Teeth Images in Biometrics (생체 인식에서 치아 영상의 이용에 관한 연구)

  • Kim, Tae-Woo;Cho, Tae-Kyung;Lee, Min-Soo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7 no.2
    • /
    • pp.200-205
    • /
    • 2006
  • Abstract This paper presents a personal identification method based on BMME and LDA for images acquired at anterior and posterior occlusion expression of teeth. The method consists of teeth region extraction, BMME, and pattern recognition forthe images acquired at the anterior and posterior occlusion state of teeth. Two occlusions can provide consistent teeth appearance in images and BMME can reduce matching error in pattern recognition. Using teeth images can be beneficial in recognition because teeth, rigid objects, cannot be deformed at the moment of image acquisition. In the experiments, the algorithm was successful in teeth recognition for personal identification for 20 people, which encouraged our method to be able to contribute to multi-modal authentication systems.

  • PDF

The Effect of Occlusal Stabilization Splint Therapy on the Occlusal Contact Stability and Masticatory muscle Activities in the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 (측두하악장애환자에 있어서 교합안정장치가 교합안정성 및 저작근활성에 미치는 영향)

  • Jye-Jynn Ann;Jae-Kap Choi;Jae-Hyun Sung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v.17 no.1
    • /
    • pp.73-87
    • /
    • 1992
  • 저자는 28명의 측두하악장애 환자와 31명의 정상인을 대상으로 최적기능교합의 개념에 입각하여 교합시의 치아접촉점을 동적이며 정량적인 방법으로 평가하여 교합안정장치의 사용으로 인한 교합안정성의 개선여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와 동시에 교근과 전측두근의 활성도를 측정하여 치료의 경과에 따른 근활성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측정항목은 개구범위, 두개하악장애지수, 치아접촉점 좌우균형치, 치아접촉점 전후균형치, 치아접촉점 평균시간간격, 치아접촉점의 개수, 접촉시간, 좌우측 교근과 좌우측 전측두근의 근활성, 근활성 비대칭 지수 등이었다. 이의 측정을 위해 T-Scan System, K-6 Diagnostic System 그리고 EM 2등을 사용하였으며 얻어진 자료에 대해 검정한 후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교합안정장치를 이용하여 측두하악장애 환자들을 4주간 치료한 결과 전반적인 임상증상이 호전되어 개구범위와 두개하악장애지수에 있어서 뚜렷한 개선이 있었다. 2. 측두하악장애 환자에서 최대 악물기시의 치아접촉점 좌우균형치및 평균시간 간격이 큰 것으로 나타나 치아접촉이 일어나는 순간의 교합안정성이 좋지 않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3. 치료 4주후 교하안정장치를 장착한 상태에서 측정한 치아접촉점 좌우균형치및 치아접촉점 평균시간간격은 치료전에 비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4. 치료 4주후 치아접촉점의 전후방 분포가 구치부위로 이동되는 양상을 보였다. 5. 측두하악장애 환자에서 최대 악물기시의 좌우측 교근 및 전측두슨의 근활성은 정상인에 비해 낮에 나타났으며, 이는 치료기간 동안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6. 측두하악장애 환자에서 전측두근의 근활성 비대칭지수는 정상인에 비해 상당히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치료기간 동안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Changes in occlusal force depending on the movement of the adjacent and opposing teeth after loss of lower first molar: comparative study by using a strain gauge (하악 제1대구치 상실 시 인접 및 대합 치아들의 이동양상에 따른 교합력 변화: 스트레인게이지를 이용한 비교 연구)

  • Song, Myoung-Ja;Park, Ji-Man;Chun, Youn-Sic
    • Journal of Dental Rehabilitation and Applied Science
    • /
    • v.32 no.1
    • /
    • pp.47-59
    • /
    • 2016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occlusal force after loss of the lower first molar depending on the inclination and extrusion of the adjacent and opposing teeth by using a strain gauge. Materials and Methods: Anatomic teeth were used to reconstruct the normal dental arch with loss of the lower right first molar. A uniformly thick layer of silicone was applied to the root to mimic the periodontal ligament. Four stages of dies with varying degrees of inclination and extrusion of the adjacent and opposing teeth were constructed and attached to master model interchangeably by using a CAD/CAM fabricated customized die system. The strain gauges were attached to teeth and a universal testing machine was used to determine the changes in occlusal force. An independent t-test and one-way ANOVA were performed (${\alpha}=.05$). Results: While simulating chewing food, the upper first, second premolar and lower second molar showed greater occlusal force than before extraction. When the change of adjacent teeth's occlusal force with their progressive movement after molar loss was evaluated, the difference among four die models was significant and was in the decreasing aspect (P < 0.05). Conclusion: When the lower first molar was lost and the adjacent teeth did not move yet, the occlusal force in adjacent teeth was higher than that when the lower first molar still existed. In addition, the occlusal force in the upper premolars and lower second molar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the progressive movement of adjacent teeth.

A STUDY ON THE EFFECTS OF CHEWING PATTERNS TO OCCLUSAL WEAR (저작형태가 교합면 마모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Kim, Seong-Kyun;Kim, Kwang-Nam;Chang, Ik-Tae;Heo, Seong-Joo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 /
    • v.34 no.1
    • /
    • pp.15-30
    • /
    • 1996
  • 저작은 치아, 악골, 저작근 뿐만 아니라 근 신경계, 고위 중추까지 복합적으로 관여되는 기능적 행위이다. 저작 형태는 다양한 모양을 가지나 두 가지 전형적인 군, 즉, 전방에서 관찰 시 그 양상이 수직적이며 절단 (chopping) 운동을 하는 군과 주로 측방으로 이루어지며 연마 (grinding)를 하는 군으로 나눌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저작 형태의 차이가 교합면 마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두개 하악 관절과 저작 습관에 이상이 없으며 교합면에 수복물이 없는 치과 대학생으로 하악 운동 궤적 기록기를 이용하여 상기의 전형적인 2가지 저작 형태를 보이는 각 15명씩을 피검자로 선택하였다. 각 피검자에 대한 임상 검사를 통해 ordinal scale로 교합면 마모의 등급을 조사하여, 평균 치아 마모도와 부위에 따른 치아 마모도를 비교 조사하였다. 각 피검자에 대한 인상 채득 후 모형을 제작하고 arbitrary scale로 교합면 마모의 등급을 조사하여, 평균 치아 마모도와 부위에 따른 치아 마모도를 비교 조사하고 저작측과 비저작측 마모를 비교 조사하였으며 수평 마모면과 수직 마모면을 비교 조사하였다. 1. 평균 치아 마모도는 ordinal scale로 측정하였을 때, 절단형과 연마형간에 유의할 만한 차이가 없었다.(p >0.05) 2. 부위에 따른 치아의 마모도는 ordinal scale로 측정하였을 때, 절단형과 연마형간에 유의할 만한 차이가 없었다.(p >0.05) 3. 평균 치아 마모도는 arbitrary scale로 측정하였을 때, 절단형에 비교하여 연마형에서 높은 마모도를 보였다.(p<0.05). 4. 절단형에 비교하여 연마형은 arbitrary scale로 측정하였을 때, 구치부에서는 높은 마모도를 보였으며 전치부에서는 유의할 만한 차이가 없었다(p<0.05) 5. 구치 평균 치아 마모도와 부위에 따른 치아의 마모도는 균형측에서 절단형과 연마형간에 유의할 만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6. 전치 평균 치아 마모도와 부위에 따른 치아의 마모도는 수평 마모면과 수직 마모면 비교시, 절단형과 연마형간에 유의할 만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