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치료성적

Search Result 781,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설암의 치료성적

  • Kim Deok-Eon;Choi Jong-Guk;Choi Myeong-Seon
    • 대한두경부종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1989.11a
    • /
    • pp.20.2-20.2
    • /
    • 1989
  • PDF

Childhood Brain Tumors (소아 뇌종양 - 항암화학요법을 중심으로 -)

  • Ghim, Thad T.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v.45 no.9
    • /
    • pp.1055-1058
    • /
    • 2002
  • 뇌종양 치료성적은 점차 향상되고 있지만 백혈병 등 다른 소아암에 비해 향상 속도가 느리다. 하지만, 근래 MRI, PET scan 등 neuro-imaging 기술의 발달, 뇌종양의 분자유전학적 연구, 외과 수술 방법의 진전, 치료방사선요법의 다양화 등 많은 분야에서 꾸준한 발전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여러 가지 신약개발에 의한 제 1, 제 2상의 약제시험, antiangiogenesis 약제의 임상시험, gene therapy 등의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므로, 이에 따른 환자의 치료 성적도 향상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외국에서는 여러 대학이 함께 참여하여 작성한 공동의 치료 protocol에 의한 치료가 활발하게 진행되어 생존율을 높이는데 반해, 우리나라에서는 아직까지 각 기관의 협조체제가 구축되지 못한 형편이다. 하지만 금년에 처음으로 여러 대학에서 임상각과가 참석하는 한국소아 뇌종양연구회가 탄생되어 우리나라 뇌종양 환아들의 치료 protocol 개발에 기여할 것을 기대하고 있다. 뇌종양 치료 후 생존하는 아이들을 위한 정밀한 추적관찰이 필수사항인데 여기에 소아과 의사들의 역할은 클 것으로 사료된다. 지능장애, 부적절한 대인관계, 사회적응의 어려움, 치료 후 발생한 내분비계통의 후유증 그리고 2차 암의 발생 등의 정확한 진단 및 치료가 소아과 의사들의 몫으로 남는다. 또한, 이러한 장애가 있는 환아들이 사회에 잘 적응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재활교육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과 그에 적절한 지원제도의 확립이 절실히 요구된다. 이 점에 있어서도 소아과 의사들의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

A RESULT OF VOICE PRESERVATION FOLLOWING TREATMENT OF LARYNGEAL CANCER (후두암 치료후 음성보존의 성적)

  • 김형태;김형주;김민식;조승호;서병도
    • Proceedings of the KOR-BRONCHOESO Conference
    • /
    • 1991.06a
    • /
    • pp.29-29
    • /
    • 1991
  • 후두암의 치료는 병변의 위치, 크기 등에 따라 치료방법이 다양하고 그 예후 또한 상이하다. 일반적으로 초기 후두암에서는 수술이나 방사선 요법이 비슷한 치료결과를 보이고, 진행된 후두암에서는 수술적 치료가 더 좋은 예후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발성장애를 초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저자들은 1986년부터 1990년까지 5년간 강남성모병원에서 후두암치료를 받았던 환자 81명을 대상으로 치료방법에 따른 음성보존 성적을 분석하였다. 1. T1 성대암 환자 18명중 16명 (88.9%)에서 방사선치료 또는 수술로써 음성을 보존할 수 있었다. 2. T2 후두암 환자 11명중 6명은 수술후 음성보존이 가능하였다. 3. 진행암환자 (T3, T4) 50명중 33명에 대해 수술을 시행하였고 이중 16명(48.5%)은 후두부분 또는 근전적출술 및 기관-식도 누공술에 의해 음성기능을 보존할 수 있었다. 4. 진행암환자에서 유도화학요법과 방사선치료의 병용요법만을 받은 17명 모두 6개월 이내에 재발하였고, 수술 혹은 수술과 방사선 치료를 병용한 33명중 27명이 최소한 6개월 이상 평균 2년 이상의 무병상태였다. 5. 후두부분 또는 근전적출술은 총 81명중 28명에서 시행되었고 그중 5명 (17.9%)에서 재발하였다.

  • PDF

Optimum Field Size for the Whole Body Stereotactic Radiosurgery (전신 정위 방사선 치료시의 적정 조사면 크기)

  • 이병용;민철기;정원규;최은경
    • Progress in Medical Physics
    • /
    • v.13 no.1
    • /
    • pp.15-20
    • /
    • 2002
  • Optimum field size for the whole body stereotactic radiosurgery was studied. Dose distributions from the various sizes of targets (diameter 1cm to 7cm, icm interval) were used for this study. Planing scores, expressed as the Target Coverage Index (TCI), were calculated for various target Margin ranged 0cm to 0.5cm. Highest scores were obtained for no Margin to the target size. The target Margin -0.5cm to 0cm to the target showed best TCI the cases of the target size larger than 6cm diameter. No Margin or 0.5cm Margin generated best TCI for less than 2cm cases. Prescription to 80~90% gives best resul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