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치료반응

Search Result 2,344,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The Findings of Pulmonary Function Test in Patients with Inhalation Injury (흡입화상 환자에서의 폐기능검사 소견)

  • Kim, Jong Yeop;Kim, Cheol Hong;Shin, Hyun Won;Chae, Young Je;Choi, Chul Young;Shin, Tae Rim;Park, Yong Bum;Lee, Jae Young;Bahn, Joon-Woo;Park, Sang Myeon;Kim, Dong-Gyu;Lee, Myung Goo;Hyun, In-Gyu;Jung, Ki-Suck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v.60 no.6
    • /
    • pp.653-662
    • /
    • 2006
  • Background: The changes in the pulmonary function observed in burn patients with an inhalation injury are probably the result of a combination of airway inflammation, chest wall and muscular abnormalities, and scar formation. In addition, it appears that prolonged ventilatory support and an episode of pneumonia contribute to the finding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nges in the pulmonary function in patients with inhalation injury at the early and late post-burn periods. Methods: From August 1, 2002, to August 30, 2005, surviving burn patients who had an inhalation injury were enrolled prospectively. An inhalation injury was identified by bronchoscopy within 48hours after admission. Spirometry was performed at the early phase during admission and the recovery phase after discharge, and the changes in the pulmonary function were compared. Results: 37 patients (M=28, F=9) with a total burn surface area (% TBSA), ranging from 0 to 18%, were included. The initial $PaO_2/$FiO_2$ratio and COHb were $286.4{\pm}129.6mmHg$ and $7.8{\pm}6.6%$. Nine cases (24.3%) underwent endotracheal intubation and 3 cases (8.1%) underwent mechanical ventilation. The initial X-ray findings revealed abnormalities in, 18 cases (48.6%) with 15 (83.3%) of these being completely resolved. However, 3 (16.7%) of these had residual sequela. The initial pulmonary function test, showed an obstructive pattern in 9 (24.3%) with 4 (44.4%) of these showing a positive bronchodilator response, A restrictive pattern was also observed in 9 (24.3%) patients. A lower DLco was observed in only 4 (17.4%) patients of which 23 had undergone DLco. In the follow-up study, an obstructive and restrictive pattern was observed in only one (2.7%) case each. All the decreased DLco returned to mormal. Conclusions: Most surviving burn patients with an inhalation injury but with a small burn size showed initial derangements in the pulmonary function test that was restored to a normal lung function during the follow up period.

The Correlation between Acholic Stool and the Result of $Tc^{99m}$ DISIDA Hepatobiliary Scintigraphy and Biochemical Test in Neonatal Cholestasis (신생아 담즙 정체증에서 무담즙변의 유무와 $Tc^{99m}$ DISIDA 간담도 주사 결과간의 상관성과 생화학적 검사의 차이에 관한 연구)

  • Joo, Eun-Young;Ahn, Yeon-Mo;Kim, Yong-Joo;Moon, Soo-Ji;Choi, Yun-Young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v.5 no.1
    • /
    • pp.51-61
    • /
    • 2002
  • Purpose: The most common causes of neonatal cholestasis are neonatal hepatitis (NH) and extrahepatic biliary atresia (EHBA). Since neonatal cholestasis presents with variable expression of same pathologic process and has similar clinical, biochemical, and histologic features between EHBA and idiopathic neonatal hepatitis (NH), differential diagnosis is often difficult. We reviewed the differences of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laboratory data to find out any correlation between the results of $Tc^{99m}$ DISIDA scan and presence of acholic stool. Methods: Between June 1993 and January 2001, total 29 infants younger than 4 month-old underwent $Tc^{99m}$ DISIDA scan. Their biochemical tests and clinical course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Results: Patients who had negative intestinal activity on $Tc^{99m}$ DISIDA scan showed acholic stool and revealed higher serum direct bilirubin and urine bilirubin level. 18.2% of patients with acholic stool showed intestinal activity on $Tc^{99m}$ DISIDA scan and 81.8% of them did not. All the patients without acholic stool showed positive intestinal activity on $Tc^{99m}$ DISIDA scan. The result of $Tc^{99m}$ DISIDA scan and the presence of acholic stool showed high negative correlation (r :-0.858). Patients with acholic stool and negative intestinal activity on $Tc^{99m}$ DISIDA scan showed higher serum total bilirubin level. Patients without acholic stool and positive intestinal activity on $Tc^{99m}$ DISIDA scan showed higher serum level of ALT. Conclusion: Patients with acholic stool and negative intestinal activity showed high correlation, but 18.2% of patients with acholic stool showed positive intestinal activity. So operative cholangiogram or transcutaneous liver biopsy should be performed for confirmation.

  • PDF

Roles and Preparation for the Future Nurse-Educators (미래 간호교육자의 역할과 이를 위한 준비)

  • Kim Susie
    • The Korean Nurse
    • /
    • v.20 no.4 s.112
    • /
    • pp.39-49
    • /
    • 1981
  • 기존 간호 영역 내 간호는 질적으로, 양적으로 급격히 팽창 확대되어 가고 있다. 많은 나라에서 건강관리체계가 부적절하게 분배되어 있으며 따라서 많은 사람들이 적절한 건강관리를 제공받지 못하고 있어 수준 높은 양질의 건강관리를 전체적으로 확대시키는 것이 시급하다. 혹 건강관리의 혜택을 받는다고 해도 이들 역시 보다 더 양질의 인간적인 간호를 요하고 있는 실정이다. 간호는 또한 간호영역 자체 내에서도 급격히 확대되어가고 있다. 예를들면, 미국같은 선진국가의 건강간호사(Nurse practitioner)는 간호전문직의 새로운 직종으로 건강관리체계에서 독자적인 실무자로 그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의사의 심한 부족난으로 고심하는 발전도상에 있는 나라들에서는 간호원들에게 전통적인 간호기능 뿐 아니라 건강관리체계에서 보다 많은 역할을 수행하도록 기대하며 일선지방의 건강센터(Health center) 직종에 많은 간호원을 투입하고 있다. 가령 우리 한국정부에서 최근에 시도한 무의촌지역에서 졸업간호원들이 건강관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법적 조치는 이러한 구체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기존 간호영역내외의 이런 급격한 변화는 Melvin Toffler가 말한 대로 ''미래의 충격''을 초래하게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역동적인 변화는 간호전문직에 대하여 몇가지 질문을 던져준다. 첫째, 미래사회에서 간호영역의 특성은 무엇인가? 둘째, 이러한 새로운 영역에서 요구되는 간호원을 길러내기 위해 간호교육자는 어떤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가? 셋째 내일의 간호원을 양성하는 간호교육자를 준비시키기 위한 실질적이면서도 현실적인 전략은 무엇인가 등이다. 1. 미래사회에서 간호영역의 특성은 무엇인가? 미래의 간호원은 다음에 열거하는 여러가지 요인으로 인하여 지금까지의 것과는 판이한 환경에서 일하게 될 것이다. 1) 건강관리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컴퓨터화되고 자동화된 기계 및 기구 등 새로운 기술을 많이 사용할 것이다. 2) 1차건강관리가 대부분 간호원에 의해 제공될 것이다. 3) 내일의 건강관리는 소비자 주축의 것이 될 것이다. 4) 간호영역내에 많은 새로운 전문분야들이 생길 것이다. 5) 미래의 건강관리체계는 사회적인 변화와 이의 요구에 더 민감한 반응을 하게 될 것이다. 6) 건강관리체계의 강조점이 의료진료에서 건강관리로 바뀔 것이다. 7) 건강관리체계에서의 간호원의 역할은 의료적인 진단과 치료계획의 기능에서 크게 탈피하여 병원내외에서 보다 더 독특한 실무형태로 발전될 것이다. 이러한 변화와 더불어 미래 간호영역에서 보다 효과적인 간호를 수행하기 위해 미래 간호원들은 지금까지의 간호원보다 더 광범위하고 깊은 교육과 훈련을 받아야 한다. 보다 발전된 기술환경에서 전인적인 접근을 하기위해 신체과학이나 의학뿐 아니라 행동과학 $\cdot$ 경영과학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훈련을 받아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행동양상면에서 전문직인 답게 보다 진취적이고 표현적이며 자동적이고 응용과학적인 역할을 수행하도록 훈련을 받아야 한다. 그리하여 간호원은 효과적인 의사결정자$\cdot$문제해결자$\cdot$능숙한 실무자일 뿐 아니라 소비자의 건강요구를 예리하게 관찰하고 이 요구에 효과적인 존재를 발전시켜 나가는 연구자가 되어야 한다. 2. 미래의 간호교육자는 어떤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가? 간호교육은 전문직으로서의 실무를 제공하기 위한 기초석이다. 이는 간호교육자야말로 미래사회에서 국민의 건강요구를 충족시키기는 능력있는 간호원을 공급하는 일에 전무해야 함을 시사해준다. 그러면 이러한 일을 달성하기 위해 간호교육자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우선 간호교육자는 두가지 측면에서 이 일을 수정해야 된다고 본다. 그 하나는 간호교육기관에서의 측면이고 다른 하나는 간호교육자 개인적인 측면엣서이다. 우선 간호교육기관에서 간호교육자는 1) 미래사회에서 요구되는 간호원을 교육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한다. 2) 효과적인 교과과정의 발전과 수정보완을 계속적으로 진행시켜야 한다. 3) 잘된 교과과정에 따라 적절한 훈련을 철저히 시켜야 한다. 4) 간호교육자 자신이 미래의 예측된 현상을 오늘의 교육과정에 포함시킬 수 있는 자신감과 창의력을 가지고 모델이 되어야 한다. 5) 연구 및 학생들의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의사결정에 학생들을 참여시키도록 해야한다. 간호교육자 개인적인 측면에서는 교육자 자신들이 능력있고 신빙성있으며 간호의 이론$\cdot$실무$\cdot$연구면에 걸친 권위와 자동성$\cdot$독창성, 그리고 인간을 진정으로 이해하려는 자질을 갖추도록 계속 노력해야 한다. 3. 미래의 간호원을 양성하는 능력있는 간호교육자를 준비시키기 위한 실질적이면서도 현실적인 전략은 무엇인가? 내일의 도전을 충족시킬 수 있는 능력있는 간호교육자를 준비시키기 위한 실질적이고 현실적인 전략을 논함에 있어 우리나라의 실정을 참조하겠다. 전문직 간호교육자를 준비하는데 세가지 방법을 통해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첫째는 간호원 훈련수준을 전문직 실무를 수행할 수 있는 단계로 면허를 높이는 것이고, 둘째는 훈련수준을 더 향상시키기 위하여 학사 및 석사간호교육과정을 발전시키고 확대하는 것이며, 셋째는 현존하는 간호교육 프로그램의 질을 높이는 것이다. 첫째와 둘째방법은 정부의 관할이 직접 개입되는 방법이기 때문에 여기서는 생략하고 현존하는 교과과정을 발전시키고 그 질을 향상시키는 것에 대해서만 언급하고자 한다. 미래의 여러가지 도전에 부응할 수 있는 교육자를 준비시키는 교육과정의 발전을 두가지 면에서 추진시킬 수 있다고 본다. 첫째는 국제간의 교류를 통하여 idea 및 경험을 나눔으로서 교육과정의 질을 높일 수 있다. 서로 다른 나라의 간호교육자들이 정기적으로 모여 생각과 경험을 교환하고 연구하므로서 보다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발전체인(chain)이 형성되는 것이다. ICN같은 국제적인 조직에 의해 이러한 모임을 시도하는 것인 가치있는 기회라고 생각한다. 국가간 또는 국제적인 간호교육자 훈련을 위한 교육과정의 교환은 한 나라안에서 그 idea를 확산시키는데 효과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충분한 간호교육전문가를 갖춘 간호교육기관이 새로운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그렇지 못한 기관과의 연차적인 conference를 가지므로 확산시킬 수도 있으며 이런 방법은 경제적인 면에서도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그 나라 그 문화상황에 적합한 교과과정 개발에도 효과적일 수 있다. 간호교육자를 준비시키는 둘째전략은 현존간호교육자들이 간호이론과 실무$\cdot$연구를 통합하고 발전시키는데 있어서 당면하는 여러가지 요인-전인적인 간호에 적절한 과목을 이수하지 못하고 임상실무경험의 부족등-을 보충하는 방법이다. 이런 실제적인 문제를 잠정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1) 몇몇 대학에서 방학중에 계속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현직 간호교육자들에게 필요하고 적절한 과목을 이수하도록 한다. 따라서 임상실무교육도 이때 실시할 수 있다. 2) 대학원과정 간호교육프로그램의 입학자의 자격에 2$\~$3년의 실무경험을 포함시키도록 한다. 결론적으로 교수와 학생간의 진정한 동반자관계는 자격을 구비한 능력있는 교수의 실천적인 모델을 통하여서 가능하게 이루어 질수 있다고 믿는 바이다.

  • PDF

A Study on the Sasang Constitutional Distribution Among the People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북미지역주민(北美地域住民)의 사상체질(四象體質) 분포(分布)에 관(關)한 연구(硏究))

  • Koh, Byung-hee;Kim, Seon-ho;Park, Byung-gwan;Lavelle, Jonathan D;Tecun, Marianne;Anthony Jr., Ross;Hobbs, Ron;Zolli, Frank;Chin, Kyung-hee
    • Journal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 /
    • v.11 no.2
    • /
    • pp.119-150
    • /
    • 1999
  • In spite of recent remarkable recent development in both western and oriental medical sciences, there is still only a shallow understanding of individual differences for various prognoses of incurable diseases and immunopathy diseases. Nevertheless, the care, cure and prevention methods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are broadly used as an effective treatment of incurable diseases like immunopathy diseases and stress-related diseases and diseases due to aging. In this sense, the establishment of classification norms is urgent and essential for the worldwide application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SCM). This study began with the confirmation process of whether Sasang Constitutional types exist in Americans. To accomodate for cultural differences, the distinguishing tool was readjusted so that Sasang Constitutional Types in Americans could be determined. Hence, the selected tool is the new QSCCII+, which is a newly revised English version of the QSCCII. QSCCII was made and standardized by Dept. of SCM in Kyung Hee Medical Center and Dr. Kim7). The evaluation methods of the old version were improved in the new QSCCII+ through necessary statistical manipulation. The original QSCCII was officially authorized by the Korean Society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as the only computerized version of Sasang diagnostics. This study is the first attempt to design a new diagnostic tool for the classification of Sasang Constitutional types in North Americans with the revision of QSCCII.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elected from the cooperative people among the students and staffs of the University of Bridgeport and the patients who visited the Clinic in the Health Science Center. This study takes for about 1 year from 1998. 8 to 1999. 8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Sasang constitutional types also exist in Americans. It can also naturally be inferred that Sasang Constitutional types exist in all human beings, for there are many different human races in America. 2. There are more So-Yang In's than any other types in American white people. This result confirms the hypothesis that there also exist Sasang Constitutional types in westerners. 3. The result of repetitive tests suggests that the new QSCCII+ is an effective diagnostic tool for westerners when we consider the constant diagnostic results of the QSCCII+. 4. Sasang Constitutional types exit in the sample group regardless of racial difference. 5. The question items that were not often checked by Americans need to be modified into more understandable expressions. 6. The standardization of diagnosis for Americans should be established by use of the QSCCII+ 7. It can be guessed that there are many Tae-yang In's among the 71 persons who could not be clearly classified by the QSCCII+. Due to the scarcity of Tae-yang-In in general, it is important to improve upon the discernability of the QSCC II+. 8. The results of the Sasang Constitutional distribution in North Americans are as follows: The percentage of So-yang In distribution in the sample group is 36.25%(87persons), that of Tae-eum In is 13.75%(33persons), and that of So-eum In is 20.41%(49person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