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치과 진료실

Search Result 152, Processing Time 0.018 seconds

A Study on Developing an Objective Evaluation Method of the Signs and Symptoms of Temporomandibular Joint Internal Derangement (악관절내장증의 증상과 징후의 객관적 평가법의 개발에 관한 연구)

  • 김영구;이승우;정성창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v.22 no.1
    • /
    • pp.31-44
    • /
    • 1997
  • 저자들은 악관절내장증의 증상과 징후의 객관적 평가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서울대학교치과 병원 구강진단과 악안면동통진료실을 내원한 환자중 좌우 양 관절중 한 관절 이상의 관절에 악관절내장이 있는 남자 8명(평균연령 19.9$\pm$2.9세), 여자 34명(평균연령:32.8$\pm$11.8세) 총 42명(84개 관절)에 대하여 VAS 및 압통역치 측정, 악관절조영술, 골신티그래피 검사 및 악관절 활액의 분석을 시행하였다. 악관절 동통의 심도는 VAS로 측정을 하였으며 PPT는 electronic algometer로 평가를 하였다. 악관절조영사진을 얻기 직전 활액을 채취하였으며 그 성분중 Hyaluronic acid, 총단백질, IgG, IgM과 albumin을 분석하여 그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악관절 내장증으로 내원한 환자 42명, 총 84개 관절중, 무통성이고 관절잡음이 없는 경우가 7개 관절, 무통성이고 단순관절음만 존재하는 경우가 18개 관절, 동통 및 단순관절음이 존재하는 경우가 18개 관절, 간헐적인 폐구 과두걸림이 있는 경우가 11개 관절, 급성 폐구성 과두걸림의 경우가 11개 관절, 만성 폐구성 과두걸림의 경우가 3개 관절, 퇴행성 관절질환이 존재하는 경우가 16개 관절이었다. 2. 연구대상중 18명의 환자, 총 36개 관절에 대한 골 신티그래피 검사 결과, 활동성으로 나타난 경우가 33개 관절이었고 이중 23개 관절이 동통성이었으며, 활동 상태 관절의 VAS 항목과 압통역치 항목 및 여러 검사 항목들은 비활동 상태 관절의 항목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3. 악관절내장의 진행정도에 따른 악관절부위의 동통의 측정에 있어서는 압통역치의 측정보다는 VAS에 의한 방법이 더 유용하며 특히, 후방부의 촉진시에 유의한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4. 악관절 내장즈으이 진행 단계에 따라, VAS항목과 압통역치 항목을 비교해 본 결고, 주기적인 과두걸림(II) 단계에서 가장 높은 VAS 수치와 가장 낮은 압통역치를 나타내었으며 상방 촉진시 VAS 항목에서 주기적인 과두걸림(II) 단계와 증상 및 징후가 없는(0) 단계 사이와 후방 촉진시 VAS 항목에서 주기적인 과두걸림(II) 단계 및 퇴행성 관절 질환(V) 단계와 증상 및 징후가 없는(0) 단계 사이에서만 유의성을 나타내었다. 5. 활액내 총단백질량, albumin 량, IgG 및 IgM 농도는 악과?ㄹ 내장증의 진행에 따라 유의성을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퇴행성 관절 질환(V) 단계에서 증가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6. 활액내 hyaluronic acid의 농도는 악관절 내장증의 진행에 따라 유의성을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만성 폐구성 과두걸림(IV) 단계에서 감소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 PDF

Psychosocial Impact of Chronic Orofacial Pain (만성 구강안면통증의 사회심리적 영향)

  • Yang, Dong-Hyo;Kim, Mee-Eun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v.34 no.4
    • /
    • pp.397-407
    • /
    • 2009
  • The aim of the study was to evaluate psychosocial impact of non-dental chronic orofacial pain (OFP) on daily living using the graded chronic pain (GCP) scale. It is also investigated the clinical profile such as demographics, event related to initiation of OFP and prior treatments for patients. During previous 6 months since September 2008, 572 patients (M:F=1:1.5, mean age=34.7 years) with non-dental OFP attended university-based specialist orofacial pain clinic (Dankook University Dental Hospital, Cheonan) to seek care although 63% of them already experienced related treatment for their OFP problem. They visited the most frequently general dental practitioner and orthopedic doctors due to their pain problem and medication was the most commonly employed modality. Most of the patients (89.2%) had TMD and the most common related event to initiation of their pain was trauma, followed by dental treatment. Almost half of the patients (46%) suffered from chronic pain(${\geq}6\;M$) and 40% of them exhibited relatively high disability due to chronic OFP. GCP pain intensity and disability day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or age and diagnosis (p<0.05) but not for gender and duration. GCP grades were affected by all the factors including gender, age, pain duration and diagnosis.(p=0.000) Female gender, elders, and long lasting pain were closely related to high disability. The patients with neuropathic Pain and mixed OFP rather than TMD were graded as being highly disabled. Conclusively, a considerable percentage of chronic OFP patients reports high pain-related disability in their daily, social and work activity, which suggest a need for psychosocial support and importance of earlier referral for appropriate diagnosis and tailored mana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