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치과 공포감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306초

경기도 일부 지역 청소년들의 치과공포 및 불안에 대한 연구 (DENTAL FEAR AND ANXIETY OF JUVENILES IN SOME AREAS OF GYEONGGI PROVINCE)

  • 심연수;김아현;안소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362-367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경기지역 일부 중학생의 치과치료 관련 공포 및 불안 수준을 측정하고, 그와 관련된 요인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분석하여 불안과 공포감을 완화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 보다 편안하고 효율적인 구강건강관리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경기도 일부 중학생 62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남학생 337명, 여학생 277명으로서 과거 치과치료 경험이 있는 총 614명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분석 방법은 각 문항별 답변의 분포를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남녀별 응답의 차이를 검정하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공포점수의 비교를 위하여 Mann-whitney U 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경기도 일부 중학생들은 치과 전문가가 일반적으로 생각하지 못한 부분에서도 치과공포를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고, 진료실에서 직접 치료를 하는 경우와 관련된 항목에서 공포를 느끼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은 수준의 치과공포도를 보였다(p<0.05).

치과치료 공포감 관련요인분석 (Analysis of related factors for dental fear)

  • 이효영;나미향;이용환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57-65
    • /
    • 2012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analysis of related factors for dental fear and to know the fear component affecting the treatment of the dental treatment. Methods : Total of 320 females and males aging from 10 to 40 years old with dental treatments done from May to July 2010 have participated with self-entry survey method utilizing the Dental Fear Survey questionnaire. The data received was analyzed using the descriptive statistic, t-test, ANOVA and multiple correlation analysis with level of significance as p<0.05. Results : The dental fear factor were significantly high in woman by $2.79{\pm}0.92$ and in 40's age group by $2.82{\pm}0.84$ (p<0.05). Participants with frequent tooth ache, experiencing pain while treating the tooth ache and breaking the dental treatment appointment showed higher fear factor. Thoughts of having poor dental health condition caused bad influence on fear factor. Overall, the factors affecting the fear of the dental treatments were gender, an ache while treating, number of missed appointment, and distrust of the dentist, stimulation factor were the factors affecting the treatment. Conclusions : The fear factors in the dental treatment were higher with gender, related characteristics of the oral health and distrust of the dentist. Therefore accurately recognizing the sensitive patient with dental treatment, proper management of the toothache, effort to increase the creditability of the doctors and separately treating patient customized for each individual patient will reduce the fear of the dental treatment.

대학생들의 치과공포도와 심리적 강인성 및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련성 (Relationships between university students' Dental Fear and Mental Hardiness, subjective well-being)

  • 지민경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59-68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치과공포도와 심리적 강인성 및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치과진료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과 접근성을 향상하고, 계속적인 구강건강관리 도모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7년 5월 1일부터 5월 30일까지 전북지역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편의추출하여 자기기입식방법으로 설문을 작성하였다. 치과공포도와 심리적 강인성은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주관적 안녕감과도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리적 강인성과 주관적 안녕감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대학생들의 치과공포도, 심리적 강인성 및 주관적 안녕감은 서로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치과에서는 구강건강증진을 위해 충분한 사전 의사소통을 통한 각 진료 역량에 맞는 심리적 대응을 고려하여 적극적인 대처법을 적용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일부지역 성인 환자의 주관적 건강인식과 구강건강관리행태가 치과공포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lf-Rated Health Awareness and Oral Health Care Behavior on Dental Fear in Some Areas Adult Patients)

  • 박충무;윤현서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401-409
    • /
    • 2018
  • 본 연구는 2017년 1월부터 5월까지 일부지역치과에 내원하는 성인들을 대상으로 구강건강관리행태와 주관적 건강 인식수준을 파악하고 치과공포감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치과공포감을 낮추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치과공포에서 회피요인은 여자, 40대, 고졸이하, 주부, 300-399만원, 생리적 반응요인은 여자, 40대, 주부, 200-299점, 자극유발유인 여자, 30대, 주부, 전체공포수준은 30대, 주부, 400-499만원에서 높았다. 구강건강관리행태에 따른 공포감에서 치료회피요인은 구강검진을 하지 않고, 칫솔질방법이 틀린 경우, 생리적 반응요인과 자극반응요인은 검진을 하지 않고, 스케일링 경험이 없는 경우, 전체공포감은 검진을 하지 않고, 칫솔교환시기가 4개월 이상인 경우에서 치과공포감이 높았다. 치과공포에 영향을 미치는 주관적 건강인식수준, 주관적 구강건강인식수준, 성별, 나이, 정기검진유무, 구강보건교육 경험유무가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치과공포감을 줄이기 위해서는 주관적 인식을 개선하고 정기검진과 구강보건교육을 위한 시스템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근로자들의 치과치료에 대한 공포감과 관련요인 (Workers' fear of dental treatment and other factors)

  • 김경원;이경수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65-79
    • /
    • 2010
  • Objectives : This study was designed to present how to reduce the fear associated with dental treatment by analyzing the fear levels for dental treatment, the influential factors for the fear,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and the correlations between trust in dental care professionals and satisfaction with dental treatment. Methods : The subjects were 400 workers at 5 industrial sites, which got health management conducted by health management agencies, among small and medium industrial sites located in the Gyeongbuk region of South Korea during a period of February to March, 2009. Results & Conclusion : 1. Of the subjects, 134 (30.7%) and 303 (69.3%) persons had high and low fear levels of dental treatment respectively. 2. The fear levels of dental treatment were higher in women than men, and significantly high in proportion to the patients' subjective bad health levels and past dental care fear frequencies. 3. The fear associated with dental treatment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to the trust in dentists.

치과 임플란트 수술 환자의 수면 질과 공포감의 관련성 (Correlation between quality of sleep and dental fear in implant surgery patients)

  • 진미영;김선옥;유병철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371-379
    • /
    • 2014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quality of sleep and dental fear in implant surgery patients. Methods :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filled out by 153 implant patients from December 2012 to February 2013 in dental clinics and hospitals in Busan and Changwon.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analysis, t-test,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AS version 9.20. Results : The quality of sleep in the implant patients was $41.0{\pm}6.0$. The systemic diseases influenced on the quality of sleep and dental fear also affected the quality of sleep. Conclusions :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a relationship between the fear perception of dental implant surgery patients and the quality of their sleep showed that the patients with systemic diseases, the patients with a fear by the physical stimulation relating to implant treatment showed the low quality of sleep.

청소년들의 치과 공포감이 구강건강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dental fear on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teenagers)

  • 이혜경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759-766
    • /
    • 2016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dental fear on the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teenagers. Method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by Likert 5 point scale was completed by 900 high school students in J area from March 10 to April 20, 2014.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dental fear survey, and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Data were analyzed by t-test and One-way ANOVA using SPSS 12.0 program. Results: Oral symptoms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mother's education and family economic status. Emotional well-being factors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 religion, school performance, and family economic strength. Dental fear was closely related to emotional well-being, Oral symptoms, social stabilities, functional limit and mental stabilities. Explanation power of the model was 29.1%. Conclusions: It is very important to explain the dental fear procedure to teenagrers before dental surgery and this will enhance the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teenagers.

여대생의 치과진료 공포감 관련요인 (Related factors to dental fear of women university students)

  • 김유근;김창숙;이경수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873-879
    • /
    • 2013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related to the dental fear based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major and personality type of the 400 girl students in university in Ulsan. Methods : Subjects were 400 girl students in university in Ulsan from November 2012 to March 2013.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 and dental checkup and analyzed using SPSS 20.0 version. Results : Neuroticism was closely related to dental clinic visit. Those who did not visit dental clinics tended to have low score of neuroticism. Conclusions : To reduce dental fear in girl students, it is necessary to make them visit dental clinics frequently and promote the preventive dental care effectively.

치과내원 환자의 불안취약사고 경향 및 치과경험과 치과공포의 관련성 (Association between Dental Fear and Anxious Thoughts and Tendencies and Dental Experience of Dental Patients)

  • 황혜림;최하나;조영식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5-21
    • /
    • 2011
  • 치과치료와 관련된 공포감을 개인의 불안취약 사고와 치과치료의 경험을 통해 분석하기 위해 치과에 내원한 환자 431명을 대상으로 Dental Fear Survey(DFS)와 불안취약 사고경향(AT&T)을 측정도구로 사용하여 총합척도의 평균, 표준편차하여 독립표본 t검정과 일원분산분석(ANOVA)을 하였다. 치과공포에 미치는 요인에서 다중회귀분석 결과, 치과치료통증경험과 개인의 불안취약 사고경향이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1. 연구대상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은 치과공포 수준과 관련되어 DFS 점수가 여성($25.73{\pm}8.27$)이 남성($22.16{\pm}8.46$)보다 높았고, 불안취약 사고경향(AT&T) 역시 여성($31.01{\pm}7.05$)이 남성($28.93{\pm}8.15$)보다 높았다(p<0.05). 성별에 따라 여성이 치과공포감과 불안취약성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치과의료이용 유형은 치과공포의 정도는 '문제가 발생했을 때 치과에 방문하는 집단'($25.29{\pm}8.57$)이 '정기적으로 치과 방문하는 집단'($22.29{\pm}7.78$)보다 높았다 (p=0.002). 3. 치과경험에 따라 처음 치과를 방문한 시기, 처음 통증을 경험한 시기, 치과불안이 시작된 시기를 치과공포수준에 따라 분석한 결과, 처음으로 치과치료를 받은 시기에 따라 유년기와 청소년기에 치과공포감을 많이 느끼고 성인에서는 그에 비해 덜 느낀다. 처음 치과치료시 통증을 경험한 집단 중 유년기($26.40{\pm}9.54$)에서 치과공포수준이 높았고(p=0.004), 치과불안이 시작된 시기에 따라 유년기($26.56{\pm}8.74$)에 시작된 치과불안이 높은 치과공포수준을 나타냈다(p=0.000). 또한 치과불안이 시작된 시기에서 청소년기(44.3%)가 높은 빈도수를 보였다. 따라서 이 시기에 치과의 인식 형성의 중요성을 알 수 있다. 4. 치과공포 수준에 미치는 요인으로 치과치료 시 통증경험(표준화계수=0.271)과 개인의 불안취약 사고경향(표준화계수=0.246)이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다중회귀분석결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01).

소아치과 환자 치료에 있어서 Demerol, Phenergan, Atarax 준비투약에 대한 연구 (Demerol, Phenergan, and Atarax Premedication in Dentistry for Children)

  • 백동준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11권7호
    • /
    • pp.483-490
    • /
    • 1973
  • 저자는 소아치과 환자의 일반적인 치료시 흔히 나타나는 과민성, 불협조, 공포감 등의 아동 취급상의 난점들을 심리적인 충격없이 해소함을 목적으로 Demerol, Phenergan과 Atarax들의 약제를 치료전에 준비투약 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일반 소아과에서 사용되는 약물용량보다 소아치과 외래환자에선 2배의 용량에서 만족스러운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2) 용량결정에 있어서 최초 투약용량을 정확히 산출함으로써 준비투약의 성공을 가져올 수 있었다. 3) 준비투약의 성공은 일정한 기간후 환자의 recall appointment시 준비투약 없이도 보다 나은 협조을 얻을 수 있었다. 4) Demerol, Phenergan, Atarax사용에 있어서 그 부작용은 거의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경한 것이였으며 환자의 심리적인 지원을 갖어 올 수 있어 아동 취급상에 큰 효과를 얻을 수 있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