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치과방사선사진

검색결과 644건 처리시간 0.028초

정모 두부 방사선 사진 촬영시 Head Posture Aligner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 (The Validity of Head Posture Aligner in Posteroanterior Cephalometry)

  • 김은희;황현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543-552
    • /
    • 2000
  • 본 연구는 natural head posture(NHP)를 이용하여 정모 두부 방사선 규격사진 촬영시 재현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두개 안면부의 기형이 없는 25세 전후의 성인 남녀 30명을 대상으로 통상적인 방법(술자 유도법)과 NHP에서 Head Posture Aligner를 이용한 방법(HPA법)으로 정모 두부 방사선 사진을 각기 2주 간격으로 촬영한 후 5개의 고경 계측항목과 9개의 폭경 계측항목을 선정하여 t 검정으로 각 계측항목의 재현도를 비교하는 한편, 정모와 측모 두부 방사선 사진으로3차원 상을 합성시 오차의 요인이 되는 두부의 상하회전 정도 차이를 촬영 방법별로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시간 간격을 두고 술자 유도법으로 2회 촬영한 정모 두부 방사선 사진의 계측치는 모든 고경 계측항목에서 서로 차이를 나타내어 낮은 재현도를 보였다. 2. 시간 간격을 두고 HPA법으로 2회 촬영한 정모 두부 방사선 사진의 계측치는 모든 고경 계측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아 재현도가 높음을 보였다. 3. 폭경 계측항목의 경우 2회 계측치의 차이를 통하여 살펴 본 재현도에서 술자유도법과HPA방법간에 두드러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 정모 및 측모 두부 방사선사진으로 3차원상을 합성하기 위한 수직적 두부 위치 보정각을 계산한 결과, 술자 유도법의 경우 $2.5^{\circ}$인 반면, HPA법은 $0.8^{\circ}$로 작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정모 두부 방사선 규격 사진 촬영시 두부 위치의 재현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HPA의 사용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 PDF

3차원 콘빔CT 영상에서 형성한 2차원 정모두부방사선사진영상의 정확도 증진을 위한 두부자세재현기의 효과 (Use of Head Posture Aligner to improve accuracy of frontal cephalograms generated from cone-beam CT scans)

  • 선민규;엄기수;조진형;황현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289-299
    • /
    • 2009
  • 본 연구는 3차원 콘빔CT 영상을 이용하여 2차원 정모두부방사선사진영상 형성 시 두부자세재현기(Head Posture Aligner, HPA)를 이용한 경우와 이용하지 않은 경우를 비교분석함으로써 HPA의 유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성인 30명을 대상으로 먼저 일반적인 방법으로 콘빔CT 영상을 채득한 후 HPA를 이용하여 일정한 두부자세를 재현한 상태에서 또 하나의 콘빔CT 영상 및 정모두부방사선사진을 촬영하였다. 3차원 영상프로그램을 이용하여 HPA를 이용하지 않은 경우와 HPA를 이용한 경우 각각에서 2차원 정모두부방사선사진영상을 형성한 다음 각각의 투사도를 작성하고 실제로 HPA를 이용하여 촬영된 정모두부방사선사진 투사도와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거리 및 각도를 나타내는 여러 계측치를 비교분석한 결과 HPA를 이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다수의 계측항목에서 실제 정모두부방사선사진과 유의한 차이를 보인 반면 HPA를 이용한 경우에는 모든 항목에서 통계적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아울러 실제 정모두부방사선사진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시행한 결과 HPA를 이용한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모든 항목에서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는 3차원 콘빔CT 영상을 이용하여 2차원 정모두부방사선사진영상 형성 시 정확한 영상 획득을 위해서는 콘빔CT 촬영 시 HPA의 사용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두부방사선규격사진 촬영 시 유도방법에 따른 자연두부자세의 차이 및 재현성에 관한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guiding methods for natural head posture in cephalometrics)

  • 송진명;이기헌;황현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341-350
    • /
    • 2005
  • 두부방사선규격사진에서는 매 촬영 시마다 두부의 수직적 회전 정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두부자세의 재현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유도방법에 따른 자연두부자세의 수직적 두부회전 정도의 차이를 비교하고 각 두부자세의 재현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20대 성인 남녀 3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head posture aligner를 이용한 방법(HPA법)과 self balance posture를 이용한 방법(SBP법)으로 자연두부자세를 유도하여 측모 및 정모두부방사선규격사진을 각각 한 달 간격으로 촬영한 후, 측모두부방사선규격사진 상에서 유도 방법에 따른 수직적 두부회전 정도의 차이를 비교하는 한편, 측모 및 정모두부방사선규격사진에서 시간 간격을 두고 동일 방법으로 유도하여 촬영한 두 사진 상의 동일 계측항목 간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각 두부자세의 유도방법에 대한 재현성을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SBP법으로 유도한 자연두부자세는 HPA법에 의해 유도된 자연두부자세보다 평균 $2.79^{\circ}$ 고개를 숙인 자세로 나타났다. 또한 HPA법 또는 SBP법을 이용하여 시간 간격을 두고 각각 2회 촬영한 측모두부방사선규격사진과 정모두부방사선규격사진 상의 계측치는 모든 계측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HPA법과 SBP법으로 유도한 자연두부자세가 모두 재현성이 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두부방사선규격사진 촬영 시 재현성을 높이기 위하여 HPA법과 더불어 SBP법도 임상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심층학습 알고리즘을 활용한 인접면 우식 탐지 (Detection of Proximal Caries Lesions with Deep Learning Algorithm)

  • 김현태;송지수;신터전;현홍근;김정욱;장기택;김영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31-139
    • /
    • 2022
  • 이번 연구는 소아의 인접면 우식을 진단하는데 있어 사용하고 있는 구내방사선 사진에서 심층학습(deep learning)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치아우식을 진단하는 모델의 성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제1유구치와 제2유구치 사이의 인접면이 포함된 500개의 구내방사선 사진을 대상으로 연구를 시행하였다. 치아우식을 진단하는 모델의 학습에는 Resnet50 기반의 인공신경망 모델을 사용하였다. 평가자료군에서 진단모델의 정확도, 민감도, 특이도를 구하고, ROC 곡선을 얻어 AUC 값을 바탕으로 분류 모델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학습 모델의 정확도는 0.84, 민감도는 0.74, 특이도는 0.94로 나타났으며 AUC는 0.86으로 나타났다. 인공신경망을 기반으로 하는 소아의 구내방사선 사진에서의 인접면 우식의 진단 모델은 비교적 높은 정확도를 보여주었다. 심층학습 모델은 구내방사선 사진상에서 인접면 우식을 진단하는데 있어 향후 치과의사를 보조하는 진단 도구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치과 임플란트 주변 협설측 치조골의 변화분석 - 하악골 시편에서의 디지털 농도분석법을 이용한 실험적 고찰 - (Evaluation of bone quality in alveolar crest obscured by dental implants ; A pilot study by densitometric digital analysis in mandibular bone specimen)

  • 권긍록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900-913
    • /
    • 1998
  • 임플란트 치과 임상에서, 협, 설측의 골조직 상태는 임플란트 재료의 높은 밀도 때문에 구내용 방사선사진으로는 파악할 수 없으나, 디지털 분석을 이용한 정량적 방사선 분석법을 사용하여 이 부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건조 하악골에 10개의 직경 3.3mm인 solid screw형태의 $ITI^{(R)}$ 임플란트(Institute Straumann, Waldenberg, Switzerland)을 매식한 다음, 이들을 10개의 골 시편으로 절단한 후, 방사선사진 촬영을 시행했다. 일련의 중첩상을 얻기 위해, 특별히 고안된 방사선필름 고정기와 D속도 필름($Ultra-speed^{(R)}$, Kodak, USA)을 사용했으며, 고 해상도의 디지털 분석을 위해, 비디오카메라($Kodak-Eikonix^{TM}$, USA)로 필름을 scan하고 software(LaboImage, Computing Science Center, Geneva University)를 이용해 정량적 분석을 시행했다. 방사선 촬영은 4 방향(통상적인 periapical projection에 의한 근, 원심(MD)방향 및 협, 설(BL) 조사위, 통상적인 occlusal projection에 준한 25도 경사진 근, 원심(OMD) 및 25도 경사진 협, 설(OBL)조사위)으로 시행했으며, 각 시편에서 4장의 연속 중첩 방사선사진(superimposable radiograph)을 임플란트 매식공 천공 후, 임플란트 매식 후, 임플란트 주변(협,설) 골 손상 후, 임플란트 제거 후의 상황에서 표준화된 방법으로 촬영해서 얻었다. 기술적인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occlusal projection으로 촬영하고, 이를 디지털 농도 분석한 방법에서. 치과 임플란트 주변 협, 설측의 미세골 변화를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보였다. 특히, occlusal projection이 periapical projection에 비해 더욱 민감한 골 변화를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록 이 실험의 결과가 제한된 조건에서 얻어졌지만, 실제 임플란트 임상에서 임상가들에게 진단적 차원에서의 새로운 가능성과 다양성을 제시해 줄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PDF

3차원 전산화 단층촬영의 Nasion, Sella, Basion으로 구성된 정중 시상 평면과 정면 두부방사선 규격사진의 정중 시상 평면 비교 (Comparison of midsagittal reference plane in PA cephalogram and 3D CT)

  • 조진형;문지연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6-15
    • /
    • 2010
  • 안면 비대칭의 평가에 있어 과거 정면 두부방사선 규격사진을 이용하던 것과는 다르게 현재는 점차 3D CT를 이용하여 평가하는 것으로 변하고 있다. 본 연구는 3D CT와의 비교를 이용하여 정면 두부방사선 규격사진 분석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시상 기준 평면을 찾고자 하였다. 임상적으로 안모 비대칭이 발견되지 않은 성인 환자들을 대상으로 3D CT와 정면 두부방사선 규격사진을 촬영하였고, 정면 두부방사선 규격사진 분석에서 이용되어 왔던 5가지 정중 시상 기준 평면을 선택하여 계측을 실시한 뒤 이 값을 3D CT의 Nasion (Na), Sella (S), Basion (Ba)으로 구성된 정중 시상 평면에 대한 계측값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좌우측 latero-orbitale의 수직이등분선을 정중 시상 기준 평면으로 이용한 정면 두부방사선 규격사진 계측값이 3D CT의 Na, S, Ba으로 구성된 정중 시상 평면을 이용한 계측값과 가장 차이가 작았고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안면 비대칭 평가 시 좌우측 latero-orbitale의 수직이등분선이 정면 두부방사선 규격사진 분석에서 도움이 되는 정중 시상 기준 평면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