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층상분산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37초

여러종류 분산법을 이용한 에폭시-층상실리케이트 나노콤포지트 구조적특성 (Morphology Characteristics of Epoxy-Layered Silicate Nanocomposites using Various Types Dispersion Methode)

  • 박재준;김정호;오충연;박현수;박기룡;백관현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9년도 제40회 하계학술대회
    • /
    • pp.1283_1284
    • /
    • 2009
  • 본 연구는 에폭시-층상실리케이트 나노콤포지트 분산을 위해 여러 분산기법을 적용한 경우이다. 층상실리케이트는 층상과 층상사이로 고분자체인의 삽입으로 층과 층사이가 팽창되어 지는 특성을 갖고 있다. 층상실리케이트 나노콤포지트가 완전한 박리가 일어나게 되면 전반적인 물성의 향상이 동반 상승되는 특성을 갖고 있다. 이런 이유로 homogenizer를 이용한 분산특성실험에서는 삽입되는 정도만을 확인할수있었고, 최적 시간/속도특성을 구할수 있었다. 또한 초음파 분산법으로 나노콤포지트가 박리가 일어나는 경우 존재하였고, 그 조건에 대한 최적특성을 구할 수 있었다.

  • PDF

$delta-Na_2Si_2O_5$ 로부터 고분자 나노복합 소재용 유기 층상 실리케이트 합성 및 특성 (Synthesis and Characteristics of Organo-Layered Silicate as an Filler of Polymeric Nanocomposites from $delta-Na_2Si_2O_5$)

  • 김윤섭;고형신
    • 한국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료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발표강연 및 논문개요집
    • /
    • pp.226-226
    • /
    • 2003
  • 일반적으로, 고분자 매트릭스에 층상 점토광물이 분산되어 얻어지는 복합재료는 세가지 형태를 이룬다. 첫째 통상의 복합재료는 고분자 매트릭스 내에 점토입자가 고루게 분산된 상태를 말하며, 둘째 점토 층 사이에 고분자 모노머나 올리고머가 일부분 삽입된 삽입형 복합재료(intercalated composite)이며, 셋째 점토 층 사이에 삽입된 모노머나 올리고머의 경화 또는 중합반응을 통해 점토내의 한층 한층 균일하게 매트릭스 내에 분산된 박리형 나노복합소재(exfoliated nanocomposite) 이다. 이들 복합재료들 중 박리형 나노복합소재는 적은 양의 점토가 단위 층으로 고분자 매트릭스에 완전히 분산되어 다양한 물성의 향상이 기대되는 재료이다. 따라서 최근 고분자의 기계적 강도, 팽윤 저항성 그리고 차폐특성 둥 전반적인 물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 층상 점토광물의 층 사이에 다양한 유기물을 삽입하여 층간거리를 확장시킨 유기 점토광물을 제조하고 이를 고분자 소재에 첨가하여 박리형 나노복합소재를 제조하는 방법이 많은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 PDF

Epoxy-Organoclay Nanocomposites의 Dispersion Agent 영향 (Effect of Dispersion Agents for Epoxy-Organoclay Nanocomposites)

  • 박재준;조대령;이현동;방병윤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Vol.21
    • /
    • pp.296-297
    • /
    • 2008
  • 층상실리케이트 나노입자가 충진된 에폭시수지를 분산정도 향상을 위해 즉, 층상실리케이트 층간간경의 삽입과 박를 향상시키기 위해 분산제를 첨가하였고, 초음파 적용으로 분산시켰다. 그 결과 분산제 종류에따라 분산정도인 X-RD 특성이 서로다른 결과를 얻었다. 절연성능을 평가하기위해 단시간 절연파괴강도와 장시간 절연파괴특성인 트리시스템을 이용하여 절연파괴시간 및 측정하였다. 이와같은 결과에대한 통계적인 분석으로 Weibull plots를 이용하였고 그 결과 분산제가 첨가된 나노콤포지트의 기울기 파라미터인 $\beta$값의 결과로부터 나노콤포지트 우수성을 확인 할수있었다.

  • PDF

경사지반에서 SASW기법 적용시 수치해석을 이용한 영향요소 연구 (Numerical Studies for the Application of the SASW Method in an Inclined Soil Layer)

  • 김동수;윤종구;이병식;박형춘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7권1호
    • /
    • pp.77-84
    • /
    • 2001
  • SASW 기법은 실험에서 얻은 실험분산곡선이 현장 지반 강성의 주상을 합리적으로 반영하므로 실험결과로부터 전단파 속도 주상도를 신속하게 결정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실험결과를 해석하는 과정에서 현재까지는 지반의 층상구조를 수평으로 가정하는 근본적인 한계점을 지니고 있었다. 이는 지반이 수평층상구조가 아닐 경우 해석적인 해를 구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유한요소 수치해석을 통하여 경사진 지반에서 SASW 기법을 수행했을 경우 지반경사를 고려한 지반 조건이 실험분산곡선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이를 위하여 지반의 기울기와 표면파 전파 방향이 실험분산곡선에 미치는 영향과 파의 전파형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해석을 수행하였다. 해석결과 경사지반에서 지반 조건이 변함에 따라 실험 분산곡선에 많은 변화가 나타났고, 경사진 지반에서 파의 전파현상은 수평 층에서의 파의 전파형상과는 전혀 다른 특성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 PDF

에폭시-층상실리케이트 나노콤포지트 초음파 적용 최적 분산조건 (Optimal Dispersion Condition for Application of Power Ultrasonic on Epoxy-Layered Silicate Nanocomposites)

  • 박재준;엄지용;김호균;윤병제;윤여욱;박구현;황병준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8년도 Techno-Fair 및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전기물성,응용부문
    • /
    • pp.157-158
    • /
    • 2008
  • 친환경적인 분산기법으로 강력초음파 분산기법이 최근에 여러연구자들에 의해 적용되어 그 성과를 나타내고 있다. 에폭시-층상실리케이트 제조기법 중 가장 중요한 물성향상이 동반 상승되는 경우 분산처리를 통한 나노콤포지트 제조에 있다. 분산능력의 최적상태를 찾기 위해 초음파 적용시간을 4가지 적용시간을 달리하여 제조된 나노콤포지트 기계적, 전기적강도를 측정하여 와이블 확률분포 통계처리를 한 결과 전기적 절연파괴강도와 기계적 굴곡강도에서 최적의 분산상태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Homogenizer+Ultrasonic을 이용한 Epoxy-Layered Silicate Nanocomposites의 구조적, 열적, 전기적 특성연구 (Morphology, Thermal, Electrical Properties for Epoxy-Layered Silicate Nanocomposites using Homogenizer +Ultrasonic Dispersion Method)

  • 박재준;엄지용;이창훈;김민규;백관현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Vol.21
    • /
    • pp.287-288
    • /
    • 2008
  • 에폭시-층상실리케이트 나노콤포지트의 균질분산과 층상실리케이트내로 침투되는 박리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친환경적 분산기법인 물리적방법으로 Homogenizer와 Power Ultrasonic를 적용한 기법을 실시하였다. Homogenizer의 최적속도를 얻기 위해 분산시킨 나노콤포지트의 박리정도, 유리천이온도를 구할 수 있었고, Homogenizer와 Ultrasonic을 동시에 적용하여 최적시간을 구하기 위해 적용된 나노콤포지트를 절연파괴 강도의 Weibull Plots을 통하여 판단할 수 있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폴리설폰/친유기화 층상실리케이트 나노복합체의 제조 및 표면 특성 (Preparation and Surface Properties of Polysulfone/Organophilic Layered Silicate Nanocomposites)

  • 설경일;마승락;김용석;이재흥;원종찬
    • 접착 및 계면
    • /
    • 제4권4호
    • /
    • pp.15-21
    • /
    • 2003
  • 친유기화 층상실리케이트의 함량을 0.25 wt%에서 9 wt%까지 변화시켜 가며 폴리설폰과 용액 블렌드하여 폴리설폰/친유기화 층상실리케이트 나노복합체를 제조하고, 필름으로 성형하였다. 제조된 폴리설폰/친유기화 층상실리케이트 나노복합체 필름은 XRD 및 TEM을 사용하여 박리여부를 확인하였다. 표면의 morphology 변화는 SEM 및 AFM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폴리설폰 수지에 소량의 층상실리케이트 첨가시에는 표면 조도의 변화가 크게 나타나지 않으나 1.5 wt% 이상의 함량을 첨가하면 삽입만 일어난 층상실리케이트에 의해 표면 조도가 커지는 것으로 보인다. 접촉각 측정을 통한 친유기화 층상실리케이트 함량에 따른 표면 장력의 변화도 1.5 wt%의 층상실리케이트 첨가량을 경계로 하여 변화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이는 층상실리케이트의 함량에 따른 분산 효과에 의해 표면에서의 분포와 배열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균질기와 초음파 동시 분산을 통한 나노콤포지트의 구조적, 열적, 기계적특성 (Structural, Therm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Nano Composites according to Homogenizer and Power Ultrasonic)

  • 염규호;박광식;최성조;전상훈;곽영훈;박재준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10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82-82
    • /
    • 2010
  • 에폭시메트릭스 내에서 초음파 및 균질기를 이용하여 층상실리케이트 마이크로 입자의 균질분산을 위하여 사용하였다. 초음파와 균질기를 동시에 사용하여 최적의 적용시간과 충진나노입자 충진함량과의 관계를 연구하기위하여 구조적 특성으로 X-RD, 열적특성으로 DSC, 열적 기계적 특성으로 DMA를 사용하여 특성을 평가하였다. 충진함량 변화에 대해서 층상실리케이트의 층간사이 간격의 변화는 반비례하는 특성을 나타내었고, 충진함량이 증가됨에따라 자체만으로는 크게 응집된 입자의 분산이 미약한 결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Homogenizer와 동시에 분산할 때는 충진함량이 크게 증가하여도 균질한 분산이 이루어졌다.

  • PDF

층상연료분사(경유/메탄올)를 이용한 디젤엔진의 NOx와 Soot 동시 저감에 관한 연구 (제1보 : 층상분사장치의 설계 및 층상분사 연소특성) (A Study on the Simultaneous Reduction of NOx and Soot with Diesel-Methanol Stratified Injection System in a Diesel Engine (Part I : Design of Stratified Injection System and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Stratified Injection))

  • 강병무;김종률;이선봉;이태원;하종률
    • 한국분무공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28-34
    • /
    • 2000
  • To reduce the soot and NOx simultaneously, a new system of stratified injection is developed. This system discharges stratified diesel-methanol in a D. I. Diesel Engine. Nozzle and delivery valve of conventional injection system were remodeled to inject diesel and methanol from one injector sequently. The quantity of diesel and methanol was controled precisely by micrometers mounted on the injection control lack. The real injection ratio of dual fuel was measured by volumetric ratio. We could confirm the capabilities that soot and NOx simultaneously were reduced by diesel-methanol stratified injection from the results of in-cylinder pressure data obtained from combustion experiment by stratified injection, heat release rate and mass fraction bum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