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층간소음

검색결과 96건 처리시간 0.027초

공동주택 층간소음 해결을 위한 현장관리시스템과 그 효과 (The Management System and Effect of Floor Noise at Apartment Houses)

  • 차상곤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693-697
    • /
    • 2014
  • 본 연구는 민원인(아래층)과 피민원인(윗층)간 전문상담사의 중재를 통해 층간소음 문제를 해결하는 층간소음 현장관리시스템의 실효성을 검증하였다. 민원인(아래층)과 피민원인(위층)의 층간소음 피해경향을 분석한 결과, 4,087건 중 80%에 해당하는 3,254건의 민원인들은 층간소음 발생장소를 바로 윗층을 지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반면에 15%에 해당하는 피민원인들(윗층)은 피해를 받는 원인이 소음이 아니라 피민원인의 전화나 방문 등을 통한 잦은 항의를 지적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1,304건의 현장 방문 민원건수 중 80%에 해당하는 1,050건을 대상으로 현장방문 컨설팅 전 후의 층간소음 저감 등 만족도 조사결과, 약 683건에 해당하는 65%정도의 민원인은 층간소음 현장관리시스템에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층간소음 관리시스템이 민원저감과 아파트 가격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Trend fo Civil Complaint and Apartment Price at Management System of Floor Noise at Houses)

  • 차상곤;김현주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704-709
    • /
    • 2014
  • 본 연구는 현재 사회문제화 되고 있는 층간소음 피해 실태조사 분석을 통하여 적용 가능한 층간소음 분쟁의 예방을 위한 효율적인 관리시스템을 개발 적용하였다. 설문조사 분석결과, 층간소음의 주요 발생 원인으로 아이들 뛰는 소음과 어른 걷는 소음이 55% ~ 75%로 가장 심각한 소음원으로 나타났으며, 소음 피해시간대는 저녁(18시~22시) 시간대는 50% ~ 6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야간(22시~ 06시) 시간대는 26% ~ 45%범위에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층간소음관리시스템 적용 전 후의 민원저감효과 분석결과, 전라도 광주는 100%, 대구시는 87.5%, 서울의 경우는 83%, 경기도는 71% 순으로 나타나, 평균 약 85% 이상의 민원 저감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층간소음관리시스템 적용 전 후의 아파트 가격 변화 분석결과, 적용된 아파트의 경우는 평균 17.23백만원 상승한 반면, 미적용된 아파트는 0.55백만원 하락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설문조사를 통한 소음 민감도에 따른 층간소음에 의한 성가심과 생활방해 연구 (A study on the annoyance and disturbance of floor impact noise according to noise sensitivity based on questionnaire survey)

  • 정정호;이성찬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428-436
    • /
    • 2018
  • 소음에 대한 반응은 응답자의 소음 민감도에 따라 차이가 발생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음 민감도와 함께 층간소음에 대한 거슬림, 생활방해, 이웃에 대한 의견 등을 조사하였다. 설문조사 응답자를 소음 민감도 그룹별로 구분하고 소음 민감도 그룹별 층간소음의 거슬림, 생활방해 등에 대하여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 소음 민감도 설문조사 방법을 제시하였다. 설문조사는 서울, 경기 지역 공동주택 거주경험자 233명을 대상으로 층간소음에 의한 거슬림, 생활방해와 소음 민감도, 이웃에 대한 의견과 층간소음 발생 시 항의 방법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민감도 그룹을 3개로 나눈 경우 소음 민감도가 높은 그룹의 층간소음 거슬림과 생활방해 반응이 나머지 그룹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웃에 대한 느낌 조사 결과 연령대가 증가함에 따라 이웃에 대한 긍정적 반응이 증가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이웃에 대해 긍정적 느낌을 갖는 그룹의 층간소음 거슬림, 생활방해 인식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층간소음 진원지 인지 시스템을 위한 실험 시나리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xperiment Scenarios for Floor Noise Epicenter Recognition Systems)

  • 고재현;김능회;정동원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9-11
    • /
    • 2021
  • 현재 우리나라는 층간소음 발생 추이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2차 갈등의 문제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으나 층간소음 실험에 대한 정의가 명확하지 않고, 다양한 상황에서의 층간소음 데이터를 획득할 수 없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층간소음 진원지 인지 시스템을 위한 다양한 층간소음 실험 시나리오를 정의한다. 이를 위해 실험에 필요한 환경과 실생활에서 발생하는 층간소음 유형 및 수집기의 위치, 소음 강도를 고려하여 실험 시나리오를 정의한다. 정의한 실험 시나리오 기반으로 데이터 수집 및 학습 연산을 수행할 경우, 층간소음 인지 시스템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 PDF

층간소음의 건강영향 (Health Effects of Apartment Noise)

  • 박영민;김경민
    • 환경정책연구
    • /
    • 제14권1호
    • /
    • pp.113-134
    • /
    • 2015
  • 2013년 전체 신규 주택 수요 중에서 아파트 등의 공동주택이 차지하는 비중이 89.9%이다. 이와 같이 공동주택의 다수의 세대가 함께 거주함으로써 이웃 간 층간소음에 관한 분쟁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한국에서의 층간소음 문제는 세계적으로 상당히 심각한 수준으로 국민의 약 88%가 층간소음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 한편, 정부는 층간소음 분쟁 완화를 위해 바닥두께 및 바닥충격음 저감성능 등과 같은 규제강화와 공동주택 단지별로 자체적인 해결을 유도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물리적 규제와 소극적인 관리정책으로는 층간소음 분쟁완화에 한계가 있다. 또한, 실내 정온한 생활환경을 위한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층간소음에 대한 건강영향이 고려된 정책마련이 필요하다. 따라서 소음노출에 따른 인체반응 연구사례를 조사하여 소음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층간소음 노출기간에 따른 건강영향을 고찰하였다.

  • PDF

아파트 층간 소음 문제 해결 방안이 없을까?

  • 안종석
    • 주택과사람들
    • /
    • 통권190호
    • /
    • pp.76-77
    • /
    • 2006
  • 아파트에 살면서 층간 소음 문제로 고민해보지 않은 사람은 없을 것이다. 층간 소음은 누구나 고민하는 문제이지만 해결하기가 쉽지 않은 분쟁 사항 중 하나다. 법률적으로 층간 소음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이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자.

  • PDF

공동주택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능동소음제어(ANC) 기술 적용가능성 분석 (Analysis of Applicability of Active Noise Control (ANC) technique for Reducing Inter-Floor Noise in Apartment Buildings)

  • 남진원;김호진;김준환;위혁;김중관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6권5호
    • /
    • pp.49-56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능동소음제어(ANC, Active Noise Control) 기술을 이용하여 공동주택의 층간소음을 저감시키는 시뮬레이션 기반 연구를 수행하였다. ANC의 층간소음 저감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층간소음시험시설에서 가속도계와 소음 수집용 마이크로폰을 설치하여 임팩트볼 낙하에 의한 소음진동을 측정하여 Fx-LMS 알고리즘 기반의 능동소음제어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적응제어 수렴계수 등의 최적 시뮬레이션 조건을 도출한 후 가속도계와 스피커 수량을 변수로 하는 수치 시뮬레이션을 통해 소음저감효과를 분석하여 제한된 조건에서 층간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아두이노를 이용한 홈 IoT 층간 소음측정 어플리케이션 (Home IoT Noise Measurement Application Using Arduino)

  • 서정민;장민섭;이미란;김건희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602-605
    • /
    • 2017
  • 본 논문에서 우리는 최근 심각한 사회문제로 떠오르고 있는 '층간소음'을 공학기술과 접목하여 이를 저감 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현재 4차산업혁명시대를 맞이하여 인공지능, AR(Augmented Reality), VR(Virtual Reality), IOT(Internet Of Things), 빅 데이터(Big Data) 등이 등장하고 있다. 우리는 '층간소음' 저감효과를 이끌어 낼 수 있는 방안으로 아두이노를 활용해 홈 IOT와 결합한 형태를 제안한다. 우리는 먼저 기존의 '층간소음' 해결절차를 설명하고 이를 보완한 시스템을 설계하고 이를 구현한다. 우리는 본 논문에서 제시된 방안인 '아두이노를 이용한 홈 IOT 층간소음 측정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더 나은 주거 환경을 조성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층간소음 해결을 위한 통합서버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tructing integrated server to solve floor noise)

  • 최지희;이가연;김기찬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9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284-287
    • /
    • 2019
  • 이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층간소음 데이터를 측정하여 기록하고, 그 정보를 바탕으로 차트와 LED 를 이용해 소음의 정도를 시각화 하여 스스로 심각성을 인지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이웃과의 소통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이며 층간소음으로 인한 세대 간의 갈등을 줄이고, 사회문제 중 하나로 자리잡은 층간소음 문제를 해결될 거라고 사료된다.

공동주택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환기장치용 소음기 개발 (Development of Ventilation Silencer for Noise Reduction of Apartments)

  • 오진우;이종석;이장현;이성춘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247-1251
    • /
    • 2006
  • 공동주택의 보급 증가에 따라 화장실과 같이 환기용 덕트를 통한 층간 소음전달 문제가 예상되어 환기용 덕트에 간단히 설치하여 층간 소음 전달을 차단할 수 있는 환기장치용 소음기를 개발하였다. 본 개발품은 소음 차단 기능이 확실하고, 구조가 간단하며 분해조립이 가능하여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제품이다. 또한 습기에 의한 부식이 없고, 먼지와 습기를 쉽게 제거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성능시험 결과 환기용 덕트를 통한 소음의 전달을 10dB 이상 저감시킬 수 있고, 삽입에 의한 압력손실 2mmAq 이하가 됨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