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측 방향

검색결과 431건 처리시간 0.029초

의료 진단용 선형 배열 변화기의 측 방향 해상도 개선 (An Improvement of the Lateral Resolution of Linear Array Transducer for Medical Ultrasonic Imaging)

  • 백승한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1991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36-141
    • /
    • 1991
  • 초음파 영상 진단기에서 영상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넓은 범우에서 높은 측 방향 해상도가 요구된다. 측 방향 해상도는 변환기에 의해 발생되는 초음파 빔폭에 의해 좌우되는데 기존의 변환기는 초점 부근에서는 빔폭이 매우 좁으나 집속 범위가 제한되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넓은 범위에서 균일한 빔폭을 얻을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변환기를 제안하고 변환기에 의한 음장 분포를 전산기 모의 실험을 통해 구하였으며 그 결과 초점 부근에서는 빔 폭이 기존의 변환기에 비해 다소 넓어지나 집속 범위가 기존의 변화기에 비해 넓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IMO SAR 해상수색패턴 적용 시뮬레이션 결과 분석

  • 박재홍;정중식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2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73-174
    • /
    • 2023
  • IAMSAR Manual 국문본인 국제항공 및 해상수색 구조편람에 따른 확대사각(SS: Expanding Square Search) 수색패턴은 수색 대상의 표류 위치를 한정할 수 있을 때 적용하도록 하고 있으며, 수색 기법에 있어 추측항법 적용의 필요성과 함께 조난대상의 표류 추정 위치인 Datum으로부터의 첫 번째 수색 방향 S의 결정은 바람이 불어오는 쪽인 풍상 측을 향하도록 하여 항해 오차를 최소화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첫 직행 구간 S 결정에 있어 IAMSAR Manual 영문본 및 USCG SAR Manual에 따르면 S는 풍하 측 또는 표류하는 방향으로 결정하는 것이 옳은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이는 항해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한 추측항법 적용 관점에도 부합하는 것으로 보이는바, 이 연구에서는 USCG SAR Manual 등 다른 수색 지침서에서는 Drift 방향으로 제시한 첫 번째 S 방향을 근거로 IAMSAR Manual 국문본의 오류 가능성을 제시하였고, 풍상과 풍하 측으로 상반된 첫 번째 S 방향에 따른 수색 결과의 비교를 위해 선박조종시뮬레이션을 활용, 확대사각 수색상황을 재연하여 각각의 수색패턴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확대사각 수색패턴 결과에서 수색 대상에 더욱 근접한 첫 번째 S 방향은 수색 대상이 표류하는 방향과 일치하는 풍하 측임을 확인하였다.

  • PDF

유해 트래픽 방향에 따른 침입 탐지 기법 분석 (An Analysis of Intrusion Detection techniques assorted by malicious traffic directions)

  • 최병하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12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9 No.1(A)
    • /
    • pp.57-59
    • /
    • 2012
  • 본 논문은 유해 트래픽을 탐지하는 보안 장비와 그에 따른 탐지 또는 차단 기법들을 분석한다. 즉 서버측의 방화벽, 침입 탐지 시스템과 웹 방화벽의 순서로 보안 장비의 배치와 클라이언트 측의 보안 시스템을 보여주고 이들의 탐지 기법들을 소개한다. 이후 이 장비들의 유해트래픽의 방향에 따른 탐지 기법들을 분석하고 유해트래픽 방향에 따라 침입을 탐지할 수 있는 탐지 기법들을 분석한다. 또한 유해 트래픽의 방향에 따라 탐지기법이 부족한 방향을 제시한다.

고기동 추진기관의 노즐개방형 측추력기 개발 (Development of Side Jet Thruster with Nozzle Closure Separation Device)

  • 한혁섭;박의용;김동진;손영일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80-85
    • /
    • 2014
  • 노즐개방형 측추력기는 고체 추진기관을 사용하는 비행체의 궤도 수정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노즐개방형 측추력기는 비교적 낮은 연소온도를 가지는 추진제, 안정된 추력을 공급하기 위한 중립형 추진제 그레인, 선택적 노즐 사용이 가능한 노즐개방장치로 구성되었다. 궤도 수정이 요구되면 추력 반대방향으로 필요한 추력만큼 노즐을 개방하여 비행체에 측추력을 발생시킨다. 궤도 수정 후 추력방향으로 노즐을 개방하여 측추력을 제거함으로써 추력 발생을 정지한다. 지상연소시험을 통해 측추력기의 작동과정을 확인하였으며, 본 연구를 통하여 개발된 노즐개방형 측추력기는 노즐개방을 통한 측추력 제어를 통해 비행체의 궤도 수정에 활용할 수 있다.

굴곡형 선형 배열 탐촉자의 음장에 미치는 구조 파라메터의 영향 (Effect of Structural Parameters on Acoustic Field of A Curved Linear Array Transducer)

  • 송행용;하강열;김무준;김동현;이수성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2002년도 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21권 1호
    • /
    • pp.385-388
    • /
    • 2002
  • 현재 복부용 초음파 진단장치에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 되고 있는 3.5MHz의 굴곡형 선형배열(curved linear array) 탐촉자에 대하여, 탐촉자 요소의 폭과 높이, 측 방향 및 높이 방향의 곡률 반경 둥의 구조적인 파라메터 변화가 음장에 미치는 영향을 시물레이션을 통하여 체계적으로 해석하였다. 시물레이션에 있어서, 탐촉자는 128개의 요소변환자 중 32개에 의해 초음파 빔을 형성하며, 매질 중에 방사된 파형은 코사인 포락선을 갖는 3주기의 펄스인 것으로 일정하게 가정하였다. 시뮬레이션의 결과, 탐촉자의 측 방향 및 높이 방향 곡률보다는 탐촉자 요소의 폭 및 개구높이가 음장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조도계수와 난류점성계수에 따른 사행수로에서의 유속분포 (Velocity Distribution in Meandering Channel by Roughness Coefficient and Eddy Viscosity)

  • 서일원;송창근;최황정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10년도 정기 학술발표대회
    • /
    • pp.97.1-97.1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천수방정식의 매개변수인 조도계수와 난류점성계수에 따른 사행수로에서의 유속분포를 수치모의하였다. 벽면조도계수와 텐서형 난류점성계수를 변화시켜 8가지 수치모의 조건을 구성하였으며, 만곡부 정점에서의 횡방향 유속분포를 수리실험에 의한 측정값과 비교하였다. 벽면조도계수가 커질수록 벽면에서의 유속이 감소하여 실측값과 가까워지지만 벽면 이외의 영역에서는 오히려 유속이 증가하여 실측값보다 커졌다. 난류점성계수가 커질수록 만곡부 내외측의 유속차는 작게 나타났으며 xx와 yy방향으로 가중된 난류점성계수를 가지는 경우가 xy방향으로 가중된 난류점성계수를 가지는 경우에 비해 내외측 유속차가 약간 작게 나타났다.

  • PDF

EAI의 C.M의 Ledger File을 통한 데이터 전달보증 처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ssure data dilivery using C.M(Certificate Message) Ledger)

  • 조승용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및 정기총회
    • /
    • pp.133-136
    • /
    • 2005
  • EAI(Enterprise Application Integration : 전사적 애플리케이션 통합)는 기업간 또는 기업 내부의 다양하고 이질적인 시스템과 애플리케이션 그리고 비즈니스 프로세서를 통합 하는것[1]이며,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데이타 처리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인 수신측 장애시 데이터의 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C.M(Certificate Message)방식을 제안하였으며 이를 증명하기 위하여 Ledger File에 Confirm 되지않은 메시지를 보관하여 수신측의 장애 이거나 네트워크 장애에도 Data 손실을 방지하는, Review Ledger File 방식을 적용한 C API 프로그램으로 구현하여 증명함 으로써 수신측 상태가 정상적으로 된 경우에 송신측의 Ledger File 다시 읽어서 재송신하여 그 어떤 장애 상황에도 Data 손실됨을 방지하여 실시간 트랜잭션의 처리에 획기적인 방법을 제시하였고, 기존 EAI 시스템 개발시에 문제점으로 대두된 표준화된 개발 방법이 부재하여 개발 및 유지보수에 많은 비용이 발생한 것에 대하여 본 논문은 표준화 방법을 통하여 해결책을 제시하였고, 또한 Ledger File 및 데이타에 대한 모니터링 방법을 Cobol API 프로그램을 통하여 구현하여 실시간 장애 모니터링 방법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결론에서 앞으로의 발전방향에 대하여 논의한다.

  • PDF

FSW된 이종알루미늄합금의 접합 특성 및 미세 조직 (Mechanical Properties and Microstructure on Dissimilar Friction-Stir-Weld of Aluminium Alloys)

  • 한민수;장석기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5권1호
    • /
    • pp.75-81
    • /
    • 2011
  • 이종합금인 알루미늄 합금 6061-T6와 알루미늄 합금 5083-O의 용접을 위해 마찰교반 용접기술을 사용하였다. 마찰교반 용접된 이종 접합부에 대하여 기계적 특성, 경도 및 조직변화를 관찰하였다. 용접재의 기계적특성은 후진 측에 위치한 알루미늄 합금의 교반영역에 형성되는 미세조직이 주요한 변수로 작용하였다. 이종 알루미늄 합금이 교차한 양파 모양 형상의 얇은 층을 이루었다. 미세조직관찰에서 공구회전방향과 무관하게 이종합금 접합부에 기공이 관찰되지 않았으나 6061-T6 쪽 열영향부 영역에서 결정립 조대화기 뚜렷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 결함이 없는 최상의 용접조건은 Al 6061-T6를 공구 진행방향에 전진 측에, Al 5083-O를 후진 측에 위치하고, 이송속도 124 mm/min, 1250 rpm의 공구의 회전수, 5 mm의 프루브 직경, 4.5 mm의 프루브 길이, 20 mm의 공구어깨, $2^{\circ}$의 공구 경사각 이다. 이때 용접재의 최대인장강도는 231 MPa이였고, 항복강도는 121 MPa을 나타내었다.

항공사진과 기준목 측정자료를 이용한 안면도 바람아래 해빈의 시계열 변화 분석 (Time-series Analysis of Baramarae Beach in Anmyeondo Using Aerial Photographs and Field Measurement Data)

  • 김장수;장동호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39-51
    • /
    • 2011
  • 본 연구는 안면도 바람아래 해빈의 형태와 퇴적 및 침식환경 변화를 시계열 분석하였다. 1967년부터 2009년까지의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바람아래 해빈 형태를 시계열 분석한 결과, 할미섬 남단에 발달한 사취의 방향성이 EEN의 방향성을 가지고 있었지만, 점차 서진하면서 2009년 항공사진에서는 NNS의 방향성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현장실측 결과 H-3, H-4, H-5, H-6 지점은 퇴적환경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H-7, H-8, H-9 지점은 침식환경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할미섬의 남서변은 퇴적이 우세하고 북동변은 침식이 우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H-3 ~ H-6 지점의 결과는 할미섬의 남서변에 설치된 제방에 의해 해빈의 모래가 할미섬의 북동변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이들 지점에 퇴적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며, 역설적으로 할미섬의 남서변에서 모래를 공급받지 못한 북동변의 H-7 ~ H-9 지점은 침식이 우세하게 진행 된 것으로 판단된다. 계절별 분석결과, 전 지점에서 퇴적이 우세한 계절은 가을철이며 침식이 우세한 계절은 봄철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할미섬을 남서측과 북서측으로 구분해 보면 남서측은 주로 가을철에 퇴적이 우세한 반면, 북서측은 여름철에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침식은 남서측은 겨울철과 봄철에 우세하고, 북서측은 여름철에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