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측 방향

Search Result 431,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n Improvement of the Lateral Resolution of Linear Array Transducer for Medical Ultrasonic Imaging (의료 진단용 선형 배열 변화기의 측 방향 해상도 개선)

  • 백승한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1.06a
    • /
    • pp.136-141
    • /
    • 1991
  • 초음파 영상 진단기에서 영상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넓은 범우에서 높은 측 방향 해상도가 요구된다. 측 방향 해상도는 변환기에 의해 발생되는 초음파 빔폭에 의해 좌우되는데 기존의 변환기는 초점 부근에서는 빔폭이 매우 좁으나 집속 범위가 제한되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넓은 범위에서 균일한 빔폭을 얻을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변환기를 제안하고 변환기에 의한 음장 분포를 전산기 모의 실험을 통해 구하였으며 그 결과 초점 부근에서는 빔 폭이 기존의 변환기에 비해 다소 넓어지나 집속 범위가 기존의 변화기에 비해 넓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IMO SAR 해상수색패턴 적용 시뮬레이션 결과 분석

  • 박재홍;정중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05a
    • /
    • pp.173-174
    • /
    • 2023
  • IAMSAR Manual 국문본인 국제항공 및 해상수색 구조편람에 따른 확대사각(SS: Expanding Square Search) 수색패턴은 수색 대상의 표류 위치를 한정할 수 있을 때 적용하도록 하고 있으며, 수색 기법에 있어 추측항법 적용의 필요성과 함께 조난대상의 표류 추정 위치인 Datum으로부터의 첫 번째 수색 방향 S의 결정은 바람이 불어오는 쪽인 풍상 측을 향하도록 하여 항해 오차를 최소화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첫 직행 구간 S 결정에 있어 IAMSAR Manual 영문본 및 USCG SAR Manual에 따르면 S는 풍하 측 또는 표류하는 방향으로 결정하는 것이 옳은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이는 항해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한 추측항법 적용 관점에도 부합하는 것으로 보이는바, 이 연구에서는 USCG SAR Manual 등 다른 수색 지침서에서는 Drift 방향으로 제시한 첫 번째 S 방향을 근거로 IAMSAR Manual 국문본의 오류 가능성을 제시하였고, 풍상과 풍하 측으로 상반된 첫 번째 S 방향에 따른 수색 결과의 비교를 위해 선박조종시뮬레이션을 활용, 확대사각 수색상황을 재연하여 각각의 수색패턴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확대사각 수색패턴 결과에서 수색 대상에 더욱 근접한 첫 번째 S 방향은 수색 대상이 표류하는 방향과 일치하는 풍하 측임을 확인하였다.

  • PDF

An Analysis of Intrusion Detection techniques assorted by malicious traffic directions (유해 트래픽 방향에 따른 침입 탐지 기법 분석)

  • Choi, Byung-Ha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2.06a
    • /
    • pp.57-59
    • /
    • 2012
  • 본 논문은 유해 트래픽을 탐지하는 보안 장비와 그에 따른 탐지 또는 차단 기법들을 분석한다. 즉 서버측의 방화벽, 침입 탐지 시스템과 웹 방화벽의 순서로 보안 장비의 배치와 클라이언트 측의 보안 시스템을 보여주고 이들의 탐지 기법들을 소개한다. 이후 이 장비들의 유해트래픽의 방향에 따른 탐지 기법들을 분석하고 유해트래픽 방향에 따라 침입을 탐지할 수 있는 탐지 기법들을 분석한다. 또한 유해 트래픽의 방향에 따라 탐지기법이 부족한 방향을 제시한다.

Development of Side Jet Thruster with Nozzle Closure Separation Device (고기동 추진기관의 노즐개방형 측추력기 개발)

  • Han, Houkseop;Park, Euiyong;Kim, Dongjin;Son, Youngi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 /
    • v.18 no.2
    • /
    • pp.80-85
    • /
    • 2014
  • Side jet thruster using nozzle closure separation device provides a solid rocket with a trajectory shift function. Side jet thruster consists of low combustion temperature propellant, neutral type propellant grain and nozzle closure separation device. If a trajectory shift is required, side jet thrust is generated on the rocket by separating some nozzle closures loc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rust. After completing trajectory shift, the other nozzle closures located in the thrust direction are separated to cease side jet thrust. The operation process is verified through ground static test. The result in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changing rocket trajectory by controlling side jet thrust through nozzle closure separation.

Effect of Structural Parameters on Acoustic Field of A Curved Linear Array Transducer (굴곡형 선형 배열 탐촉자의 음장에 미치는 구조 파라메터의 영향)

  • Song Heang-Yong;Ha Kang-Lyeol;Kim Moo-Joon;Kim Dong-Hyeon;Lee Soo-Sung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spring
    • /
    • pp.385-388
    • /
    • 2002
  • 현재 복부용 초음파 진단장치에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 되고 있는 3.5MHz의 굴곡형 선형배열(curved linear array) 탐촉자에 대하여, 탐촉자 요소의 폭과 높이, 측 방향 및 높이 방향의 곡률 반경 둥의 구조적인 파라메터 변화가 음장에 미치는 영향을 시물레이션을 통하여 체계적으로 해석하였다. 시물레이션에 있어서, 탐촉자는 128개의 요소변환자 중 32개에 의해 초음파 빔을 형성하며, 매질 중에 방사된 파형은 코사인 포락선을 갖는 3주기의 펄스인 것으로 일정하게 가정하였다. 시뮬레이션의 결과, 탐촉자의 측 방향 및 높이 방향 곡률보다는 탐촉자 요소의 폭 및 개구높이가 음장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Velocity Distribution in Meandering Channel by Roughness Coefficient and Eddy Viscosity (조도계수와 난류점성계수에 따른 사행수로에서의 유속분포)

  • Seo, Il-Won;Song, Chang-Geun;Choi, Hwang-Jeong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2a
    • /
    • pp.97.1-97.1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천수방정식의 매개변수인 조도계수와 난류점성계수에 따른 사행수로에서의 유속분포를 수치모의하였다. 벽면조도계수와 텐서형 난류점성계수를 변화시켜 8가지 수치모의 조건을 구성하였으며, 만곡부 정점에서의 횡방향 유속분포를 수리실험에 의한 측정값과 비교하였다. 벽면조도계수가 커질수록 벽면에서의 유속이 감소하여 실측값과 가까워지지만 벽면 이외의 영역에서는 오히려 유속이 증가하여 실측값보다 커졌다. 난류점성계수가 커질수록 만곡부 내외측의 유속차는 작게 나타났으며 xx와 yy방향으로 가중된 난류점성계수를 가지는 경우가 xy방향으로 가중된 난류점성계수를 가지는 경우에 비해 내외측 유속차가 약간 작게 나타났다.

  • PDF

A Study on assure data dilivery using C.M(Certificate Message) Ledger (EAI의 C.M의 Ledger File을 통한 데이터 전달보증 처리에 관한 연구)

  • Cho, Seung-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5.11a
    • /
    • pp.133-136
    • /
    • 2005
  • EAI(Enterprise Application Integration : 전사적 애플리케이션 통합)는 기업간 또는 기업 내부의 다양하고 이질적인 시스템과 애플리케이션 그리고 비즈니스 프로세서를 통합 하는것[1]이며,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데이타 처리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인 수신측 장애시 데이터의 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C.M(Certificate Message)방식을 제안하였으며 이를 증명하기 위하여 Ledger File에 Confirm 되지않은 메시지를 보관하여 수신측의 장애 이거나 네트워크 장애에도 Data 손실을 방지하는, Review Ledger File 방식을 적용한 C API 프로그램으로 구현하여 증명함 으로써 수신측 상태가 정상적으로 된 경우에 송신측의 Ledger File 다시 읽어서 재송신하여 그 어떤 장애 상황에도 Data 손실됨을 방지하여 실시간 트랜잭션의 처리에 획기적인 방법을 제시하였고, 기존 EAI 시스템 개발시에 문제점으로 대두된 표준화된 개발 방법이 부재하여 개발 및 유지보수에 많은 비용이 발생한 것에 대하여 본 논문은 표준화 방법을 통하여 해결책을 제시하였고, 또한 Ledger File 및 데이타에 대한 모니터링 방법을 Cobol API 프로그램을 통하여 구현하여 실시간 장애 모니터링 방법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결론에서 앞으로의 발전방향에 대하여 논의한다.

  • PDF

Mechanical Properties and Microstructure on Dissimilar Friction-Stir-Weld of Aluminium Alloys (FSW된 이종알루미늄합금의 접합 특성 및 미세 조직)

  • Han, Min-Su;Jang, Seok-Ki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35 no.1
    • /
    • pp.75-81
    • /
    • 2011
  • Dissimilar joining of aluminum 6061-T6 alloy to aluminum 5083-O alloy was performed using friction-stir welding technique. The mechanical properties, hardness, macro- and micro-structure on dissimilar friction-stir-weld aluminium alloy were investigated.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weld mainly depend on which Al alloy is placed at the retreating sides of the rotating tool respectively during dissimilar friction-stir weld because the microstructure of stir zone was mainly composed of welded Al alloys of the retreating side. Onion ring pattern was observed like lamella structure stacked by each Al alloy in turn. It apparently results in defect-free weld zone that traverse speed was changed to 124 mm/min under conditions of tool rotation speed like 1250 rpm with 5 mm of tool's prove diameter, 4.5 mm of prove length, 20 mm of shoulder diameter, and $2^{\circ}$ of tilting angle. The 231 MPa of ultimate stress and the 121 MPa of yield point are obtained about the friction-stir-welded Al 6061-T6(AS) to Al 5083-O(RS).

Time-series Analysis of Baramarae Beach in Anmyeondo Using Aerial Photographs and Field Measurement Data (항공사진과 기준목 측정자료를 이용한 안면도 바람아래 해빈의 시계열 변화 분석)

  • KIM, Jang-soo;JANG, Dong-Ho
    • Journal of The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of Korea
    • /
    • v.18 no.2
    • /
    • pp.39-51
    • /
    • 2011
  • In this study, the shape of the Baramarae beach, Anmyeondo Area in West Coast of Korea and the changes in the sedimentation and erosion environment were analyzed in time series. As a result of the time series analysis of the shape of the Baramarae beach using aerial photographs from 1967 to 2009, the sand spit that developed in the southern part of Halmi Island was found to have had an EEN direction, but it was changed to a NNS direction, as reflected in the 2009 aerial photographs, as it gradually shifted to the west. In the onsite measurement, the H-3, H-4, H-5, and H-6 spots showed a superior sedimentation environment and the H-7, H-8, and H-9 spots showed a superior erosion environment. It was thus found that sedimentation is superior in the southwest beach and that erosion is superior in the northeast beach. The results in the spots between H-3 and H-6 indicate that the sand in the beach could not move to the northeast beach of Halmi Island due to the bank that had been established in the southwest beach of the island. On the other hand, it seems that superior erosion takes place in spots H-7 to H-9 in the northeast beach, where sand is not provided from the southwest beach of Halmi Island. It was found from the seasonal analysis that the season when superior sedimentation takes place in all the spots is autumn, and that the season when superior erosion takes place is summer. Superior sedimentation takes place in winter and spring in the southeast side and in summer in the northwest si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