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측정 도구 개발

검색결과 1,510건 처리시간 0.033초

측정도구의 심리계량적 속성 1: 내용타당도 (Psychometric property of an instrument 1: content validity)

  • 이은현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0-13
    • /
    • 2021
  • 내용타당도는 측정도구의 내용이 측정하고자 하는 구성개념을 얼마나 적절히 반영하고 있는가에 대한 것이다. 그 과정은 예비측정 도구 개발 단계와 개발된 것이 측정하고자 하는 구성개념을 잘 반영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측정하고자 하는 구성개념에 대한 개념화와 예비질문지 개발이 이루어진다. 그 후, 전문가와 측정도구를 사용하고자 하는 대상자를 대상으로 개발된 예비문항의 관련성, 포괄성, 및 이해성을 판단하게 된다.

초등학생의 수학 불안 측정 도구 개발 연구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Mathematics Anxiety Scale for Elementary Students)

  • 김리나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1권4호
    • /
    • pp.431-444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와 초등학교 3-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의 통계적 검증을 토대로 초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수학 불안 측정 도구를 개발하였다. 측정 도구는 수학 사교육 여부와 상관없이 수학 불안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와 수학 사교육에 참여하는 학생들에게 추가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도구, 총 2종으로 개발되었다. 문헌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수학 불안 측정 도구는 수학 시험, 수학 수업, 수학 교사, 수학 수업과 관련한 부모님의 태도, 수학 상황에 대한 걱정이라는 다섯 가지 요인을 기반으로 설계되었다. 수학 사교육 관련 수학 불안 측정 도구는 사교육 수학 시험, 사교육 수학 수업, 사교육 교사라는 세 가지 요인을 기반으로 제작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신뢰도 검증을 위해 두 측정 도구에 대해 주성분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또한 연구 참여자에게 수학 불안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수학 자기 효능감 측정 도구를 적용, 본 연구에서 개발한 측정도구와의 상관관계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문헌연구, 통계적 분석을 기반으로 한 신뢰도 타당도 검증을 통해 본 연구에서는 21개의 수학 불안 측정도구 문항과 7개의 수학 사교육 관련 수학 불안 측정 도구 문항을 확정하였다.

영적 고뇌 측정도구에 대한 고찰 (Review of Spiritual Distress Assessment Tools: A Literature Review)

  • 김진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383-390
    • /
    • 2019
  • 본 연구는 영적 고뇌 측정도구의 속성을 평가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2016년 4월1일부터 4월20일까지 국내외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중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해 선정된 논문을 중심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최종 선정된 문헌은 국내외 논문 10개였으며, 표준화된 영적 고뇌 측정도구는 국내1개, 국외3개 도구가 있었으며, 이를 중심으로 도구의 속성을 평가하였다. 영적 고뇌 측정도구는 당뇨환자, 암환자, 노인환자 등을 대상으로 개발되었고, 영적 고뇌를 사정하여 영적 간호를 제공하기 위한 전인적 접근을 목적으로 하고 있었다. 국내에서 개발된 도구는 신뢰도가 낮았고, 구성 타당도가 입증되지 않았으며 다차원적 영적인 개념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었다. 국외에서 개발된 도구는 타문화권 적용시 국내의 문화 종교적 배경을 고려해야 하며 간호사가 활용할 수 있는 도구가 부족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여 다차원적인 영적 개념을 반영한 도구 개발이 필요하다.

초등학생의 일상적 신체활동 측정 도구 개발을 위한 예비조사 (Developing an Instrument to Evaluate Habitual Physical Activity Level of Elementary School-aged Children in Large Populations: A Preliminary Study)

  • An, Ji-Yeon;Tak, Young-Ran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1-14
    • /
    • 2010
  • 목적: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신체활동 정도를 사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탐색적 연구이다. 방법: 본 연구는 도구개발과정과 예비조사(preliminary study)로 구분되어 있다. 신체활동의 구성요인 규명, 초기문항 작성, 내용타당도 검증, 최종도구 고안, 문항분석, 신뢰도 및 타당도 분석을 통해 총 41문항의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예비조사는 서울시 소재 국공립 초등학교에 재학중인 초등학생 총 28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고 만보계와 Borg's scale을 이용하여 동시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결과: 예비조사 결과, 개발된 도구는 높은 내적 일관성을 보였고(cronbach's alpha=.89), 준거타당도를 위한 준거지표와의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에서는 만보계에 의해 측정된 도보수 (r=.69, p<.001)와 주관적 운동강도를 측정한 Borg's scale 점수(r=.76, p<.001)와 각각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에서 개발된 도구는 초등학생의 신체활동 종류, 빈도, 강도 및 시간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자가보고식 형태로 초등학생의 일상적인 신체활동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로 평가되었다. 비록 신체활동을 객관적으로 측정한 도구는 아니지만 신체활동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대규모 대상자에게 적용할 수 있는 실용적인 도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과학경험 측정을 위한 도구 개발 및 적용 : 고등학생 사례를 중심으로

  • 김낙규;류춘렬;이창진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과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7-17
    • /
    • 2010
  • 본 연구는 학생들의 과학 경험의 정도를 정량화 하는데 있어 통일된 측정 도구를 제시하는 것이다. 측정 도구를 구성하는 요인들은 선행연구를 통해 학교 안 과학 경험은 일반 활동 경험, 과학 탐구 경험, 실험 기구 경험으로 세분화 되며 학교 밖 과학 경험은 일반 활동 경험, 취미 활동 경험, 현장 견학 경험 6개의 영역으로 구분을 할 수 있었다. 각각의 요인을 구성하는 질문은 NAEP(1987)에서 사용된 과학 경험 검사 도구와 신영준(2000)의 과학 경험 검사 도구의 문항 중 일부를 발췌하고 더불어 과학 경험에 대한 개방적인 설문지를 통하여 1차 검사를 실시하여 얻은 답변 중 빈도가 많은 답변과 중등 교과서의 탐색적 분석을 통해 영역별 10문항씩 6개 영역의 문항을 선정하였다. 사전 설문조사와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개발한 검사지를 고등학교 1학년 학생 413명을 대상으로 2차 검사를 실시하였다. 개발한 측정 도구의 타당도는 내용타당도와 구인타당도로 검사하였다. 내용타당도는 2명의 현직 중등교사와 2명의 과학교육전문가가 각 문항이 측정하고자 하는 목적에 부합하는지 심사하였고, 구인타당도는 요인분석을 통해 검사하였다. 신뢰도는 Cronbach $\alpha$를 통하여 문항을 분석하였다. 6개의 영역의 요인에 대하여 타당도와 신뢰도 분석 결과 6개 영역으로 구성된 60문항의 측정 도구는 학생들의 과학 경험을 측정하는 도구로서 적절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 PDF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 간호활동 측정도구 개발 (Development of the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Scale for Clinical Nurses)

  • 김화영;류세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9호
    • /
    • pp.207-217
    • /
    • 2018
  •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 간호활동 측정도구를 개발하여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문헌고찰, 포커스그룹 인터뷰, 내용타당도 검증 및 사전조사를 통해 예비도구를 개발하고, 전국 종합병원급 이상의 병원을 대상으로 비례층화표본추출 방법으로 선정된 28개 병원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도구의 구성타당도는 탐색적 요인분석으로, 준거타당도는 환자안전문화 도구와 상관관계로 분석하였고, 내적일관도는 Cronbach's ${\alpha}$로 검증하였다. 개발된 도구는 최종 10영역 72문항으로 구성된 4점 총화평정척도였고,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총 설명변량은 70.3%이었으며, 요인적재량은 .74이상이었다. 본 도구는 환자안전문화 측정도구와 유의한 상관관계(r=.51, p<.001)를 나타냈으며 Cronbach's ${\alpha}$는 .99였다. 결론적으로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 간호활동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본 도구는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되었고 실무현장에서 유용한 도구가 될 것이다.

e-Business 환경에서 e-Business 인력의 능력 측정을 위한 방법론 (A Methodology to Measure e-HR Capability in an e-Business Environment)

  • 배영주;정순석;유지철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93-300
    • /
    • 2009
  • 기업 인력의 e-Business 적용 능력은 e-Business 환경에서 개인에게 주어진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고 업무성과를 향상하기 위해 필요하다. 본 연구는 e-Business 인력의 측정도구, 측정체계 및 방법을 제시한다. 개발된 측정도구는 요인분석과 신뢰성 분석을 통하여 그 구조의 타당성을 검증하였고, e-Business 인력을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16 개의 측정항목을 갖는 측정 도구를 제시하였다. 개발된 측정도구의 적용성과 활용성은 실제 e-Business 환경의 기업에서 근무하는e-Business 인력에 적용하여 그 결과를 제시함으로써 확인 하였다. 본 연구는 e-Business 환경의 기업에서 근무하는 인력의 e-Business 능력을 측정하고 개선하는 방법론을 개발하는 데 공헌할 것이다.

인터넷 상거래에서의 서비스회복 품질 측정도구 개발 (Developing a Measurement Scale for Service Recovery Quality in Internet Commerce)

  • 민동권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44-54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인터넷 상거래에서 서비스실패가 발생할 때 기업이 기울이는 서비스회복 활동의 품질 측정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같은 용도로 Parasuraman 등(2005)이 개발한 E-RecS-QUAL 측정도구를 수정 보완한 본 측정도구는 eSR-Q(electronic Service Recovery Quality)라 명명되었다. 본 측정도구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내적 일관성과 수렴 판별 법칙 타당성 등 구조 타당성의 측면이 집중적으로 분석되었다. 그 결과 4개 차원(반응, 보상, 접촉, 사과) 14개 항목으로 구성된 eSR-Q가 완성되었다. 본 연구는 이 측정도구의 등장배경과 개발 및 검증 과정, 한계점, 그리고 향후 개선방안 등을 다룬다.

  • PDF

간호학생의 임상실습평가와 측정에 관한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Issues in clinical evaluation tools to measure and evaluate nursing student clinical performance)

  • Kim, Hea-Sook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42-48
    • /
    • 1992
  • 이 연구는 현존해 있는 다양한 임상평가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에 관한 분석 서술 연구이다. Rines(1974)에 의하면 평가는 학습경험을 통하여 목적을 달성하는 지의 여부를 측정하는 것이라고 하였고 평가의 목적은 교육증진을 도모하며, 목표를 설정하고, 학생의 학습진행과정을 사정하여 학생들을 위한 프로그램을 사정, 개발시키는데 있다고 피력 하였다. 간호교육에는 실무교육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많은 간호교육자들은 실습평가에 있어 많은 어려움을 경첩하고 있다. 이러한 난해한 실습평가도구를 개발하기 위하여 선행된 우선순위로써 현존해 있는 다양한 평가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평가하는 것이 의의 있는 일이라 사료된다. 이 논문은 실습평가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에 관심을 가진 임상지도교수나 간호교육자들을 대상으로 한 서술적 연구이다. 우선 간호교육평가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평가도구에 대한 전문가(Authority)의 의견을 피력한 다음 저자의 의견을 서술하였다. 결론적으로 현재까지 개발된 완전한 임상실습평가의 방법은 없다. 그러므로 현존해 있는 평가방법을 서술평가하고 문제점을 지적하므로써 질적인 평가도구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앞으로 간호교육자들이 각 문제점들을 보완하여 교육목적을 달성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평가도구를 개발하는 것이 급선무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