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측정 도구 개발

Search Result 1,510,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Psychometric property of an instrument 1: content validity (측정도구의 심리계량적 속성 1: 내용타당도)

  • Lee, Eun-Hyun
    • Women's Health Nursing
    • /
    • v.27 no.1
    • /
    • pp.10-13
    • /
    • 2021
  • 내용타당도는 측정도구의 내용이 측정하고자 하는 구성개념을 얼마나 적절히 반영하고 있는가에 대한 것이다. 그 과정은 예비측정 도구 개발 단계와 개발된 것이 측정하고자 하는 구성개념을 잘 반영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측정하고자 하는 구성개념에 대한 개념화와 예비질문지 개발이 이루어진다. 그 후, 전문가와 측정도구를 사용하고자 하는 대상자를 대상으로 개발된 예비문항의 관련성, 포괄성, 및 이해성을 판단하게 된다.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Mathematics Anxiety Scale for Elementary Students (초등학생의 수학 불안 측정 도구 개발 연구)

  • Kim, Rina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 /
    • v.21 no.4
    • /
    • pp.431-444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mathematics anxiety scale for elementary students in South Korea.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I developed two types of survey items measuring elementary students' mathematics anxiety. Teachers or students may use survey measurements selectively according to the students' participants in mathematics private institutions. In order to assess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survey items, I conducted surveys with elementary students. The sample consisted of 300 elementary students in public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 total of 28 items were developed and examined for the internal consistenc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oposed scale was appropriate to represent the mathematics anxiety of elementary students. The survey items of this study could be applied for assessing elementary students' mathematics anxiety regardless of their gender and age factors.

Review of Spiritual Distress Assessment Tools: A Literature Review (영적 고뇌 측정도구에 대한 고찰)

  • Kim, Jin-Sook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0 no.7
    • /
    • pp.383-390
    • /
    • 2019
  • This study was done to evaluate current spiritual distress assessment tools and to assess nursing research adapted this spiritual distress assessment tools. Spiritual distress assessment tools were identified through systematic review. Ten studies about spiritual distress assessment tools were identified. In these studies, three international and one domestic standardized assessment tools were found. The purpose of developing these tools was to provide spiritual care through assessing spiritual distress. Domestic assessment tool had low reliability, was not proved by constructive validity, and did not include multidimensional spiritual concepts. International assessment tools may take into account cultural and religious backgrounds in the context for cultural adaptation of instruments. Based on these results, the development of Korean version of spiritual distress assessment tool is recommended.

Developing an Instrument to Evaluate Habitual Physical Activity Level of Elementary School-aged Children in Large Populations: A Preliminary Study (초등학생의 일상적 신체활동 측정 도구 개발을 위한 예비조사)

  • An, Ji-Yeon;Tak, Young-Ran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 /
    • v.27 no.5
    • /
    • pp.1-14
    • /
    • 2010
  • Objectives: This study is an explorative study for developing an instrument to measure habitual physical activity level of school-aged children. Methods: HPAQ-S consists of 41 items and a self-reported 5-day recall instrument designed to assess habitual physical activity level for school-aged children. For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test, a sample consisted of 28 children, aged 10-11 years old. Results: 41 question items showed an acceptable internal consistency (cronbach's alpha=.89).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pedometer results (r=.69, p<.001) and with Borg's questionnaire (r=.76, p<.001) support the validity of HPAQ-S. Conclusion: HPAQ-S may be more useful for measuring habitual physical activity level of elementary school-aged children in large populations.

과학경험 측정을 위한 도구 개발 및 적용 : 고등학생 사례를 중심으로

  • Kim, Nak-Gyu;Ryu, Chun-Ryeol;Lee, Chang-Jin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4a
    • /
    • pp.17-17
    • /
    • 2010
  • 본 연구는 학생들의 과학 경험의 정도를 정량화 하는데 있어 통일된 측정 도구를 제시하는 것이다. 측정 도구를 구성하는 요인들은 선행연구를 통해 학교 안 과학 경험은 일반 활동 경험, 과학 탐구 경험, 실험 기구 경험으로 세분화 되며 학교 밖 과학 경험은 일반 활동 경험, 취미 활동 경험, 현장 견학 경험 6개의 영역으로 구분을 할 수 있었다. 각각의 요인을 구성하는 질문은 NAEP(1987)에서 사용된 과학 경험 검사 도구와 신영준(2000)의 과학 경험 검사 도구의 문항 중 일부를 발췌하고 더불어 과학 경험에 대한 개방적인 설문지를 통하여 1차 검사를 실시하여 얻은 답변 중 빈도가 많은 답변과 중등 교과서의 탐색적 분석을 통해 영역별 10문항씩 6개 영역의 문항을 선정하였다. 사전 설문조사와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개발한 검사지를 고등학교 1학년 학생 413명을 대상으로 2차 검사를 실시하였다. 개발한 측정 도구의 타당도는 내용타당도와 구인타당도로 검사하였다. 내용타당도는 2명의 현직 중등교사와 2명의 과학교육전문가가 각 문항이 측정하고자 하는 목적에 부합하는지 심사하였고, 구인타당도는 요인분석을 통해 검사하였다. 신뢰도는 Cronbach $\alpha$를 통하여 문항을 분석하였다. 6개의 영역의 요인에 대하여 타당도와 신뢰도 분석 결과 6개 영역으로 구성된 60문항의 측정 도구는 학생들의 과학 경험을 측정하는 도구로서 적절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 PDF

Development of the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Scale for Clinical Nurses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 간호활동 측정도구 개발)

  • Kim, Hwa-Young;Ryu, Sea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6 no.9
    • /
    • pp.207-217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scale for clinical nurses and to verify validity and reliability it. A preliminary scale was developed through various processes and pilot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900 nurses at 28 hospitals selected by proportionate stratified sampling with 331 general hospitals nationwide. The final scale was a 4-point scale, consisting of 72 items in 10 domains. The construct validity was found to be appropriate b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70.3% of the variance in the total scale and over .74 of factor loading.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cale and patient safety culture (r=.52, p<.001) and Cronbach's ${\alpha}$ was .99. This scale developed to measure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of clinical nurses was found to be reliable and valid and will be a useful tool in practical field.

A Methodology to Measure e-HR Capability in an e-Business Environment (e-Business 환경에서 e-Business 인력의 능력 측정을 위한 방법론)

  • Bae, Young-Ju;Chung, Soon-Suk;You, Ji-Chul
    • Journal of the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 /
    • v.11 no.4
    • /
    • pp.293-300
    • /
    • 2009
  • 기업 인력의 e-Business 적용 능력은 e-Business 환경에서 개인에게 주어진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고 업무성과를 향상하기 위해 필요하다. 본 연구는 e-Business 인력의 측정도구, 측정체계 및 방법을 제시한다. 개발된 측정도구는 요인분석과 신뢰성 분석을 통하여 그 구조의 타당성을 검증하였고, e-Business 인력을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16 개의 측정항목을 갖는 측정 도구를 제시하였다. 개발된 측정도구의 적용성과 활용성은 실제 e-Business 환경의 기업에서 근무하는e-Business 인력에 적용하여 그 결과를 제시함으로써 확인 하였다. 본 연구는 e-Business 환경의 기업에서 근무하는 인력의 e-Business 능력을 측정하고 개선하는 방법론을 개발하는 데 공헌할 것이다.

Developing a Measurement Scale for Service Recovery Quality in Internet Commerce (인터넷 상거래에서의 서비스회복 품질 측정도구 개발)

  • Min, Dong-Kwon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13 no.5
    • /
    • pp.44-54
    • /
    • 2008
  •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measurement instrument for service recovery quality in the Internet commerce setting. To this same end, Parasuraman et al.(2005) have devised a scale called E-RecS-QUAL, which we revised and supplemented to develop another instrument named eSR-Q. To guarantee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this instrument went through the refinement and validation processes for internal consistency and construct validity in terms of convergent, discriminant, and nomological validity. Our final scale consists of four dimensions including responsiveness, compensation, contact, and apologies altogether with fourteen measures. Overall, this research deals with the related research background, the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processes, it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 PDF

Issues in clinical evaluation tools to measure and evaluate nursing student clinical performance (간호학생의 임상실습평가와 측정에 관한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 Kim, Hea-Sook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
    • v.22 no.1
    • /
    • pp.42-48
    • /
    • 1992
  • 이 연구는 현존해 있는 다양한 임상평가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에 관한 분석 서술 연구이다. Rines(1974)에 의하면 평가는 학습경험을 통하여 목적을 달성하는 지의 여부를 측정하는 것이라고 하였고 평가의 목적은 교육증진을 도모하며, 목표를 설정하고, 학생의 학습진행과정을 사정하여 학생들을 위한 프로그램을 사정, 개발시키는데 있다고 피력 하였다. 간호교육에는 실무교육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많은 간호교육자들은 실습평가에 있어 많은 어려움을 경첩하고 있다. 이러한 난해한 실습평가도구를 개발하기 위하여 선행된 우선순위로써 현존해 있는 다양한 평가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평가하는 것이 의의 있는 일이라 사료된다. 이 논문은 실습평가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에 관심을 가진 임상지도교수나 간호교육자들을 대상으로 한 서술적 연구이다. 우선 간호교육평가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평가도구에 대한 전문가(Authority)의 의견을 피력한 다음 저자의 의견을 서술하였다. 결론적으로 현재까지 개발된 완전한 임상실습평가의 방법은 없다. 그러므로 현존해 있는 평가방법을 서술평가하고 문제점을 지적하므로써 질적인 평가도구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앞으로 간호교육자들이 각 문제점들을 보완하여 교육목적을 달성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평가도구를 개발하는 것이 급선무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