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측정표준

Search Result 3,901,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Evaluation of Hygienic Status of University Foodservice Operation using ATP bioluminescence Assay (ATP bioluminescence Assay를 이용한 대학 급식시설의 위생상태 평가에 관한 연구)

  • 박영숙
    •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 /
    • v.16 no.2
    • /
    • pp.195-201
    • /
    • 2000
  • An investigation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hygienic status of university foodservice operation by using conventional swabbing technique plus standard plate count and ATP bioluminescence assay.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For all kitchen boards, knives, feeding trays, and dish towels tested, there was an overall agreement at 84.7% level between the results obtained using ATP bioluminescence and plate count when using a pass/fail cut-off of 3$\times$ control values for ATP assay and 40 CFU(colony forming unit)/㎠ for plate count. 2) The agrement rate between ATP assay and standard plate count was 87.5% for the samples before use, 29.2% for those during use, and 42.7% for those after cleaning and sanitizing. 3) The plate counts of three university foodservice operations for kitchen board, kitchen knife, feeding tray and dish towel were within the acceptable limits when tested before using. However, none of them were within the acceptable limits when tested during using and after cleaning and sanitizing. 4) Above results suggested that an immediate action needs to be taken to reduce the potential danger of cross-contamination and also effective sanitary control methods needs to be developed to improve the sanitary condition.

  • PDF

Development of a 3.5 mm Coaxial Microcalorimeter for Microwave Power Standards (3.5 mm 동축형 미소열량계 개발과 전자파전력 측정표준 확립)

  • Kwon, Jae-Yong;Kim, Jeong-Hwan;Kang, Tae-Weon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v.20 no.9
    • /
    • pp.989-996
    • /
    • 2009
  • RF and microwave power is a basic quantity in electromagnetic metrology which linked directly to major electro-magnetic quantities such as attenuation, RF voltage, antenna characteristics and field strength. This paper deals with a power meter and power sensor with associated theory for RF and microwave power measurement. We study the theory and the key aspects in design of a 3.5 mm coaxial microcalorimeter which works from 50 MHz to 26.5 GHz as a primary microwave power standard.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Air Dielectric Standard Capacitors having 4-terminal-Pair connector Type (4-Terminal-Pair 형 공기유전체 전기용량표준기의 주파수 특성)

  • Kim, Han-Jun;Lee, Rae-Duk;Kang, Jeon-Hong;Han, Sang-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4.07b
    • /
    • pp.1214-1217
    • /
    • 2004
  • 현재 전기용량의 국가표준은 1 kHz, 1592 Hz에서만 유지 및 보급이 되고 있다. 그러나 전기용량 및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브리지와 LCR meter들은 비교적 넓은 주파수 범위에서 측정이 가능하도록 생산이 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기기들의 교정은 실제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주파수 전 영역이 아닌 1 kHz 만 되고 있어서 완전한 교정이라고 할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해결하기위하여 임피던스 analyzer의 one-port 측정기술을 사용하여 4-terminal-pair(이하 4TP) 전기용량 표준기 각각의 terminal에서 임피던스를 필요 주파수에서 측정하고, 측정된 임피던스 matrix를 이용하여 4TP의 transfer 어드미턴스와 출력임피던스를 계산 하였다.

  • PDF

기준 베타선 흡수선량 비교 측정

  • 김정묵;장시영;이기창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6.05d
    • /
    • pp.23-27
    • /
    • 1996
  • $\beta$-선 흡수선량의 1차 표준이 확립되지않은 상황에서 측정표준이 이미 확립된 외국의 표준기관에서 검증되어 도입된 $\beta$-선 흡수선량 조사시설에 대해 ISO-6980에서 명시한 항목에 대해 성능실험을 수행하였고, 외삽형전리함을 사용하여 측정된 이온화전류로 부터 흡수선량률을 재평가하여 외국의 검증결과와 비교하였다. 조사시설의 성능실험 결과 Sr$^{90}$ +Y$^{90}$ 선원에 대해 선원으로부터 30cm거리에서 빔 균일도, 제동복사선 기여도 및 $\beta$-선 최대잔여에너지가 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흡수선량 평가결과는 '96. 4. 1을 기준으로하여 20 $^{\circ}C$,1기압에서 2.686 ($\pm$2.73%)$\mu$Gy/sec로 외국표준기관의 측정치와 1.8%이내에서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The Introduction of the Final Proposal for the High-current Standard Measurement System (대전류 표준측정시스템에 대한 STL 최종방안의 소개)

  • Jeong, J.Y.;Shin, Y.J.;Kim, I.S.;Kim, M.K.;Lee, J.G.;Kim, M.H.;Lee, Y.H.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3.11a
    • /
    • pp.403-405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대전류 표준측정에 대한 STL TC의 Ad-Hoc Working Group의 최종방안에 대해 자세히 소개하여 이를 계기로 국내에서도 필요한 사전준비에 만전을 기하고자 한다. 향후 연속적으로 해야 할 업무, Shunt의 소유, 경비 지불방법 등에 대한 사항과 함께 우리나라 대전류 표준측정시스템의 구축절차를 제안하였으며, 이를 통해 대전류 측정에 있어서 국제표준과의 소급성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국내에서 시행하는 각종 시험에서 대전류 측정이 국제적으로 유효하게 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