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취업여건

Search Result 42,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Intention to Live Independently in the Community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s Identified by AAC (AAC를 통해 알아본 발달장애인의 지역사회 자립생활 의사)

  • Kim, Nam-Sook;Park, Ju-Hong;Kim, Bo-Reum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9 no.10
    • /
    • pp.427-434
    • /
    • 2021
  • This paper aimed to reveal the needs and intentions of the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rough AAC for supporting their independent living in the community and furthermore to contribute to realizing an inclusive community. From August 7 to September 11, 2020, trained researchers conducted 1to1 interviews(AAC) with 74 people recommended by specialized institutions.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analysis, Chi-square-analysis and T-test using SPSS 25.0. As a result, the creation of community-level conditions(ex. housing and employment) and job aptitudes and preferences are important for the independent living and expectations and desires for social participation were high. It i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survey results through agents. It means the policy for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should be based on their needs and aim for 'living in the community as a community member'.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of supporting decision-making for the ordinary lives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suggested.

Housing Characteristics of the Youth and their Determinants in Capital and Non-Capital City Regions (수도권 및 비수도권 청년층의 주거특성 및 주거특성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 Hwang, Kwanghoon
    • Land and Housing Review
    • /
    • v.13 no.3
    • /
    • pp.21-38
    • /
    • 2022
  • In this study, the housing-related characteristics of the youth are reviewed using data from the 4th - 14th Youth Panel Survey(YP2007) of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in the period 2010 - 2020. The factors that aff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dwelling are analysed. As a result, males, highly educated, and employed people are more likely to live in their own homes and apartments, but many of them seem to be living with their parents. On the contrary, economically independent young people tend to occupy their dwellings in the form of jeonsei/monthly rent and live in multi-family units, villas, and officetel. To support the youth in overcoming their key issues such as housing affordability, jobs, and marriage, so that they can play their roles, the cost of homeownership and rent should be tailored to their economic situations.

A Study of the Health and Medical Manpower Policy - The Case of dental Technicians - (의료인력(醫療人力)의 수급정책(需給定策) 개선방안(改善方案)에 관한 연구(硏究) - 치과기공사(齒科技工士) 분야(分野)를 중심(中心)으로 -)

  • Roh, Jae-Kyung
    • Journal of Technologic Dentistry
    • /
    • v.17 no.1
    • /
    • pp.82-108
    • /
    • 1995
  • 인력은 한 사회에 있어서 자본을 축적하며 자연자원을 개발하고 사회 경제 정치적 조직을 성장시키는 변화요인으로, 인간을 중심으로 하는 사회경제적 자원을 종합적으로 지칭하는 말이다. 이렇게 국가 사회가 필요로 하는 인력을 정부가 적절히 계획하여, 형성시키며, 배분 및 활용하는 문제를 논리적이고 일관성 있게 다루는 것을 인력정책이라 한다. 이러한 거시적이고 대 사회적인 정부의 인력정책은 국민의 건강과 생명을 보호하기 위한 보건의료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 의료인력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 그 중요성이 더욱 특별하다 할 것이다. 국민에 대한 보건의료 서비스는 훈련된 보건 인력에 의해서 제공되며, 국가의 인력정책의 결과로 나타나는 보건의료인력 공급의 적합성은 인력의 불균형이라는 개념들을 통해서 검토될 수 있다. 의료인력의 불균형이라 함은 의료인력의 수, 종류, 기능, 분포, 질 등과 의료서비스에 대한 국민의 전체적 요구에 대응하여 정부가 생산하여 채용, 지원, 유시할 수 있는 정부 능력의 한계를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국민에 대한 의료서비스의 적정화는 잘 훈련된(well qualified) 의료인력이 충분히 공급되어야(adequately supplied) 하고, 또한 적절히 분포되어야(well distributed) 한다는 양적, 질적, 그리고 분포의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다. 질적, 양적, 그리고 분포의 불균형이라는 범주를 통하여 살펴본 치과기공사 분야의 인력정책에 대한 연구 결과와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수적 불균형의 면에서 치과기공사의 인력은 1970년대 중반이래 계속 과잉 공급되어 왔으며, 이에 대해 정부는 그동안 소극적으로 대처하므로 과잉공급을 가속시켜왔다. 따라서 이러한 과잉공급을 최소하기 위해서는 치과이용에 대한 수요의 확장, 무면허자의 취업규제단속 및 대학의 치과기공학과 정원 축소 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러한 외형상의 과잉공급에도 불구하고 현업에 종사하는 실제인력은 수용에 비해 부족한 과소 공급현상을 빚고 있다는 점이 문제이다. 이러한 역설적인 현상을 타파하기 위하여 무면허자의 적발을 위시한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질적 불균형은 수적 과잉공급에 의한 취업률 저하로 인한 실력 있는 전문인력 확보의 어려움과 전문 교육인력 및 교육시설의 열악한 조건이 원인으로 지적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적절한 인력수요의 조절과 교육인력 및 시설 여건의 향상이 요망된다. 예컨대 3년제로 되어있는 학제를 4년제로 상향조정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세째, 치과기공사 분야의 인력분포 불균형은 그다지 심각하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변화하는 소득수준과 사회환경은 의료인력과 균등한 지역적 분포에 대해 지속적인 관심을 가질것을 요청한다고 할 것이다. 이를 위하여 현재의 공중보건의 제도처럼 치기공 분야의 인력을 무의촌지역에 배치하여 공익요원으로 봉사케 하는 제도를 생각해 볼 수 있다.

  • PDF

Distributional Trait of Welfare Facilities in Taegu. (대구의 사회복지시설 분포특성)

  • Bae, Sook-He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3 no.1
    • /
    • pp.81-98
    • /
    • 1997
  • This treatise made a general survey of the welfare policy in our country, and examined the present condition of welfare facilities and distributional trait in Taegu, setting the limits of welfare to welfare facilities. As the result, I could get conclusion like this. First, the present condition of welfare facilities in Taegu exceeds the national average value. Second, the distribution of housing facilities generally corresponds with the distributional area of low-income class and has an unbalanced distributional trait. Third, public facilities are distributed in periphery of the city and we can see they are regarded as loathsome facilities. Lastly, most of the welfare facilities except welfare house are small-scale and worn-out and also petty because they are run by individuals. With basis on this result of the research. I want to make these suggestions. That is, the improvement in quality than in quantity must be made. In addition, until now welfare facilities have restricted users, but from now on they must be converted to public services for most of a nation. To realize those things, welfare facilities must be located in the site where traffic is convenient and medical facilities are neighboring. In conclusion, the socialization of welfare facilities must be carried out.

  • PDF

A Study on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Training of Invention·Patent Personnel in Specialized High Schools (발명·특허 분야 인력 양성에 대한 교사 인식 - 발명·특허 특성화고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

  • Lee, Byung-Wook;Lee, Chang-Hoon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v.33 no.1
    • /
    • pp.134-148
    • /
    • 2008
  •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understanding by teachers at KIPO-funded high schools of the specialized training of invention patent personnel. The subjects were 4 high schools and 126 copies of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or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understand that it is particularly important to provide a specialized training for students so that they can more effectively adapt to the changes in their lives. They also consider basic job skills training, moral education and job readiness training as equally important. Second, they recognize the necessity for a specialized training of invention patent personnel. Third, they think that redundant teachers arising from the reform of the curriculum for specialized training should be provided with minor training. Fourth, they think that the reform of the curriculum for specialized training should consider the following aspects: the development of a curriculum for invention patent-specialized high schools, the strengthening of administrative financial supports, the creation of a consensus among those involved for the success of the specialized training, the development of textbooks and materials, and the consideration of the future prospects and current conditions of the invention patent industry. Fifth, they think that the successful operation of specialized high schools requires the consideration of the following factors: users' understanding, conformance, selection & concentration and uniqueness.

Prospective Supply and Demand of Medical Technologists in Korea through 2030 (임상병리사 인력의 수급전망과 정책방향)

  • Oh, Youngho
    • Korean Journal of Clinical Laboratory Science
    • /
    • v.50 no.4
    • /
    • pp.511-524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policy recommendations for manpower planning by forecasting the supply and demand of Medical Technologists. Supply was estimated using an in-and-out movement method with a demographic method based on a baseline projection model. Demand was projected according to a demand-based method using the number of clinico-pathologic examinations taken for Medical Technologists. Over- or undersupply of Medical Technologists will depend on the productivity scenario and assumptions and ultimately on governmental policy direction. In other words, whether the production of Medical Technologists is higher or lower than the current level depends on the government policy to consider insurance finances. In this study, we assessed 'productivity scenario 3' based on the productivity as of 2012, when the government's policy direction was not considered. Based on the demand scenario using the ARIMA model, the supply of Medical Technologists is expected to be excessive. This oversupply accounts for less than 10% of the total and therefore should not be a big problem. However, given that the employment rate of Medical Technologists is 60%, it is necessary to consider policies to utilize the unemployed. These measures should expand the employment opportunities for the unemployed.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functions of laboratories in the public health center, to increase the quota of Medical Technologists, to assure their status, to establish a permanent inspection system for outpatient patients, and to expand the export of Medical Technologists overseas.

South Korean Demand for Tourism in North Korea and the Impact of their Expenses on the North Korean Regional Economy (한국인의 북한 관광의사와 북한 지역경제 효과)

  • Kim, Misuk;Seong, Taeyoung;Choi, Eunhee;Choi, Daesik
    • Land and Housing Review
    • /
    • v.13 no.3
    • /
    • pp.1-20
    • /
    • 2022
  • This study analyses how much Korean visits to North Korea have an impact on the North Korean regional economy. It estimates the demand for North Korean tourism via the borders of North Korea, China, and Russia and South Korean expenses to be spent in North Korea. When asked if they are willing to visit North Korea within the next five years in case the pre-conditions of the visit to North Korea are satisfied, approximately 64.1% of the survey respondents indicated 'yes'. To estimate the demand, this research employed the analysis of purchase intention, popular in marketing, based on their willingness to visit. The annual demand for tourism was 4,136,361 persons. The average estimated expense per person is KRW 1,532,000 and the total annual expense is KRW 6,336.9 billion. Assuming that airfare is excluded from the total expense and the expense is made evenly in each tourist destination, the estimated amount to be spent in North Korea is KRW 2,838.7 billion per annum. The backward linkage effect of this expense on the North Korean regional economy is KRW 7,972.1 billion in total production inducement, KRW 2,619.4 billion in value-added inducement, and approximately 2,890,443 persons in employment inducement. The value-added inducement effect is estimated to be approximately 7.6% of the North Korean nominal GDP in 2020. South Korean tourism is expecte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North Korean economy. As the demand for North Korean tourism is likely to increase steadily due to the expected increase in overseas travel demand by Koreans, inter-Korean cooperation is needed for the development of North Korean tourism infrastructure if conditions improve.

Analysis of the Present Condition and Demand for the Assistant Workforce in Korean Childcare Center (어린이집 보조인력의 노동실태 및 요구분석: 보조교사, 대체교사, 부담임 교사를 중심으로)

  • Park, Chang Hyun;Kim, Sang Lim
    • Korean Journal of Child Education & Care
    • /
    • v.18 no.2
    • /
    • pp.85-102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working conditions and demands of the assistant workforce at childcare centers, and to provide suggestions on policies for childcare teacher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 total of 190 assistant teachers, nursing helpers, alternative teachers and others were surveyed online during the month of August 2017. The survey examined the employment route and working motives, working conditions and environment, job and educational difficulties for analyzing the work conditions and demands of ancillary staff. For the analysis method, SPSS 12.0 was used to analyze frequency and difference.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childcare center assistants were able to work at their respective times, making it mandatory for them to enter the workforce, and making job openings for ancillary teachers. Second, 73.7% said the daily working hours were '4 hours to 8 hours' under the conditions and 57.9% said 'More than 510,000 won to less than 1 million won.' Average amount of rest time per day was about 30 minutes, and 17% had no rest periods. Third, based on the job and education status, ancillary personnel performed "infant and child guidance and interaction", "Cleaning and cleanliness related tasks" most actively, and "care for cleaning and cleanliness" and "care for morning and night care". Fourth, in the job trouble and difficulty, ancillary staff found it difficult to satisfy with wage related complaints and job insecurity, and the reason for agreeing to the non-regular workforce becoming a regular worker was found to be due to the stability of employment. Lastly, the most urgent tasks to solve the problem of non-regular workers were to fill the wage gap between regular and irregular workers, shorten the working hours and improve the working conditions. The policy implications are presented based on the above findings.

Preparation of Students for Future Challenge (미래의 요구에 부응하는 미래를 위한 간호교육)

  • Kim Euisook
    • The Korean Nurse
    • /
    • v.20 no.4 s.112
    • /
    • pp.50-59
    • /
    • 1981
  • 간호학생들이 당연하고 있는 문제점 미래의 간호학생들이 교육문제를 논하기 위하여는 간호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또 이해하는 것이 우선순위가 될 것이다. 간호학생들이 문제점에 대한 연구는 한국에서 뿐아니라 미국에서도 꽤 많이 시행되어져 왔으며 특히 간호학과정에서 중간 탈락되는 중퇴자들에 대한 연구들 중에 이러한 문제점에 대해서 언급한 것이 많다.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곧 대학과정에 진학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 보고될 Munro의 자료에 의하면 전문대학과정에서 27$\%$, 대학과정에서는 41$\%$의 간호학생들이 간호학과정에서 중간 탈락하고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 이들이 중간탈락하는 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으나 그 중 ''간호학에 흥미를 잃어서''가 가장 큰 이유로 보고되고 있다. 이곳 한국사회에서도 역시 비슷한 현상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대학입시경쟁과 대학내에서의 전과가 거의 허용되지 않는 특수여건이기 때문에 학교를 중간 탈락하는 율은 미국이 보고만큼 높지는 않으나 역시 ''간호학에 흥미를 잃는다''는 것이 간호학생들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최근 한국에서 시행된 간호학생들에 관한 연구(표 1 참조)에 의하면 간호학생들의 학문에 대한 만족도는 조사자의 35$\~$50$\%$정도에 불과하였고 더우기 이 비율은 고학년에 올라갈수록 더욱 감소되고 있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한국에서 시행된 어느 연구보고에 의하면 간호학에 실망했다고 생각하는 학생이 전체의 67$\%$였으며, 다른 학교로 전과를 희망한 경험이 있다는 학생이 71$\%$나 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왜 흥미를 잃게 되는지 그 이유에 대하여 설명해 주는 연구는 많지 않았다. 미국의 한 저자는 간호학생들이 간호학에 흥미를 잃게 되는 원인을 간호원의 역할에 대한 이해가 정확하지 못한 것과 졸업 후 진로기회에 대한 인식부족 때문이라고 추측하고 있다. 간호학에 흥미를 잃게 되는 이유는 크게 다음의 세 가지로 분류 요약될 수 있다. 첫째, 간호학을 전공으로 택한 동기이다. 간호학의 특수성으로 인하여 학생들이 간호학을 전공으로 택한 동기도 다른 전공분야보다는 훨씬 다른 여러 종류를 보이고 있다. 즉, 종교적 이유, 다른 사람들에게 봉사할 수 있는 직업이기 때문에, 쉽게 취업을 할 수 있어서, 결혼 후에도 직업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외국으로 쉽게 취업할 수 있어서 등이 간호학을 선택한 이유로 보고되고 있다. 흥미나 적성에 맞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간호학을 택한 학생의 수는 다른 과에 비하여 훨씬 적다. 이러한 흥미나 적성 때문이 아닌 여러 가지 다른 이유들로 인하여 간호학을 택한 경우에 특히 간호학에 쉽게 흥미를 잃어버리는 것을 볼 수 있다. 간호학에 현실적인 개념을 가지고 있는 학생들일수록 추상적이고 현실적인 개념을 가지고 있는 학생들보다 더 간호학에 지속적인 흥미를 가지며 중간에 탈락하는 율이 훨씬 적다는 것이 많은 연구에서 보고되었다. 또한 흥미나 적성 때문에 간호학을 택하였다는 학생들이 다른 과로 전과를 희망하는 율이 낮다는 것도 보고되었다. 둘째, 교과내용자체나 실습에 대한 불만족이다. 간호학에 대한 체계적인 교과내용의 결여, 과중한 과제물, 임상실습에서의 욕구불만, 실습으로 인한 부담, 지식과 실습의 차이점에 대한 갈등 등이 주요 이유로 보고되고 있다. 대부분의 연구들이 이 교과목이나 실습에 대한 불만족, 특히 실습경험에서의 갈등을 학생들이 흥미를 잃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 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어느 한 연구에서는 응답자의 90$\%$가 임상실습에 만족하지 못한다고 응답하였으며 그들 중의 88$\%$가 실습감독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보고하였다. 셋째, 교수들에 대한 불만족이다. 대부분의 연구들이 학년이 올라가면 갈수록 교수에 대한 신뢰도가 낮아지며 또한 그에 비례하여 간호학에 대한 만족도가 낮아진다고 보고하고 있다. 교육내용에 대한 전문지식의 결여, 학생들과의 인간적인 관계의 결여, 교수법에 대한 불만족 등이 교수에 대한 불만의 주요내용으로 보고되었다. 미래의 간호에 부응할 학생교육 계속적인 사회적 변동과 더불어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는 일반인들의 건강에 대한 요구도와 앞에서 기술한 문제점 등을 감안할 때 학생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간호학에 확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준비시키므로써 간호환경에서 실망하기보다는 오히려 그것을 받아들여 변화하는 사회요구에 책임감을 느낄 수 있도록 교육시키는 것이 미래의 간호학생을 준비시키는데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러한 교육을 위하여 다음의 두가지 안을 제시한다. 1. 교수와 학생간의 관계-서로의 좋은 동반자 : 교수들이 학생에게 미치는 영향, 특히 학생들의 성취도에 대한 영향에 대하여는 이미 많은 연구가 시행되었다. Tetreault(1976)가 간호학생들의 전문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연구한 바에 의하면 다른 어느 것보다도 교수의 전문의식여부가 학생들의 전문의식 조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또한 학생들이 교수에게 신뢰감을 가지고 있을때, 교수들이 전문가로서의 행동을 하는 것을 보았을때 비로서 배움이 증가된다고 하였다. Banduras는 엄격하고 무서운 교수보다는 따뜻하고 인간적인 교수에게 학생들이 더 Role Model로서 모방하려는 경향을 나타낸다고 보고 하였다. 그러면 어떻게 학생에게 신뢰받는 교수가 될 수 있겠는가? apos;학생들의 요구에 부응할 때apos;라고 한마디로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Lussier(1972)가 언급한 것처럼 학생들의 요구에 부응하지 못하는 교육은 Piaget이 언급한 교육의 기본 목표, 즉 개인에게 선배들이 한 것을 그대로 반복하여 시행하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것을 시도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게 하는 목표에는 도달할 수 없으며 이러한 목표는 간호학에도 가장 기본이 되어야 할 기본목표이기 때문이다. 학생들이 현재 어떤 요구를 가지고 있으며 또 어떤 생각을 하고 있는지 계속 파악하고 있는 것이 학생요구에 부응하는 교육을 할 수 있는 기본조건이 될 것이다. 의외로 많은 교수들이 학생들을 이해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으나 잘못 이해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표 2는 현 간호학생들이 생각하고 있는 가치관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또 교수가 그 가치관과 문제점을 어느 정도 파악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일개 4년제 대학 200여명의 학생과 그 대학에 근무하는 18명의 교수진을 대상으로 질문한 결과를 간략하게 보고한 것이다. 또한 여기에서 학생이 보고하는 가치관, 문제점, 교수에게 바라는 점이 교수가 이해하고 있는 것과 차이가 있다는 것도 보여주고 있다. 우리가 학생들의 요구를 파악할 수 있도록 귀를 기울이고 이해하며, 그 요구에 부응하려고 노력할때 진정한 교수와 학생간의 관계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며 이때 비로서 우리는 apos;partnershipapos;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이때 간호학에 대한 실망은 줄어들 수 있을 것이며 우리도 학생들에게 전문가적인 태도를 함양시켜줄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될때 앞으로 기다리고 있는 미지의 의무에 효과적으로 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자질을 형성한 학생들을 준비해 낼 수 있을 것이다. 2. 간호모델에 의한 교과과정의 확립과 임상실습에의 적용 : 교과과정이 학생들의 모양을 만들어주는 하나의 기본틀이라고 말할 수 있다면 미래의 요구에 부응하는 학생들을 준비시키기 위하여 지금까지와는 다른 새로운 방향의 교과과정이 필요하다는 것은 재론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이미 진취적인 간호대학에서는 guided design systems approach 또는 integrated curriculum 등의 새로운 교과과정을 시도하고 있음은 알려진 사실이다. 물론 간호모델에 준한 교과과정을 발전시키는데 대한 장점과 이에 수반되는 여러가지 새로운 문제점에 대하여 많은 논란이 있으나 모든 교과과정이 처음 시도될 때부터 완전한 것이 있을 수 없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성숙되는 것임을 감안해 볼 때 이러한 새로운 교과과정에의 시도는 미래의 새로운 간호방향에 필수적인 사업이라고 하겠다. 이러한 교과과정을 개발하는데 몇가지 게안점을 첨부하려 한다. (1) 새로운 교과과정의 개발은 처음부터 끝까지 모든 교수진의 협력과 참여로 이루어져야 한다. (2) 비록 처음에는 어렵고 혼란이 있더라도 교과과정은 의학모델이 아닌 간호모델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3) 간호모델에서 다루어지는 개념들은 모두 직접 간호업무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선택되어야 한다. (4) 교과과정의 결과로 배출되는 학생들의 준비정도는 그 지역사회에 적합하여야 한다. (5) 그 지역사회의 고유한 문화적 요소가 포함되어야 한다. 아직 우리는 간호분야 내부의 갈등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시기에 있다. 우리 내부의 문제점을 잘 해결할 수 있을때 외부와의 갈등에 잘 대처할 수 있을 것이다. 내부의 갈등을 잘 해결하기 위한 힘을 모으기 위하여는 동반자, 즉 교수와 학생, 간호교육자와 임상간호원 등이 서로 진정한 의미의 동반자 될때 가장 중요한 해결의 실마리가 될 것이다.

  • PDF

우리나라의 출산력과 가정경제행태에 관한 연구

  • 노공균;조남훈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10 no.2
    • /
    • pp.17-45
    • /
    • 1987
  • This study contributes to understanding women's labor market behavior by focusing on a particular set of labor force transitions - labor force withdrawal and entry during the period surrounding the first birth of a child. In particular, this study provides a dynamic analyses, using longitudinal data and event history analysis, to conceptualize labor force behaviors in a straightforward way. The main research question addresses which factors increase or decrease the hazard rates of leaving and entering the labor market. This study used piecewise Gompertz model, following the guide of the non-parametric analysis on the hazard rates, which allowed relatively detailed description on the distribution of timing of leave and entry to the labor market as parameters of interest. The results show that preferences and structural variables, as well as economic considerations, are very important factors to explain the labor market behavior of women in the period surrounding childbirth.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