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취약성 평가

Search Result 1,495,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Assessment of Landslide Disaster Vulnerability : Case Study of Daegu (도심지 토사재해 취약성 평가 : 대구광역시 적용)

  • Park, Yoonkyung;Sung, MooKwang;Kim, Sangd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257-257
    • /
    • 2016
  • 현재 전 세계적으로 이상기후로 인해 자연재해가 증가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또한 집중호우, 태풍, 홍수 등의 자연재해로 인해 경제적 손실뿐만 아니라 인명피해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2014년도에만 약 2천억원의 재산피해가 발생 하였고, 5천억원 이상이 피해를 복구하는데 사용되었으며, 피해금액과 복구금액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최근 발생한 토사재해의 경우에는 인구가 밀집한 도심지에서 발생하여 매우 단기간에 치명적인 피해를 야기 시키고, 사회적 관심을 크게 일으키기도 했다. 이처럼 자연재해가 인구가 밀집되어있고, 사회적재화가 많은 도심에서 발생할 경우 그 피해규모는 더욱 커질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적절한 대응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구지역에 대한 토사재해를 물리적 취약성과 사회적 취약성으로 구분하여 평가하고 이를 종합하여 평가하였다. 물리적 취약성은 Flow-R 모형을 사용하여 토사재해의 발생 가능성 및 정도를 평가하고, 발생지역의 건물 구분에 따라 그 취약성의 정도를 달리하였다. 사회적 취약성의 경우는 대구지역의 집계구 단위를 기준으로 하여, 다양한 사회적 지표에 계층분석법(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을 적용하여 지표에 대한 가중치를 산정하였다. 이후 물리적 취약성과 사회적 취약성의 값을 0에서 1사이로 정규화 시키고 정규화된 값을 다시 곱하여 0에서 1사이로 정규화 하여 취약성 정도로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는 대구지역에 대한 토사재해의 취약성을 평가함으로써 대구 도심지에서 발생할 수 있는 토사재해 위험구역을 선정하고 방재시설을 준비하는데 있어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n Assessment of Groundwater Contamination Vulnerability and Priority Areas for Groundwater Management Using GIS and Analytic Hierarchy Process (GIS 및 계층분석법을 이용한 지하수 오염 취약성 평가 및 관리 우선 대상 지역 평가)

  • LEE, Moung-Jin;HYUN, Yun-Jung;HWANG, Sang-Il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8 no.3
    • /
    • pp.35-51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previous groundwater contamination vulnerability assessment method, apply it to the study area, and select priority areas for groundwater management based on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groundwater contamination vulnerability. For this purpose, first, the previous 'potential contamination' based on groundwater contamination vulnerability assessment method was upgraded to the methodology considering 'adaptation capacity' which reduced contamination. Second, the weight of groundwater contamination vulnerability assessment factors was calculated based on the analytical hierarchy process(AHP) and the result of survey targeting groundwater experts. Third, Gyeonggi-do was selected as the study area and the improved methodology and weight were implemented with GIS and actual groundwater contamination vulnerability assessment was carried out. Fourth, the priority area for groundwater contamination management was selected based on the quantitative groundwater contamination vulnerability assessment diagram. The improved detailed groundwater contamination vulnerability assessment factors in this study were a total of 15 factors, and 15 factors were analyzed as new and improved weight with higher 'adaptation capacity' than the assessment factor corresponding to the previous 'potential contamination' in the weight calculation result using AHP. Also, the result of groundwater contamination vulnerability assessment in Gyeonggi Province using GIS showed that Goyang and Gwangmyeong which were adjacent to Seoul had a high groundwater contamination vulnerability and Pocheon and Yangpyeong County had a relatively low groundwater contamination vulnerability. In this study, the previous groundwater contamination vulnerability assessment was improved and applied to study areas actually.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for the groundwater management master plan at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 level in the future.

Review of Soil Vulnerability Assessment Tools in Korea and other developed countries (국내외 토양 취약성 평가 연구 동향)

  • Ki, Seo Jin;Kim, Kyoung-Ho;Lee, Hyeon Gyu;Shin, Kyung Hee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9 no.12
    • /
    • pp.741-749
    • /
    • 2017
  • This study aims to provide the technical considerations and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soil vulnerability assesment tool based on the review of existing tools and case studies applied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For this study, we specifically investigated the basic theories and major features implemented in the screening models abroad. In contrast, one case study of prioritizing the vulnerable districts was presented to identify the research trends in Korea. Our literature review suggested that the characteristic of target areas and contaminants needed to be properly incorporated into soil vulnerability assessment because the current tools in Korea neglected these properties which prevented this tool from being used as a correct measure of soil management and prevention. We also reached the conclusion that in terms of technical aspect, the soil vulnerability assessment tool should be developed based on the physical theory and environmental data that were varied over space and time so that the end-users were able to readily and effectively screen soil vulnerability over large areas. In parallel with technical improvement, great effort needed to be devoted to develop an integrated environmental information system that increased the availability of data and shared various types of environmental data through enhanced multi-agency collaboration.

Study of the Flood Vulnerability Assessment on 5 River Basins in Korea under Climate Change (국내 5대강 유역의 기후변화에 의한 홍수 취약성 평가에 관한 연구)

  • Lee, Moon-Hwan;Lee, Byung-Ju;Jeong, Il-Won;Bae, Deg-Hy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47-51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기후변화에 따른 홍수 취약성 평가 방법을 제안하고 미래 기후시나리오를 이용하여 국내 5대강 유역에 대해 홍수취약지역을 시 공간적으로 평가하는 데에 있다. 이에 현 기후상태의 홍수 취약성을 평가하고자 유역의 지형, 인문 사회 정보를 수집하였으며, 관측 기상, 수문자료와 수문모형 모의로부터 유역평균강수량 및 유역별 유출량을 산정하였다. 이상의 자료를 토대로 홍수와 관련된 취약성 지표를 선정 및 산정하여 현재 기후상태(1971~2000년)에서의 홍수취약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기후변화 영향을 고려하기 위해 3개의 온실가스배출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생산된 13GCMs 별 미래 기후시나리오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3개의 유출모형에 적용, 다수의 유출시나리오를 생산하여 현재 기후상태(1971~2000년) 대비 미래 세기간 S1(2011~2040년), S2(2041~2070년), S3(2071~2100년)의 홍수 취약성을 평가하였다. 현재 기후상태에 따른 홍수취약지역을 평가한 결과 대체로 한강 중 하류지역과 영 섬강 하류 지역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낙동강 중 상류유역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후변화시나리오를 적용할 경우 취약지역의 공간적인 분포는 기준기간과 유사했으나, 대부분의 유역에서 심도는 증가할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낙동강 권역에서 가장 크게 변할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이는 하천의 적응능력이 작아 상대적으로 기상 수문지표의 변화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Safety Evaluation of Levee using the Vulnerability Index (취약성 지수를 이용한 하천 제방의 안전성 평가)

  • Sung Ho Lee;Hee Seob Park;Gyu Min Yoo;In Gi Y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397-397
    • /
    • 2023
  • 기상이변에 따른 국지성 호우 및 태풍내습으로 인해 재해위험지구에서의 인명 및 재산피해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특히, 한국의 경우 대부분의 강우가 여름철에 단기간으로 집중되어 하천으로 유출량이 집중되므로 하천수위의 급상승 및 급하강을 일으키게 된다. 하천수위의 빠른 변화는 하천 제방의 국부적인 피해를 주거나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또한 하천 제방의 붕괴는 제내지에 위치한 도시의 홍수 및 인명피해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하천제방의 안정성 평가를 통한 유지관리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홍수취약성지수를 개량한 제방홍수취약성지수를 적용하여 기후변화를 고려한 강우적용시 하천 제방의 안정성평가를 진행하였다. 제방홍수취약성지수는 홍수취약성지수의 형식을 차용하여 하천 제방에 알맞은 인자들로 구성하여 개발된 새로운 기법으로 7개의 인자들의 값들을 기반으로 엔트로피 기법을 사용하여 가중치를 산정하여 취약성지수를 산정하는 방법이다. 다양한 강우시나리오를 적용하여 하천 제방들의 제방홍수취약성지수를 분석하였으며 산정된 취약성 지수들을 이용하여 제방의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저수지 제방의 안전성 평가를 위한 방안으로 제방홍수취약성지수를 적용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Spatial Flood Vulnerability Using Fuzzy TOPSIS (Fuzzy TOPSIS를 사용한 홍수의 공간적 취약성 평가)

  • Kim, Yeong-Kyu;Jun, Sang-Mook;Lee, Bo-Ram;Chung, Eun-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49-53
    • /
    • 2012
  • 본 연구는 불확실성을 고려하여 홍수 취약성 평가를 정량화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였다. 현실 세계로부터 얻는 많은 정보들은 불확실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공간적 홍수 취약성을 산정하기 위해 Fuzzy TOPSIS기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Fuzzy TOPSIS의 결과를 TOPSIS 및 가중합계법을 적용한 결과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일부 지역의 취약성 순위가 큰 폭으로 역전되는 현상을 보였다. Spearman 순위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TOPSIS와 가중합계법의 순위는 높은 일치성을 보였으나 Fuzzy TOPSIS의 순위와는 상당히 일치하지 않은 결과를 나타냈다. 즉, Fuzzy 개념을 반영하여 지역별 취약성을 산정할 경우 우선순위의 변동이 크게 발생할 수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모형도 하나의 취약성 평가의 방법이 될 수 있다.

  • PDF

Evaluation of Flood Vulnerability in Taehwa River Basin Using Flood Factors (홍수 인자를 활용한 태화강 유역 홍수 취약성 평가)

  • Kim, Min Kuk;Seol, Myung Sue;Park, Jun Sue;Lee, Jae Yung;Lee, Chung D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90-390
    • /
    • 2020
  • 자연재해 중 홍수의 경우 단기간에 발생하며, 큰 인명 및 금전적 피해를 가져오는 재해이다. 1970년~2017년 국내 홍수 피해 분석결과 사상자(총 8,152명)는 점차 줄어드는 추세를 보이지만, 반대로 피해액(총 17조5,000억원)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wamis, 국가수자원관리종합정보시스템). 이러한 국내 홍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각 유역 또는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홍수 취약성 평가가 필요하다. 홍수 취약성은 대상 지역의 기상, 지형, 인문학적 상황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나며, 홍수 취약성을 평가하는 인자의 선정 또한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홍수 피해 자료와 홍수 인자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여 홍수 취약성 지표 선정 및 취약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홍수 취약성 평가를 위해 홍수 피해 자료와 대상 인자간의 상관성 분석을 통해 상관계수 값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온 인자를 선정하였다. 대상 인자는 크게 기상학적 인자, 지형학적 인자, 사회·인문학적 인자로 구분하였다 선정된 인자 간 서로 높은 상관성을 보일 시 공선성이 존재함을 의미하며, 이러한 공선성을 방지하기 위해 VIF (Variance Inflation Factor, 분산팽창계수)를 통한 공선성 검토를 적용하였다. 또한 각 인자 간 에는 서로 다른 단위 및 범위를 가진다. 이러한 경우 특정 인자들의 증감을 취약성 평가에 반영하기에 어려움이 있으며, 유역별 평가 시 신뢰성이 낮아진다. 따라서 Re-scaling 방법을 통해 각 인자의 단위 및 범위를 표준화 후 동일가중치 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전체 유역 중 홍수피해가 가장 크게 발생하는 낙동강 태화강 유역을 연구 대상 지역으로 선정하였다. 태화강은 도심지의 중심부를 흐르는 하천이며, 산지의 고도가 높은 지형적 특성을 가지고 있어 홍수에 대한 취약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wamis, 국가수자원관리종합정보시스템). 태화강 유역 홍수 취약성 평가결과 유역별 기상, 지형, 인문학적 특성에 따라 홍수 취약성이 높게 나타나는 결과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유역 내 도심지 비율, 인구밀도, 토지피복 특성에 의한 것으로 주로 지형학적 인자로 인해 취약성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홍수 취약성 평가 방법은 향후 홍수피해 대책 수립에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Water use vulnerability using climate change and socioeconomic scenarios in Han River basin (한강유역의 기후변화 및 사회경제 시나리오를 적용한 물이용 취약성 평가)

  • Park, Hyesun;Chae, Yeo Ra;Kim, Heey Jin;Kim, Yeonj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482-482
    • /
    • 2017
  • 기후변화로 인하여 가뭄 또는 홍수 등의 유역 수자원 피해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응하기 위한 예측 및 적응방안 마련이 시급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역의 물이용 취약성을 평가하고자 하였으며, 평가 지표는 취약성 정의에 따라 노출, 민감도, 적응능력으로 구성하였다. 일반적으로 미래 시나리오 적용 시 기후변화 요소는 고려하고 있으나 사회경제적 요소는 거의 반영되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강수 패턴의 변화를 반영한 기후변화 시나리오와 인구, 경제, 토지이용변화에 대한 사회경제 시나리오의 적용가능성을 고려하여 지표를 선정하였다. 이후 물이용 취약성의 정량적 평가를 위하여 다기준 의사결정기법(Multi-Criteria Decision Making)인 TOPSIS(Technique for Order Performance by Similarity to Ideal Solution) 기법을 활용하여 취약성을 지수화하였다. 자료는 국가 통계 및 관측 자료와 각 시나리오를 통해 수집하였고, 유출량 등의 모의 자료는 SWAT(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모형의 결과를 활용하였다. 타 유역에 비하여 기후변화 및 사회경제적 요소에 대한 영향이 큰 한강유역에 대하여 중권역별 물이용 취약성 순위를 도출하였다. 이를 통하여 기후변화 및 사회경제 시나리오를 적용한 물이용 취약성을 평가하고, 각 시나리오의 상대적 중요성을 분석하였다.

  • PDF

Application Study of Vulnerability Assessment Models for Water Resources to Climate Change by Spatial and Watershed Scales (수자원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모형의 공간 및 유역규모별 적용 연구)

  • Chung, Ji Woong;Lee, Woo-Kyun;Cui, Guishan;Lee, Sang Chul;Choi, Sungho;Choi, Hyun-Ah
    • Journal of Climate Change Research
    • /
    • v.1 no.1
    • /
    • pp.21-30
    • /
    • 2010
  • In this study, vulnerability of water resources to climate change was assessed in terms of flood, drought and water management. Criteria and indicators were employed for assessing the vulnerability. The criteria used to assess the vulnerability was sensitivity of the study area, the exposure to climate and the adaptability to climate change. These criteria were quantified and standardized using corresponding indicators. Vulnerability of water resources to climate change is assessed to be generally increasing over time. The appropriate watershed scales are the large drainage basin for national level vulnerability assessment and the small drainage basin for local one.

The Vulnerability Assessment Forest Fire in Jeju to Climate Change using the VESTAP (VESTAP을 활용한 기후변화에 따른 제주도 산불 취약성 평가 연구)

  • Lim, Chae-Hyun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30 no.1
    • /
    • pp.57-62
    • /
    • 2016
  • This study evaluated the risk of forest fires due to climate change in Jeju using the VESTAP. The study primarily aimed at assessing the risks posed to Jeju city and Seogwipo city, and uses actual and projected date from the period of 2000's to 2040's based on RCP 8.5 scenario. Forest fire vulnerability throughout Jeju-do was determined through the standardization of vulnerability index. The highest vulnerability was determined for the towns of Chuja-myeon, Udo-myeon, two downtown areas in Jeju city, Daejeong-eup, and five downtown areas in Seogwipo city, resp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