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충진제

Search Result 270,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Strucural, Thermal,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Epoxy-Nanocomposites according to Dispersion Agent Treatment (분산제 처리에 따른 에폭시-나노콤포지트의 구조적, 열적, 전기적 특성)

  • Park, Jae-Jun;Lee, Sang-Hyup;Kim, Jae-Bong;Lee, Su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9.06a
    • /
    • pp.256-256
    • /
    • 2009
  • 에폭시수지에 층상실리케이트 나노입자를 충진함량별로 충진시킨 나노콤포지트를 제조하여 충진함량의 변화와 분산제 첨가를 통하여 분산제효과를 조사하였다, 충진함량의 변화는 1, 3, 5, 7, 9wt%과 분산제 변화를 05, 1.5, 2.5wt%로 구조적, 열적, 전기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분산처리는 초음파 기법을 적용하여 분산하였다. 구조적 특성으로 X-RD조사한 결과 0.5wt%분산제처리를 한 경우 완전한 박리를 가져오지 못하였고, 부분적인 박리를 가져왔다. 이는 분산제 처리량이 나노입자 표면정체를 제어할수 없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분산제 1.5wt%를 첨가한경우로 충진함량별 X-RD특성은 1wt%는 완전한 박리를 나타내었고 함량의 증가에 따라 박리정도가 약간 낮아지는 경우를 알 수 있다. 이런 경우 전기적특성중 단시간 절연파괴특성에서 나타내고 있다. 충진함량이 낮을수록 스케일파라미터의 값이 높고, 함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지는 경우이다. 이는 분산정도에따라 절연파괴강도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열적특성에서 유리천이온도는 1,3,5wt%에서는 증가하는 결과를 더욱 충진함량이 증가하면 오히려 감소되는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결국은 분산정도에따라 전기적 특성 및 열적특성이 크게 변화되는 특성을 나타내었다.

  • PDF

Liquid Oxygen in Feeding Line during Propellant Filling and Holding (산화제 충진 및 대기 과정의 추진제 공급배관 내부 현상)

  • Kwon, Oh-Sung;Cho, Nam-Kyung;Chung, Yong-Gahp;Lee, Joong-Youp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7.04a
    • /
    • pp.34-37
    • /
    • 2007
  • Propellant filling and holding test was carried out using liquid oxygen as a working fluid. The feeding line system has a filter at propellant tank outlet. Vaporization of liquid oxygen during holding after completion of filling and effect of vaporization to recirculation performance in this system was observed. Filling rate and pressure of tank ullage had the effect on state of liquid oxygen in feeding line. There was no geysering in feeding line during holding because of the position of filter.

  • PDF

Effect of Softcapsule Fill Formulation on the Stability and the Disintegration Time of Ginkgo Biloba Extract (연질캅셀 제제 처방이 은행잎 엑스의 안정성 및 붕해 시간에 미치는 영향)

  • Kim, Young Soo;Kim, Su-Dong;Yoon, Sung-Hwa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 /
    • v.10 no.6
    • /
    • pp.848-851
    • /
    • 1999
  • In order to increase the stability of Ginkgo Biloba extract,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three different fill formulations(SBO, PEG400, and PEG600 fill types) on the stability of Ginkgo Biloba extract in three different shell formulations (ssmb, smb and gmb shell types). The stabilities of each types were evaluated by testing their disintegration time sunder the condition of $40^{\circ}C$, 75% relative humidity(RH) for 8 weeks. The formulation of Ginkgo Biloba extract with ssmb and PEG600 formulation type showed the best stability among them.

  • PDF

Prediction of Insulation Reliability Using Weibull Distribution Simulation of Dielectric Breakdown Data (절연 파괴 데이터의 와이블 분포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절연 신뢰도 예측)

  • Park, Geon-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2.01a
    • /
    • pp.233-23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변성기용으로 사용되는 에폭시 복합체에 대해 절연 파괴 실험을 하고 그 데이터를 와이블 분포 확률을 이용해서 시뮬레이션을 하였다. 에스테르기의 기여에 의한 가교밀도 때문에 저온에서 경화제가 증가할수록 파괴강도가 증가하고 충진제를 첨가한 시료들의 파괴강도는 비충진 시료들의 경우 보다 더 낮았는데 이는 충진제 첨가가 계면을 형성하고 전하가 축적되어 분자의 이동도가 증가되고, 전계가 집중되어 전자 가속화 및 전자 사태의 성장이 초기에 도달되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또한 와이블 분포의 분석으로부터 허용 절연파괴 확률이 0.1[%]로 주어질 때, 인가 전계값은 21.5[kV/mm] 이하가 되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 PDF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Lightweight Fillers and Inorganic Flame Retardants are Added Polyurethane Composite Foam (경량 충진제 및 무기계 난연제 첨가 polyurethane 복합발포체 제조 및 특성)

  • Kang, Dong-Rak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3 no.3
    • /
    • pp.955-960
    • /
    • 2012
  • In this study, pure Polyurethane and commonly used flame retardants $Al(OH)_3$ and $Mg(OH)_2$, the add-in sample and Cloisite Na+, Cloisite 15A added sample of flammability and mechanical properties are compared. Sodium silicate and a mixture of polyurethane that the lightweight filler Vermiculite, Perlite addition of flame retardant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sample was confirmed. As a result, the flame retardant additive in the Vermiculite and Perlite in a flame-retardant grade sample except sample were identified. Tensile strength is degrade accord to the filler amount. But, Sodium silicate in the case of the sample add-in, other than confirmed that the sample strength increases.

A Study on Bond Strength of Cement-Based Filler and Flexural Strength of RC Beam Strengthened with GFRP by Filler Thickness (시멘트계 충진제의 접착 성능 및 보강 두께에 따른 GFRP 보강 RC보의 휨 성능에 대한 연구)

  • Choi, Ha-Jin;Choi, Young-Woong;Park, Jong-Chul;Jung, Si-Young;Choi, Oan-Chul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14 no.5
    • /
    • pp.144-152
    • /
    • 2010
  • In this study, cement-based filler is used as an adhesive instead of organic adhesive, epoxy because there were problems under wet condition. First, the bond strength of cement-based filler was measured and the result was satisfied with KS F 4716. However, in case of wet condition, bond strength of epoxy adhesive decreased $0.73N/mm^2$ in 7 days and $0.84N/mm^2$ in 14 days from pilot test. This implies that there would be a problem on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in wet condition, such as tunnel and sewage box. In the second experiment, the flexural strength of RC beams with GFRP using different thickness of cement-based filler was investigated, and the result was indicated 113%, 66%, 75% increase in 10mm, 20mm, 30mm thickness, respectively. From the result, it was known that 10mm filler thickness produces stable bond performance.

Clay Renaissance (클레이 르네상스)

  • Lee, Seok-Hoon
    • Mineral and Industry
    • /
    • v.29
    • /
    • pp.1-17
    • /
    • 2016
  • 점토광물은 자연 산출되는 광물로써 양이 풍부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여러 가지 산업자원으로써 오래전부터 다양하게 활용되어 왔다. 전통적인 주요 활용분야로는 제지 및 코팅 산업의 충진제, 내화재, 세라믹, 유리섬유, 시멘트 등에 90% 이상이 사용되어왔다. 최근에야 고무, 플라스틱 및 페인트의 물성 강화용 충진제로, 넓은 표면적을 활용한 촉매제로 일부 사용되고 있지만 대부분 판상용 점토광물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고령토가 국내 생산 주요 품목에 들어가지만 그 비중은 2014년 기준 1.9%로 낮으며, 그나마 자급율도 77% 수준이라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생산되는 고령토의 양이 매년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며, 2014년 기준 고품질인 Wa와 Wb의 생산량이 각각 600 톤과 227 톤으로 미미한 수준이며 P급이 4.1만 톤 수준이라 부가가치가 매우 낮은 상품 중의 하나로 보인다. 다행히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고령토의 많은 부분이 할로이사이트 계열 고령토이고, 할로이사이트의 독특한 나노튜브 형태는 신소재 개발과 더불어 부가가치가 높은 새로운 활용분야를 개척하기 아주 적절한 광물이어서 그 특성과 산업적 활용 특성을 중심으로 최신 연구동향과 활용분야를 소개하고자 한다.

  • PDF

Research on Heat and Mass Transfer Coefficient in the Packing Layer With a Solar Desiccant Heating/Cooling System (태양열 데시컨트 냉난방시스템 중 충진층에 있어서의 열 물질전달에 관한 연구)

  • Yohana, Eflita;Choi, Kwang-Hwan;Kim, Bu-Ahn;Kim, Dong-Gyu;Paek, Ki-Dong;Kim, Ji-Won
    • Journal of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 /
    • v.26 no.3
    • /
    • pp.17-24
    • /
    • 2006
  • 최근에 에너지절약 차원에서 종래의 공조방식을 대신할 새로운 냉난방시스템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태양열 집열기를 이용하는 데시컨트 시스템 중 제습역할을 실질적으로 담당하는 제습기의 충진층 부분에서의 열 및 물질전달에 관한 일련의 해석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제습과정에서 액체흡수제는 충진층에서 열 뿐만 아니라 물질전달을 수반하게 되는데, 이 결과 건물에 냉방 및 난방효과를 가져다 준다. 따라서 이 충진층의 최적 설계가시스템의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중요한데, 이를 위해서는 충진층에서의 열 및 물질전달 양상을 규명하여야 한다. 따라서 금번 실험에서는 공기와 액체흡수제와의 접촉면적을 넓히기 위해서 충진재로써 3cm(직경) ${\times}$ 3cm(높이)인 시판중인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하고, 실질적으로 40cm(너비)${\sim}$40cm(깊이)${\times}$40cm(높이)의 충진층을 직접 제작하여 실험을 행하였다. 그 결과, 공기측 열 및 물질전달 계수는 공기 온도와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으며, 또한 물질전달계수는 열전달계수와 같은 경향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Effect of Titanate Coupling Agents on the Electr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PVC-Ni Composite Systems (PVC-Ni 복합재의 전기적 ${\cdot}$ 기계적 성질에 미치는 Titanate Coupling Agent 의 영향)

  • Tak Jin Moon;Mi Kyung Lee;Sun Ho Kim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v.29 no.3
    • /
    • pp.319-327
    • /
    • 1985
  • The effect of titanate coupling agents on the electr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conductive poly (vinyl chloride)-nickel composite was studied as functions of filler concentration, the variation of the amount of titanate coupling agents and the type of titanate coupling agents. It was found that the electr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PVC-Ni system were improved by the treatment of titanate coupling agents, but the excessive use of titanate coupling agents influenced to give worse properti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