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충주호

Search Result 89, Processing Time 0.03 seconds

The Impacts of the Chungju Lake on the Fog Chracteristics of Its Surrounding Area (충주호가 주변지역의 안개 특성에 미친 영향 -충주와 제천을 중심으로-)

  • 이승호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3 no.2
    • /
    • pp.165-177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충주호가 그 주변지역의 안개 특성 변화에 미친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충주호 하류에 위치하는 충주와 상류의 제천지역을 사례로 안개일수, 안개 발생.소산시각, 안개 발생 전일의 바람과 일교차 및 기압배치, 상층의 바람 등을 분석하였다. 충주댐 건설 후 두 지역의 안개일수가 크게 증가하였는데, 제천에서는 상대습도와 수증기압이 증가하였으나 충주의 경우는 감소하였다. 또한 충주지역에서는 안개 발생시각이 빨라졌는데, 북서풍계 바람이 불 경우 더욱 뚜렷하며 안개의 빈도도 증가하였다. 안개 소산시각은 충주에서는 빨라졌으나 제천에서는 늦어졌다. 일교차는 충주에서는 감소하였고, 제천지역에서는 증가하였다. 제천의 안개 증가가 충주호에서 공급되는 수증기에 의한 것인데 반하여, 충주의 그것은 방류수의 수온과 기온 차이에 의한 것이다. 이에 따라 충주에서는 동절기에는 증발현상에 의한 안개가, 하절기에는 수면에서의 기온역전에 의한 안개가 크게 늘었다.

  • PDF

Analysis of Water quality in ChungJo dam using EFDC-WASP (EFDC-WASP 연계 모형을 이용한 충주댐유역 수질분석)

  • Kim, Seok Hyeon;Hwang, Sun Ho;Kim, Kyeung;Shin, Sat Byeol;Kang, Moon 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439-439
    • /
    • 2018
  • 충주호는 충청권의 생 공 농업용수로 이용되는 광역상수원이며, 2016년 기준 연간 약 3만6천톤이 방류되어 남한강 전체 수질에 큰 영향을 미친다. 현재 충주호는 상류 유역의 오염원이 적게 분포하여 1급수의 수질기준을 만족하고 있으나, 상류 유역의 개발로 오염원 유입이 증가할 경우 호소 내 수질 및 남한강 전체 수질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충주댐 상류 유역의 오염부 하량 변화에 따른 수질변화를 예측하고, 현재수질 유지를 위한 허용 오염부하량을 산정할 필요가 있다. 한편, EFDC-WASP 연계모델은 수리학적 계산을 보다 정확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이를 수질모델에 사용할 수 있어 다수의 연구자들에 의해 호소의 수질 모델링이 이루어졌으며 적용성이 많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EFDC-WASP 연계 모형을 이용하여 충주댐 상류유역의 배출부하 변화에 따른 호내 수질특성 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모의구간은 충주댐의 유입지점부터 방류지점까지로, 수치해석을 위한 격자망은 총 800여개의 격자로 구성하였다. 수위자료는 한강홍수통제소에서 제공하는 충주댐 수위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수질자료는 환경부 호소 측정지점인 충주호1,2,3 의 자료와 하천 측정지점인 제천A과 한강B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모의기간은 2013-2015년으로 2013년은 모델의 안정기로, 2014년은 보정, 2015년은 검정에 각각 활용하였다. 보검정된 모델을 활용하여 유입부하량 변화에 따른 수질변화를 모의하였고, 1급수 수질을 만족하는 허용부하량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은 향후 호소 상류유역의 개발에 따른 수질변화 예측과 허용부하량 산정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Change Detection for Land Cover Environment using RS and GSIS (GSIS와 원격탐사기술을 이용한 토지피복 환경변화 분석)

  • Choe, Seok-Geun;Hwang, Eui-Jin;Mun, Yong-Hyeon;Sin, Gye-J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Conference
    • /
    • 2007.04a
    • /
    • pp.353-356
    • /
    • 2007
  • 본 연구는 현재 충주호 주변의 수치지도 및 위성영상자료를 이용하여 기존의 DEM 자료로부터 3-D 영상을 생성하고 공간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영상의 시계열분석을 하기 위하여 2000년 영상과 2003년 영상의 비교 분석하였다. 현재 연구중인 충주호 주변 토양도와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토사유출특성 및 토양유실량을 산정 평가하였다. 충주호를 대상으로 유역특성과 유역내에서 발생되는 토사유출에 관한 정보를 분석함으로서 충주호 유역의 효율적인 관리방안을 모색하고 호수로 유입되는 하천수의 오염을 줄일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Collected by Fyke Net and Length-Weigth Relationships of Skygager (Erythroculter erythropterus) in Asan Lake and Chungju Lake (아산호와 충주호의 삼각망에서 채집된 어류 종 조성 및 강준치 (Erythroculter erythropterus) 개체군의 전장-체중 관계 분석)

  • Heo, Min Ah;An, Heui Chen;Park, Min Su;Yang, Yeong Jun;Lee, Wan-Ok
    •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 /
    • v.33 no.4
    • /
    • pp.287-296
    • /
    • 202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pecies composition collected by fyke net and characteristics of the Erythroculter erythropterus population in the Asan Lake and Chungju Lake from June to September, 2021. The collected fish in Asan lake were identified as 4,977 individuals of 13 species from a total of six families and in Chungju lake were identified as 2,436 individuals of 18 species from a total of eight families. The dominant species in Asan lake, both the individuals and biomass were E. erythropterus with 4,470 (89.8%) and 498,424g (84.5%). The dominant species in Chungju lake, both the individuals and biomass were E. erythropterus with 1,327 (54.5%) and 301,818 g (77.5%). The results of the community analysis showed that a dominant index value of Asan lake was 0.93, higher than 0.71 of Chungju lake, and a diversity, evenness, and richness index value of Chungju lake were higher than of Asan lake. The frequency distribution of the total length analysis of the E. erythropterus population showed the appearance rate of 1~2 year olds was high in Asan lake, and the appearance rate of more than 2 years old were high in Chungju lake. The length-weight analysis of E. erythropterus in Asan Lake and Chungju Lake showed a regression coefficient b of 3.06 and 3.04, a condition factor (K) of 0.000128 and 0.000051 with a positive slope. This study could be served as baseline data for assessing habitat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and identifying health conditions of E. erythropterus in Asan Lake and Chungju Lake, artificial lakes.

Comparison of Carbonaceous Sediment Oxygen Demand in Lake Paldang and Lake Chungju (팔당호와 충주호 퇴적물의 탄소성 산소요구량 비교)

  • Shin, Yu-Na;Park, Hae-Kyung;Lee, Sang-Won;Kong, Dong-Soo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40 no.3
    • /
    • pp.439-448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easonal variations of sediment oxygen demand (SOD) in Lake Paldang and Lake Chungju of the Han River system and to suggest SOD values as parameters for the water quality prediction models of two lakes. SOD was measured at laboratory using sediment collected at 2 sites in Lake Paldang from June to November and at 4 sites in Lake Chungju from May to November in 2005, respectively. It was found from the laboratory test that the SOD in Lake Paldang ranged from 337.8 to 881.0 mg $O_2m^{-2}d^{-1}$ and in Lake Chungju ranged from 143.0 to 969.1 mg $O_2m^{-2}d^{-1}$. The SOD of Lake Paldang showed similar variations to the content of organic matter of sediment. The SOD of Lake Chungju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emperature (r=0.78, p<0.01), $PO_4-P(r=0.79,\;p<0.01)$, TP (r=0.55, p<0.05), DTP (r=0.55, p<0.05), $NO_3-N$ (r=(0.72, p<0.01) of hypolimnetic wat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SOD of Lake Paldang was affected by the content and origin of organic matter of sediment and the SOD of Lake Chungju was closely correlated with physical and chemical factors.

Identification of Autumn Phytoplankton in the Lakes of Han River system (한강수계 호수에 출현하는 가을철 식물플랑크톤의 생태적 현황 연구)

  • Kim, Yoon-Jung;Kim, Min-Kyung;Lee, Sang-Don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4 no.3
    • /
    • pp.429-438
    • /
    • 2012
  • Han River is very important as a source of drinking water in metropolitan area.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gure out diversity and dynamics of plankton community in the seven lakes (lakes Paro, Chunchon, Soyang, Uiam, Chungpyung, Paldang, Chungju) of Han Riversystem. A total of 76 genera and 121 species were investigated by taxonomic identification in November 2008. Cyclotella sp. and Microcystis sp. was a dominant species in lake Paro and Chungju respectively. Aulacoseira granulata was dominant in lakes Chunchon, Paldang and Chungpyung. And Fragilalia crotonesis was a dominant species in lake Soyang and Uiam. Our results can be useful when compared to the results using molecular biological method to supplement taxonomic identification.

고수동굴의 교통 및 관광특성에 관한 연구

  • 홍현철;유영준;김일봉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32 no.33
    • /
    • pp.47-62
    • /
    • 1993
  • 충주댐은 1978년에 착공하여 1985년에 완공된 것으로 유역면적은 6,664$\textrm{km}^2$이고, 총저수량은 27억 5천만㎥에 달한다(건설부, 1987). 고수동굴은 이러한 충주호 주변에 위치하고 있으며, 현재 충주호권 내에 속하고 있다. 특히 이 주변지역은 충주댐의 건설로 인한 주변지역의 교통과 관광적 측면에서 많은 환경변화를 초래한 지역으로 고수동굴도 이러한 지역 환경의 변화에 따라 교통과 관광측면에서 많은 변화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렇게 극심한 환경변화와 더불어 관광지로서 급성장된 고수동굴과 주변지역의 교통과 관광 특성을 밝히는 것에 중점을 둔다.(중략)

  • PDF

Analyzing the effect of global warming on the thermal stratification in Chungju reservoir (지구온난화가 충주호 수온 성층구조에 미치는 영향 분석)

  • Yoon, Sung-Wan;Chung, Se-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133-133
    • /
    • 2012
  •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패널 IPCC의 4차 보고서에 의하면 지난 100년간 지구 평균 기온의 선형추세선 기울기가 $0.74^{\circ}C$/년을 보이고 있으며 21세기말 지구의 평균기온은 최대 $6.3^{\circ}C$까지 더 상승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러한 대기기온의 상승은 저수지 및 하천의 수온과 밀접한 관계를 지니는데, 저수지 표층 수온 및 유입 하천의 수온을 증가시켜 저수지 수온 성층형성시기를 앞당겨 성층화 기간을 증가시키고 또한 성층강도도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수온성층기간 및 강도의 증가는 심수층의 용존산소 고갈과 이에 따른 퇴적층의 영양염류 용출량을 증가시켜 저수지 수질관리에 어려움을 야기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특히 온대기후대에 속하는 우리나라의 대부분의 대형 인공 저수지는 여름철 뚜렷한 수온성층구조가 확인되고 있어 대기기온 상승이 수온성층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은 미래 기후변화에 대비한 저수지 수질관리 전략 수립을 위해 필요한 기초 연구라 판단되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2차원 횡방향 평균 수치모형(CE-QUAL-W2)을 활용하여 대기 온도 변화에 따른 충주호의 수온분포를 모의하고 수온 성층구조의 변동경향을 분석하였다. 지구 온난화 영향 모의에 앞서 2010년과 2008년의 충주호 수문조건에 모형을 적용하여 수온 성층구조의 재현성을 확인하였다. 미래 대기기온 자료는 국립기상연구소에서 제공하는 한반도 기후전망 모의자료(RCM) 중 충주댐 유역의 평균 기온자료를 수집하여 사용하였으며, 모의연도는 2011, 2040, 2070, 2100으로 하였다. 또한, 대기기온과 유입수온 자료를 제외한 모든 입력자료는 보정년도인 2010년과 동일하다고 가정하여 대기기온 변화의 영향만을 고려하였다. 2011년에 비해 2100년의 대기기온이 연평균 $2.44^{\circ}C$ 증가하였을 때 표층수온은 평균 $1.72^{\circ}C$, 최대 $4.31^{\circ}C$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층수온은 평균 $0.36^{\circ}C$, 최대 $1.33^{\circ}C$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층구조 형성기간의 비교를 위해 표층과 심층의 수온이 $5^{\circ}C$ 이상의 차이를 보이는 기간을 조사한 결과 2011년에 비해 2100년에서 5일 일찍 시작되어 11일 더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