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충돌성능

Search Result 1,195,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선박 충돌위험도 식별 시스템의 성능 시험

  • Son, Nam-Seon;Pyo, Chun-Seon;Lee, Chan-Su;O, Chang-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06a
    • /
    • pp.496-498
    • /
    • 2012
  • 선박이 운항중 타선과의 충돌상황을 효과적으로 신속하게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줌으로써 선박 충돌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선박충돌위험도 식별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지난 연구에서는, 고안된 시스템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부산항에서 일어난 제품운반선과 화물선간의 충돌사고의 실제 AIS 데이터를 이용한 재생시뮬레이션을 수행한 바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선박충돌위험도 식별 시스템의 테스트베드를 구축하였고, 실제 해상에서 AIS 신호를 이용하여 성능을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군산항과 인천항의 연안여객선에 테스트베드를 장착하고, 실제 운항중 AIS 정보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선박충돌위험도 식별시스템의 온보드 시험을 수행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선박충돌위험도 식별 시스템의 테스트베드의 특징과, 실제 해상에서 수행된 온보드 시험 결과에 대해 소개하였다.

  • PDF

Performance Evaluation of Conflict Detection Schemes for Concurrent Temporal Transactions (시간지원 트랜잭션을 위한 충돌 검출 기법의 성능평가)

  • 구경이;하봉욱;김유성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8.10b
    • /
    • pp.220-222
    • /
    • 1998
  • 시간지원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각 데이터 항목에 대해 현재 비젼뿐만 아니라 이력 버전들까지도 관리하기 때문에 시간지원 트랜잭션은 기존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트랜잭션보다 더 많은 데이터 레코드들을 액세스한다. 그러므로, 시간지원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은 시간지원 트랜젝션들간의 충돌을 최소의 비용으로 검출하면서도 시스템 전체 성능의 저하를 유발하는 거짓 충돌(false conflict)을 검출하지 않고 실제 충돌을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검출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시간지원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동시적으로 실행되는 시간지원 트랜잭션들간의 효율적인 충돌 검출 기법으로서 2레벨 충돌 검출 기법을 제안하고, 모의 실험을 통하여 기존의 충돌 검출 기법들과 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실험 분석의 결과로서 제안된 2레벨 충돌 검출 기법은 기존의 검출 기법들보다 동시적으로 실행되는 시간지원 트랜잭션들간의 충돌을 적은 비용으로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는 효율성이 입증되었다.

Transient Coordinator : a Collision Resolution Algorithm for Asynchronous MAC Protocols in Wireless Sensor Networks (센서 네트워크 환경에서 비동기식 MAC 프로토콜을 위한 충돌해결 알고리즘)

  • Lee, Sang-Hoon;Bae, Yong-Soo;Choi, Lyn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2.06d
    • /
    • pp.208-210
    • /
    • 2012
  • 일반적으로 비동기식 센서 네트워크 MAC 프로토콜들은 별도의 충돌회피 알고리즘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동기식 MAC 프로토콜에 비해 충돌에 의한 성능 저하가 크게 나타난다. 본 논문에서는 충돌에 따른 비동기식 MAC 프로토콜의 성능 저하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 수신 노드가 충돌을 야기한 송신 노드들의 전송 순서를 제어하여 추가적인 충돌을 제거할 수 있는 비동기식 MAC 프로토콜용 충돌해결 알고리즘을 소개한다. 충돌을 감지한 수신 노드는 충돌을 일으킨 송신 노드들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이용하여 충돌이 발생하지 않는 전송 순서를 각 송신 노드에게 지정한다. 송신 노드들은 지정된 순서에 따라 독점적인 채널 사용 권한을 얻으며 이를 통해 송신 노드간의 충돌을 회피할 수 있다. 실험에 대한 분석에 따르면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충돌해결 알고리즘은 반복적인 충돌을 방지하여 그로 인해 낭비되는 시간과 대역폭을 줄이고 이를 통해 각 노드당 평균 데이터 처리량을 약 18.6% 증가시킬 수 있다.

Impact Condition of Safety Performance Evaluation for Longitudinal Barriers of SMART Highway (스마트하이웨이 종방향 방호울타리안전성능 평가를 위한 충돌조건)

  • Kim, Dong-Seong;Kim, Kee-Dong;Ko, Man-Gi;Kim, Kwang-Ju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9 no.3
    • /
    • pp.49-57
    • /
    • 2009
  • To minimze the degree of damage for the SMART highway's punctuality and safety after car-barrier collisions, the impact condition for longitudinal barriers of SMART highway was determined to be quite larger than the existing maximum impact condition. The impact condition consists of impact vehicles, impact velocities, and impact angles. To consider the occupant safety of passenger cars as much as possible, a small car with high risk during impact was selected as the impact vehicle for the evaluation of occupant risk. The impact velocity was determined to be 20% larger than the existing maximum impact velocity in order to include accident impact velocities as much as possible. The impact angle was determined to include most of expected accident impact angles. Computer simulations using various impact conditions were conducted for the existing domestic highest-performance medium and roadside barrier. How the suggested impact condition has an effect on the occupant safety was investigated. The existing domestic highest-performance medium and roadside barriers could not satisfy the suggested impact condition. New high-performance longitudinal barriers are required to minimize the degree of damage for the SMART highway's punctuality and safety after car-barrier collisions.

A Study on Back-off Algorithm to enhance performance in IEEE 802.11 (IEEE 802.11에서 성능향상을 위한 백오프 알고리즘 연구)

  • Kim, Tae-Jin;Lee, Ji-Yup;Lim, Seog-Ku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05a
    • /
    • pp.429-432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IEEE 802.11 WLAN(Wireless LAN)에서 기본 액세스 방식인 DCF(Distributed Coordination Function)의 성능을 높이기 위하여 개선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CDMA/CA(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Avoidance)기반인 DCF는 스테이션의 적은 상황에서는 비교적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지만 스테이션이 많은 혼잡상황에서는 처리율, 지연율, 충돌률 관점에서 성능이 큰 폭으로 저하된다. 본 논문에서는 패킷 전송 후 충돌이 발생하면 CW(Contention Window)를 4배 증가 시켜주고 패킷의 전송이 성공 시에는 CW를 서서히 줄여주어 연쇄적인 충돌과 잠재적인 충돌을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패킷 충돌의 확률을 낮추어 주는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성능을 입증한다.

  • PDF

가공오차가 분무특성 및 연소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Jung, Yong-Gap;Oh, Seung-Hyup;Kim, Sun-Jin;Kim, Y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99.04a
    • /
    • pp.1-1
    • /
    • 1999
  • 액체로켓엔진은 인젝터, 추력실, 노즐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구성요소 중에서 연소성능과 연소안정성에 가장 지배적인 요소는 인젝터이다. 본 연구에서는 액체로켓엔진에 사용될 인젝터의 F-O-O-F 충돌형 Uni-element 인젝터를 설계하였으며 특히, F-O-O-F 충돌형 인젝터는 두 단계의 충돌과정으로 구성되는데, 첫단계 충돌은 산화제와 연료 오리피스의 분무로 충돌이 이루어져 Liquid Sheet가 형성되며 다음 단계로는 이러한 양쪽의 Liquid Sheet가 서로 충돌하여 미립화가 진행되는 두단계 충돌과정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인젝터의 가공 정밀도가 매우 높아야 하며 인젝터 오리피스 크기나 각도 등의 어느 하나라도 정밀도가 낮게 가공된다면 연소성능과 연소안정성에 심각한 영향을 주게 된다.

  • PDF

A Study on the Performance Comparison of S2 type Bridge Rails (S2급 교량용 방호울타리의 성능비교 연구 (F형 콘크리트와 철재 교량용 방호울타리를 중심으로))

  • 정봉조;주재웅;이성관;장명순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0 no.2
    • /
    • pp.117-124
    • /
    • 2002
  • 새로 개발한 철재 교량용 방호울타리는 기존 시설에 비해 충격흡수기능과 조망권 확보, 융설작업,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설계되었다. 본 연구는 새로 개발한 철재 교량용 방호울타리를 건설교통부의 $\ulcorner$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지침 - 교량용 방호울타리 편. 1999$\lrcorner$ 의 설계기준에 따라 기존 고속도로에 사용하고 있는 F형 콘크리트 교량용 방호울타리와 성능비교를 통해 평가하고자 하였다. 비교평가는 S2급 교량용 방호울타리의 시험기준으로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소형승용차를 대상으로 한 운전자의 안전도 평가에서는 두가지 시설 모두 강도성능, 충돌 후 차량 안전성능 구성 부재 비산 억제 성능 등 세 가지 기준을 만족하였으나, 가속도 기준에 있어서는 철재 교량용 방호울타리는 기준인 20g 이하인 18.2605g로 나타나 안전기준을 만족하였고, F형 콘크리트 교량용 방호울타리는 20.1791g로 나타나 기준을 약간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안전기준의 범위에 있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둘째. 대형차량을 대상으로 한 방호울타리의 구조적 안정성 평가에 있어서는 F형과 철재 교량용 방호울타리 모두 평가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새로 개발한 철재 교량용 방호울타리는 국내 최초로 모의충돌시험과 실물차량 충돌시험을 통해 개발하였다는 의의를 가지고 있으며 성능측면에서도 기존의 시설에 비해 충분히 안전하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그러나 측정시설의 미비로 충돌후의 차량의 이탈속도나 이탈각도에 대하여 만족할 만한 수준의 결과를 제시하지는 못하였다.

Effect of Bead Shape in Aluminum Crash Box for Effective Impact Energy Absorption Under Low- Velocity Impact Condition (저속충돌조건에서 효과적인 충돌에너지흡수를 위한 알루미늄 크래쉬 박스의 비드형상 효과)

  • Lee, Chan-Joo;Lee, Seon-Bong;Ko, Dae-Cheol;Kim, Byung-Min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36 no.10
    • /
    • pp.1155-1162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bead shape on the crash performance of an aluminum crash box under a low-velocity impact condition. The initial peak load and impact energy absorption of a crash box with three types of bead shapes-edge concave, surface convex, and surface concave type-were studied through an FE analysis and an experiment. In addition, the effects of the bead shapes on the crash performance of the crash box were verified through a low-velocity-impact test with a front side member assembled with an aluminum crash box. The initial peak load of the surface-concave-type crash box was reduced by the bead, and therefore, deformation of the front side member at initial contact could be prevented. Furthermore, there was no deformation of the front side member after the impact test because the crash box with a surface-concave-type bead absorbed all the impact energy.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Variable Safe-Guard Ring for the Ship Collision Avoidance in Shallow Water (천수역에서 충돌회피를 위한 가변안전경계영역 적용에 관한 연구)

  • Yang, Hyoung-Seon;Ahn, Young-Sup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14 no.2
    • /
    • pp.157-162
    • /
    • 2008
  • The ship's maneuverability is the important factor to avoid ship's collisions. The ship's maneuverability is usually measured in a deep water, and the turning ability is decreased and the course stability is improved in a shallow water. The variation of the turning ability could cause the risk of collision. In this paper, we proposes application technique of Variable Safe-Guard Ring to consider the shallow water effect and to be simple to estimate the grade of collision risk simultaneously. Through the mathematical simulation, the availability of new method was varified. Therefore this method is expected enough to support a maneuver for collision avoidance.

  • PDF

단요소 충돌형 분사기에 의한 액체추진제 연소성능의 수치적 연구

  • 황용석;윤웅섭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99.04a
    • /
    • pp.2-2
    • /
    • 1999
  • 액체추진제 로켓엔진에서 분사기의 미립화 및 혼합 특성과 그에 따른 연소 특성은 성능과 안정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파라미터이며 분사기는 제한된 설계 조건하에서 최대의 열방출율을 발휘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여기서 연소효율은 연료와 산화제의 혼합특성과 충돌 분무의 미립화의 정도에 의해 결정되므로 충돌 분무 유동성의 혼합, 미립화 특성과 이에 따른 인조성능 특성을 명확하게 밝힘으로써 최대 엔진성능을 위한 설계가 가능하게 된다. 분사기의 설계에는 분사요소형태, 분사공의 형상 및 유동시스템 등이 포함되며 특히 분사요소 형태의 선택에는 추진제, 연소실냉각방법, 연소실 형상, 자동조건 및 엔진의 수명 등이 중요한 제한조건으로 고려된다. 이런 형태의 분사 요소들 중, 충돌형 분사기는 저장성 추진제를 사용하는 중, 저추력의 액체추진제 로켓엔진에 주로 사용된다. 이 분사형태는 미립화 성능이 높지 않고, 분사공 직경 및 운동량비에 따른 혼합성능이 만감하며 blow apart 등에 의한 열부하 혹은 안정성에 대한 문제가 있으나 양호한 혼합효율, 신뢰성과 제작의 용이함으로 인하여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