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충격 실험

Search Result 1,402,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Impact Characteristics of Garphite/Epoxy Composite Materials with Non-wowen Tissue (부직포를 삽입한 Graphite/Epoxy 복합재료의 충격 특성)

  • 정성균;서유원;이승환
    • Korean Journal of Crystallography
    • /
    • v.9 no.2
    • /
    • pp.125-130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부직포를 삽입한 Gr/Ep 복합재료의 충격 흡수 특성을 연구하였다. 계면(interface) 층에 유리 부직포 또는 탄소 부직포를 삽입하여 복합적층판을 제작하였다. 저속충격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충격에 의한 층간분리(delamination)를 C-Scan과 현미경을 사용하여 관찰하였다. 실험결과 계면에 부직포를 삽입함으로써 충격에 의한 층간분리 면적이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Development of a Laboratory Test Device for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Light-weight Impact Sound (경량충격음 성능 평가를 위한 실험실용 시험장치 개발)

  • 양수영;홍병국;송화영;김범수;이동훈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4.05a
    • /
    • pp.505-508
    • /
    • 2004
  • 단열완충재 제품간의 경량충원 저감성능 평가를 객관적이고 신속하게 판별하기 위하여 실험실용 시험장치를 개발하였다. EVA계열 및 EPPㆍEPS계열의 단열완충재들에 대한 경량충격원 시험에서 제품간의 성능비교가 가능하였으며, 동탄성계수 및 손실계수 측정과 병행함으로써 제품들간의 우열성을 보다 정밀하게 평가할 수 있었다.

  • PDF

Analysis of Isolation System for Impulsive Force Device with Recoil Mechanism (반동방식 충격기구의 완충시스템 해석)

  • Kim, HyoJun;Ryu, BongJo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 /
    • v.15 no.3 s.96
    • /
    • pp.272-279
    • /
    • 2005
  • In this study the optimal isolation system for the prototype HIFD(high impulsive force device) is investigated. For this purpose, firstly, the dynamic behavior of a human body and a transmitted force under specific operation conditions are analyzed through a series of experimental works using the devised test setup. In order to design the optimal dynamic absorbing system, the parameter optimization process is performed using the simplified isolation system model bas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of linear impulse and transmitted force. Finally, under the parameters satisfying the constraints of the buffering displacement and the transmitted force, the performance of the designed isolation system for the prototype HIFD is evaluated by experiment.

Analysis of Natural Frequency Change of Pier According to Bridge Superstructure Modeling Methods (교량 상부구조물의 모델링 방법에 따른 교각 고유진동수 변화분석)

  • Park, Byung-Cheol;Chang, Sung-Hee;Kim, Young-Hoon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0.04a
    • /
    • pp.187-190
    • /
    • 2010
  • 기초세굴에 따른 교각에서의 1차 모드 고유진동수 변화를 이용하여 교량 세굴 건전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공용중인 광탄1교의 T형 교각 1기에 대하여 충격진동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교축직각방향의 1차 모드 고유진동수를 수치해석결과와 비교하였다. 교량 상부구조물의 모델링 방법에 따라 상부구조물을 전체 모델링한 방법과 교각만을 모델링하고 상부구조물의 영향범위를 가정하여 교량받침 위치에 질점질량으로 변환하여 적용한 방법으로 구분하여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상부구조물을 전체 모델링한 경우와 집중하중 형태로 상부구조물을 모델링한 경우 모두 고유진동수는 충격진동실험결과와 큰 차이를 보였다. 충격진동실험을 통해 얻은 고유진동수는 교각의 국부적인 진동수로 사료되는 반면, 수치해석을 통해 구한 결과는 교량 상부와 하부의 Coupling 효과가 반영된 시스템 전체의 고유진동수이기 때문에 결과의 큰 편차가 생기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충격진동실험에서 구한 고유치 양상을 올바로 구현하기 위한 모델링을 찾기 위해서는 새로운 접근 방법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Evaluation Method of Floor Impact Noise Generated by Standard Bang Machine (중량충격음원에 의한 차음성능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 전진용;박영환;박해존;김상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1.05a
    • /
    • pp.1077-1082
    • /
    • 2001
  • 기존의 타이어를 사용한 중량충격음에 대한 차음성능 평가방법의 타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청감실험에 의한 감성적 반응결과와 L등급 및 Leq에 의한 평가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동일한 바닥충격원에 대한 분석결과 L등급평가 보다 Leq에 의한 평가가 청감실험의 반응에 잘 대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Zwicker parameters 중 Loudness와 Unbiased Annoyance는 청감실험과 가장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 PDF

Study on low impact experiment of aluminum foam core (알루미늄 폼 코어 복합재료의 저충격 실험에 관한 연구)

  • Kim, Sung-Soo;Kim, Sei-Hwan;Cho, Jae-Ung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2.05b
    • /
    • pp.646-648
    • /
    • 2012
  • 본 연구에서 다루는 복합재료는 알루미늄 폼으로써 다공성 구조체로 고체 알루미늄 금속에 비하여 비중이 1/10 정도로 작고, 충격에너지 흡수가 우수하다. 본 연구에서는 다공성 심재를 갖는 복합재료 알루미늄 폼 코어의 충격실험을 실시하여 기계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시험편은 알루미늄 폼 코어를 갖는 복합재료로써 시험편에 50J의 저 충격에너지를 가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모든 실험에서 스트라이커가 상부면재 통과 시 최대하중이 나타났고, 이때의 최대하중 값은 약 5.5 KN으로 나타났다. 또한 최대 하중 발생 시간은 50J일 때 약 4.2 ms가 나왔다. 최대 하중이 발생한 후, 즉 상부 면재 통과 후에 실험에서는 약 10 mm정도를 더 뚫으면서 심재에 까지 손상을 주었지만 하부 면재에는 손상을 주지 못하였다. 이로써 스트라이커가 알루미늄 폼 코어 샌드위치 복합재료를 통과 할 때 상부면재 통과 시 최대 하중이 발생하고 심재를 지나며 서서히 감소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 PDF

Impact Behavior at Composite Material of Aluminium Double Cantilever Beam with Two Kinds of Materials (이종재료의 알루미늄 이중 외팔보 복합재의 충격 거동)

  • Cho, Jae-U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8 no.3
    • /
    • pp.421-426
    • /
    • 2007
  • This study was analyzed dynamically by finite element method about the results of experiments which the double cantilever beam specimens with two kinds of materials were applied by impact load. And they were compared with each other as the simulation data applied onto impact velocities of 6.4 and 18.47 m/s. The crack energy release rate, force and displacement of block were calculated numerically by computer. As the numerical simulation data of specimen analyzed in this study approached the experimental data, the inspection of this specimen model suggested in this paper could be reasonable for the numerical simulation.

  • PDF

Analysis of Natural Frequency Change of Foundation Scour Imitation Pier Using FEM (유한요소해석을 이용한 기초세굴모의 교각의 고유진동수 변화분석)

  • Chang, Sung-Hee;Park, Byung-Cheol;Lim, Jong-Hyuk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0.04a
    • /
    • pp.183-186
    • /
    • 2010
  • 교각에서의 기초세굴 단계 및 상부구조물의 영향에 따른 진동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교각 시험체를 이용하여 충격진동실험과 Midas FEA ver.2.0를 이용한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였다. 기초세굴 모의는 교각시험체 기초 주위의 지반을 단계별로 굴착하였으며, 상부구조물의 영향은 철근콘크리트 블록을 제작하여 교각 시험체 위에 재하하였다. 충격진동실험과 수치해석결과, 강성이 작아지거나 질량이 커질수록 1차 모드 고유진동수도 작아지는 등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대체적으로 충격진동실험으로 구한 1차모드 고유진동수는 수치해석으로 구한 값보다 작은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지반의 강성변화를 수치해석 모델에서 연속적으로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로 인해 발생한 오차로 판단된다. 따라서 1차 모드 고유진동수의 변화를 이용한 교각 세굴 건전성 평가를 위한 유한요소해석을 위해서는 지반물성을 보다 잘 모의할 수 있는 기법의 개발이 필요하였다.

  • PDF

Experimental Study of Micro-Shock Tube Flow (Micro-Shock Tube 유동에 대한 실험적 연구)

  • Park, Jin-Ouk;Kim, Gyu-Wan;Rasel, Md. Alim Iftakhar;Kim, Heuy-Dong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 /
    • v.39 no.5
    • /
    • pp.385-390
    • /
    • 2015
  • The flow characteristics in micro shock tube are investigated experimentally. Studies were carried out using a stainless steel micro shock tube. Shock and expansion wave was measured using 8 pressure sensors. The initial pressure ratio was varied from 4.3 to 30.5, and the diameter of tube was also changed from 3mm to 6mm. Diaphragm conditions were varied using two types of diaphragms. The results obtained show that the shock strength in the tube becomes stronger for an increase in the initial pressure ratio and diameter of tube. For the thinner diaphragm, the highest shock strength was found among varied diaphragm condition. Shock attenuation was highly influenced by the diameter of tube.

Subjective response evaluation items for floor impact noise using various impactors (다양한 충격원에 대한 바닥충격음 주관반응 평가항목 분석)

  • Hyeon-Ku Park;Seonhwa Lee;Minjeong Song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42 no.6
    • /
    • pp.584-593
    • /
    • 2023
  • This study attempted to develop repetitive impact sources similar to real-life floor impact noise and to find an assessment approach corresponding to this new impact source. The necessity for the development of the new impact source arises from the fact that issues related to floor impact noise in actual residential buildings mainly stem from children running. However, the standard impact sources which have been used for measuring and evaluating floor impact noise are of single-impulse type, which differs from the actual problematic impact sources. The study encompassed 18 evaluation items, and the results suggest that items applicable for assessing floor impact noise include psychological effects (annoying, becoming angry), disturbances to daily life (interference with sleep, disruption of relaxation), and physiological effects (elevated blood pressure). These items can be employed individually and, depending on the type of evaluation for floor impact noise, can be selectively utilized. By doing so, more comprehensive evaluations of auditory experiments in laboratories or assessments of residential noise in living environments related to floor impact noise could be condu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