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출판물

Search Result 199,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A Study on the Citation and Usability of On-line Electronic Publications (온라인 전자출판물 인용도 및 유용성에 관한 연구)

  • 권경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01.08a
    • /
    • pp.81-84
    • /
    • 2001
  • 본 연구는 학술커뮤니케이션에서 활용되는 온라인 전자출판물의 이용과 인용도에 대한 상관관계 분석과 유용성의 차이를 평가하고자 하는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학술지에 게재된 게재기사에 온라인 전자출판물을 인용한 저자들을 대상으로 이용도와 인용도를 조사하였으며, 학술지에 게재된 게재기사에 인용된 온라인 전자 출판물의 사회과학분야와 자연과학분야 간 유용성에 대해 비교 분석하였다. 학술지에 게재된 게재기사에 온라인 전자출판물을 인용한 저자의 이용도와 학술지에 인용된 온라인 전자출판물의 수와 인용비율간의 상관관계는 저자들의 온라인 전자출판물 주당 이용시간과 이용종수가 증가하더라도 저자들이 학술지에 인용하는 온라인 전자출판물의 수와 인용비율은 증가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과학분야와 자연과학분야 간에 있어서 학술지에 인용되는 온라인 전자출판물의 유용성에는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학술지의 게재기사에 온라인 전자출판물을 인용한 저자들이 온라인 전자출판물을 많이 이용하는 것과 온라인 전자출판물을 실제로 인용하는 것에는 상관관계가 없으며, 측정요소를 통하여 평가한 사회과학 분야와 자연과학분야에서 온라인 전자출판물의 유용성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 Survey Study on the Current Situation of Collection Operations of Independent Publications in Public Libraries: Focusing on Seoul, Incheon, Gyeonggi Province (공공도서관의 독립출판물 장서운영 현황 조사 연구 - 서울·인천·경기 지역을 중심으로 -)

  • Kim, Bo-i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53 no.4
    • /
    • pp.399-418
    • /
    • 2019
  • In accordance with the recent expansion of collection operation of independent publications through public libraries, this study conducted a status analysis on independent publications collection in public librarie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staff in charge of independent publications in order to suggest ways to effectively manage independent publications. As a result, it was deduced that the measures needed for effective management of independent publications are construction of joint cataloging system for building and sharing independent publications catalog in public libraries; platform for collecting various information of independent publications; support for ISBN, ISSN, CIP issuance of independent publications; and improvement of distribution system.

U-Publication 시스템과 비즈니스 모델의 설계와 분석

  • Lee, Gyeong-Jeon;Park, A-Reum
    • Proceedings of the Korea Inteligent Information System Society Conference
    • /
    • 2007.11a
    • /
    • pp.385-391
    • /
    • 2007
  • RFID 태그 부착 출판물(U-Publication)은 U-Media의 하나로 소비자가 기존의 출판물을 오프라인에서만 소비했던 것과는 달리, 복수개의 태그가 부착되어 있어 RFID 리더(reader)로 태그에 저장된 URL을 통해 온라인으로 접속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U-Media는 사람의 생체시스템뿐만 아니라 사람이 지닌 디지털정보나 디바이스, 그리고 주변 사물과 상호작용을 하여 컨텐트 생성과 동시에 자동으로 관련 정보를 수집, 첨부함으로써, 기존의 미디어가 전달하지 못했던 정보까지 제공하여 준다[1]. U-Publication은 온라인과 오프라인이 Seamless하게 연결되어 양방향으로 정보가 이동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U-Media라고 할 수 있으며, 소비자들은 RFID 태그 부착 출판물의 인쇄된 컨텐트 뿐만 아니라 출판물에 부착된 태그의 링크를 통해서 추가적인 컨테트를 소비할 수 있고 다양한 상거래를 할 수 있다. 이 논문은 RFID 태그 부착 출판물의 정의와 이를 기반으로 한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분석과 제안을 담고 있다.

  • PDF

IT Expert Interview

  • Im, Sun-Beom
    • TTA Journal
    • /
    • s.130
    • /
    • pp.24-29
    • /
    • 2010
  • 최근 전자책 시장이 활성화 된 계기는 잘 알다시피 2007년 아마존에서 킨들(Kindle)이란 전자책 단말기를 출시하고 부터이다. 전자잉크(e-Ink) 디스플레이 화면 기술을 적용하여 매우 가볍고 읽기 편한 화면의 단말기를 출시하였다. 2008년에는 빈스앤노블에서 Nook라는 단말기를 출시했으며 올해 4월에는 애플에서 LCD 화면에 태블릿 형태의 아이패드(iPad)라는 단말기를 출시해 사용자들의 획기적인 반응을 얻고 있다. 단말기 하드웨어가 전자책 시장의 중요한 성공요인 중에 하나이지만 이에 못지않게 콘텐츠의 확보와 서비스 모델이 중요하다. 이들 회사는 도서유통에서 시작해 다량의 전자출판 콘텐츠를 확보하고 또한 독자들이 용이하게 콘텐츠에 접근하도록 서비스하고 있다. 전지출판물 콘텐츠 시장에서 사용자들이 원하는 콘텐츠를 제작업체나 공급업체에 독립적으로 서비스 받으려면 콘텐츠 포맷과 DRM 기술 등에 대한 표준화가 지원되어야 한다. 이러한 표준화를 통하여 저자가 작성한 전자책 콘텐츠를 어느 출판사든 사용할 수 있어야 하며, 어느 유통사를 통해서든 최종 독자들에게 근본적인 변환 없이 서비스될 수 있어야 한다. 이번 특집호에서는 최근 주목을 받고 없는 전자출판물 시장의 동향을 살펴보고 국내에서의 전자출판물 육성방안, 전자책 포맷의 표준화 동향, 디지털교과서 표준화 동향, 그리고 전자출판 서비스 및 솔루션 기술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이를 통해 전자출판물에 대한 이해를 돕고 향후 전자출판물 시장이 성장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PDF

A Study on the Deposit System for Electronic Publications (전자출판물의 납본시스템에 관한 연구)

  • Han, Hye-Yo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20 no.3
    • /
    • pp.51-79
    • /
    • 2003
  • The general purpose of deposit is to ensure that the knowledge of the present is not lost to the future. By today the status of legal deposit scheme in various countries including Korea is focusing on paper-based publication or tangible electronic publications. Born-digital publications including electronic books should be registered and be deposited for meeting the aims of deposit. This study presents the findings on deposit legislation, deposit arrangement, and accessing methods of networked electronic publications. The study suggests electronic deposit system, and outlines the technical and procedural challenges involved in developing the deposit system.

해외 도서관 사정

  • Korean Library Association
    • KLA journal
    • /
    • v.47 no.2 s.369
    • /
    • pp.67-68
    • /
    • 2006
  • 지금까지 해외도서관 사정란을 통해 IFLA 분과 중 국가도서과 분과부터 상호대차 분과에 이르기까지 총 15개 분과에 대한 것을 알아보았다. 이번 호에서는 연속간행물 분과(Serials and Other Continuing Reasources), 정부출판물 분과(Government information and Official Publication), 희귀본 분과(Rare Books and Manuscripts)의 목표 및 주요 역할에 대해 알아보겠다.

  • PDF

출판인 구속사태 무슨 일 때문인가

  • Lee, Seong-Su
    • The Korean Publising Journal, Monthly
    • /
    • s.152
    • /
    • pp.22-22
    • /
    • 1994
  • 출판인 구속사태가 잇따르고 있다. 출판계에서는 문민정부 출범 이후 처음 있는 이같은 출판인 구속이 점차 그 범위가 확대되고 있는 게 아닌가 의아해 하고 있다. 특히 지난 4월 15일 대검찰청이 '좌익출판물에 대한 일제단속'을 전국 검찰과 경찰에 지시한 바 있어, 앞으로 출판물에 대한 국가보안법 적용이 어떤 식으로 진행될지 그 귀추가 주목된다.

  • PDF

An Analysis of the Present Publishing Media: Focusing on Data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출판미디어의 데이터 개발과 보급 현황 분석)

  • Kim, Jeong-Suk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15 no.2
    • /
    • pp.49-70
    • /
    • 2004
  •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esent publishing media in order to grasp the trend of data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For this, I analyze the present tendency, concentrating indices of diagram, dividing into traditional book and e-book. It also discusses the viewpoint extracted from the problems related to the data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publishing media. Traditional books and e-books have been expending to add newly updated convergence media in digital media era in which internet represents. I discuss these changes to convergence media for the realization of 'ubiquitous' mean the evolution to transmit propagational elements from proper character of traditional book. By the same token, I examine prospect of increasing digital publishing media and other problems before distribution.

  • PDF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Electronic Publication in School Library (학교도서관에서의 전자출판물 활용방안 연구)

  • 황금숙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33 no.4
    • /
    • pp.85-100
    • /
    • 2002
  • According to increase number of electronic publications, teacher ind student demand them in their teaching md teaming activities. So school libraries must provide various materials(ex : printed, audio-visual and electronic materia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use of electronic publications in school libraries md to suggest the methods of utilization of the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