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출입구 구성요소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2초

대구광역시 민영공동주택 출입구의 변화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ransforming Characteristics of the Entrance of Privately-built Apartment housing in Daegu)

  • 서희숙;이상홍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7권1호
    • /
    • pp.59-66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nalyzing the Transforming Characteristics of the Entrance of Privately-built Apartment housing in Daegu from the 1970s to the 2000s. First of all, this study made an investigation into the general situation of Privately-built Apartment housing and the general idea of the Entrance. Through a field study, This study was analyzing change of an era of entrance of Apartment housing till quite recently existing in Daegu. The results are as the body III follows. Results of the research through change of an era is as follows. The change tendency is not to be big before 2003, but It has under gone change after 2003. Studies show that It is the care for the old and the weak, to take interest in natural lighting, to be going to change from passing the time of space to staying space and more space, to show interest in the preservation of public peace and design. So, The Entrance of Apartment housing has a bias towards more elegant. This research look forward to having an intention of furnishing preliminary data for a residence environment of high quality.

인텔리전트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위한 시뮬레이션 테스트 모델 기술 (Simulation test model for intelligent energy management system)

  • 박용국;강정훈;임호정;고원식;최태준;이민구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620-622
    • /
    • 2009
  • 기존의 지능형 홈은 주거환경에서의 사용자의 편의성이 중심이 된 IT기술 기반의 홈 네트워크 중심 기술이었기 때문에 에너지 절감 측면에서의 기술 적용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적용된 기술 또한 기술적 수준이 매우 미흡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주택 환경에서 에너지 절감 효율을 끌어올리기 위한 요소 인프라 기술을 유도해 내기 위해 실제 사용자의 생활 행위 패턴을 에너지 절감을 위한 구성 요소로 파악하여 실제 이러한 생활 패턴을 정형화 할 수 있는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한 할 수 있는 테스트 모델을 셋업하였다. 이를 위해 복도, 출입구 그리고 현재 근무 중인 테이블에 조도 센서와 인체 감지 센서를 설치하였는데 조도 센서와 인체감지 센서는 하나의 그룹을 이루며 생활패턴을 파악하고 조도 값에 따라 실내등을 소등할 수 있도록 한다. 개개의 센서 노드에서 수집된 센싱 데이터는 브릿지에 있는 베이스 노드로 수집되고 이는 인터넷망을 통해 서버로 전달되어 DB 구축되어 진다. 이러한 시뮬레이션 테스트 모델을 통해 에너지 소비 상태를 파악하고 정형화 함으로써 에너지 절감을 위한 기술 구현이 가능해 진다.

  • PDF

비상시 대피시설로 전환가능한 주민시설 디자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munity Facility Design Convertible to Refuge in case of Emergency)

  • 김희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2503-2510
    • /
    • 2014
  • 본 연구는 평상시에는 주민시설의 기능을 수행하며, 재난의 발생 시에 주민의 대피시설로 기능전환이 가능한 주민시설의 디자인 방법을 모색하는 것에 목표를 둔다. 이를 위하여, (1)재난 및 대피공간관련 용어의 정의, (2)관련 법령 및 기준의 현황, (3)기존의 건립된 주민시설(체육센터, 문화센터)의 수용기능 현황 및 특성 등을 연구하였으며, 기능전환형 주민시설의 디자인을 위한 (1)공간구성의 요구사항, (2)미래형 주민시설을 디자인하기 위한 방안 등에 대해서 문헌연구를 진행하였다. 시 군 구의 주민시설의 계획단계에서 설계지침의 작성 시, (1)대피관련 기능의 수직적 집적화, (2)프라이버시를 고려한 공간구획 및 건축적 장치, (3)화장실, 샤워시설 등의 배치와 출입구의 적절한 복수계획 및 배치, (4)단위공간의 적정규모 등이 기능전환형 주민시설의 디자인에서 중요한 요소로 파악되었다. 향후 기능전환형 주민시설 디자인의 가이드라인이 수립되어 이재민의 발생이라는 부득이한 상황이 발생했을 때 주민의 심리적 불안감을 최소화 하면서 대피공간의 기능을 수행한다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지지조건 변화에 따른 양개형 방폭문의 구조거동 유한요소해석 (FE Analysis on the Structural Behavior of a Double-Leaf Blast-Resistant Door According to the Support Conditions)

  • 신현섭;김성욱;문재흠;김원이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33권5호
    • /
    • pp.339-349
    • /
    • 2020
  • 외피 구조로서의 강박스와 내부의 철근콘크리트 슬래브로 구성되는 양개형 방폭문은 방호 및 대피 구조물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구조체이다. 방폭문과 그 후면의 벽체 사이에는 일정의 설치 간격이 존재하게 되는데, 이로 인한 지지조건 및 구조거동의 변화는 방폭 해석 및 설계에 적절히 고려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설치 간격에 의한 지지조건 및 폭압의 변화에 따른 방폭문의 구조응답 및 파괴거동을 유한요소 해석방법으로 비교·분석하였다. 해석 결과에 따르면, 설치 간격 및 폭압의 변화는 방폭문의 최대 처짐 및 영구 처짐과 같은 처짐 거동에 영향을 미치며, 설치 간격이 크고 작음에 따라 방폭문과 벽체의 충돌 접촉 정도 및 이에 의한 충격력이 크게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방폭문에 작용하는 이와 같은 충격력의 변화는 슬래브의 전단파괴와 같은 파괴거동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설치간격 10mm 미만의 방폭문은 전단파괴에 취약해지고, 15mm 내외 수준인 경우가 휨성능 발현에 비교적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설치 간격 및 폭압과 같이 기본적인 조건의 변화에 한해서 비교 해석을 하였다. 향후, 부재 재원 및 강도변화, 전단설계 여부 등 다양한 변수에 따른 구조거동 변화에 대해 실험적 및 해석적 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