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출연연구기관

Search Result 288, Processing Time 0.03 seconds

The Role of Government Laboratory within Small Business' Technology Support Policy;Focusing on Industry-Academy-Laboratory Collaborations (중소기업 기술지원에 있어서의 정부출연연구소의 활용문제;산학연 협력을 중심으로)

  • Jang, Ji-Ho;Lee, Byeong-Heo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4a
    • /
    • pp.107-137
    • /
    • 2006
  • 우리나라에서의 기존 산학연 협력에 관한 연구는 주로 대학의 역할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출연(연)이 지난 $30^{\sim}40$년간 연구개발 수행과정에서 축적된 혁신역량을 국가차원에서 효율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특히 최근 들어 중소기업의 기술경쟁력 강화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시점에서 정부출연기관에 의한 중소기업 지원의 타당성과 필요성에 대하여 실증적으로 도출한 연구가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이 연구는 기존의 추상적인 정책제안을 탈피하여 1,077개의 중소기업과 13개 정부연구기관의 373명의 연구원들을 대상으로 한 광범위한 설문조사를 분석하여 중소기업이 실질적으로 요구하는 기술의 유형과 지원의 형식 및 정부연구기관의 연구원들이 체감하는 기술공급의 문제점들을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설문조사결과 정부연구기관이 지역을 기반으로 한 중소기업과 대학 등 국가기술혁신체제 속의 연구개발주체들을 네트워크화 하여 기술지식과 정보의 유통, 활용을 촉진하는 매개체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여 지역혁신 지원 조직이 공동으로 지역 중소기업을 위한 산 학 연 종합기술지원 사업을 추진할 것을 요구함을 발견하였다.

  • PDF

A Case Study on the Post-Graduate Programs in Foreign Public Research Institutes (외국 공공연구기관의 단설대학원 운영사례연구)

  • 김정흠;이규호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1 no.2
    • /
    • pp.181-191
    • /
    • 1998
  • 우리나라 기술인력 양성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서 일반대학과 별도로 기술인력양성을 전문으로 하는 학위과정 설치의 필요성이 대두되었으며, 1996년 교육개혁의 일환으로 단설대학원제도와 전문학위제도가 시행되기 시작하였다. 그동안 여러 분야에서 단설대학원 설립이 추진되었으며, 일부에서 운영이 시작되고 있으나 과학기술분야에서는 극히 일부의 사례만이 있을 뿐이고 아직 본격적으로 활성화되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 본고는 공공연구기관에서 시행되는 단설대학원의 사례들을 조사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과학기술계 출연연구기관에서의 바람직한 운영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일본의 총합연구대학원대학과 연계대학원제도, 중국 국가연구소들의 학위수여제도, 프랑스 국가연구소들의 석 박사과정, 독일 연구기관들의 박사과정 등을 소개하였다. 이어서 우리나라에서 현재 진행되고 있는 단설대학원 설립 추진현황을 분석하고, 각 국의 학위과정 운영사례를 연합대학형, 개별법인형, 겸직교수형, 공동운영형, 연구소 독자운영형의 5가지로 분류하고 각각의 특징을 비교하였다. 끝으로 우리나라 과학기술계 출연연구기관의 단설대학원 설립의 활성화방안으로서 독자운영형, 공동운영형, 연합법인형의 세가지를 제시하고 각 대안의 추진방안을 논의하였다.

  • PDF

Accountability Trend for Government Supported Research Institutes : Evidence from the Institute Evaluation 1991-2005 (출연연구기관 기관평가의 책임성 요소 변화 분석)

  • Lee, Min-Hyung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10 no.3
    • /
    • pp.580-603
    • /
    • 2007
  • This paper examines accountability trend for government supported research institutes through the analysis of what aspects of accountability have been emphasized in the institute evaluation from 1991 to 2005. We divided research period into pre-research council period(1991-1998) and post-research council period(1999-2005). In pre-research council period, we find four kinds of accountability for government supported research institutes, that is, compliance accountability for regulation, managerial accountability, performance accountability and social accountability and great emphasis has been put on compliance accountability for regulation and managerial accountability. In post-research council period, financial accountability for soundness has been added to the above four kinds of accountability and great emphasis has been put on performance accountability and managerial accountability, especially performance accountability. The concrete contents of an accountability has been also changed between pre-research council period(1991-1998) and post-research council period(1999-2005). Regulation accountability in the pre-research council period are related to conforming to government rules for institute operation and regulation defining institute function for reformulation, but in post-research council period, it has been focused on rules for the rationalization of management. Managerial accountability has been changed from emphasizing on management efficiency approximately to focusing on more specific management efficiency like the appropriateness of personnel management, the efficiency of budget management and project management, reasonableness of evaluation and compensation. Performance accountability has been changed in methods for measuring performance, in the pre-research council period, it has been taken quantitative method for measuring productivity, but, in post-research council period, qualitative approach like objective management has been complemented. Finally, accountability for government supported research institutes has been changed towards being concrete in many sided accountabilities and focusing on performance accountability.

  • PDF

A Study on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Tasks of Records Classification in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정부출연연구기관의 기록분류 현황과 개선과제)

  • Lee, Mi-Young
    •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 /
    • no.53
    • /
    • pp.229-259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level of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the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and to search the future direction of the classification scheme of these research institut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lassification system and regulations of the 23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it is found that the regulations of the records management of most institutions are basically based on other regulations before Public Records Act. In addition, there are not many institutions in which the record production system that reflects the Public Records Act is introduced, and the production and classification of the records are performed separately, and the classification scheme in which the organization classification and the functional classification are mixed is often used only as a reference tool for setting retention period. To overcome this situation,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regulation, classification scheme and system. The revision of the law at the national level and establishment of records management regulations at the institutional level should be made. A special classification scheme for 'research' which is a core function of the research institute should be designed and this classification scheme must be applied from the registration stage of records. The fact that the record management obligation is ignored and the production records are not properly managed is to deny the value of the research field records by themselves. I hope that the records management of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will be moved in place as soon as possible and practical issues will be communicated to academia and good ideas for better development will be returned to the field of practice.

Current Status and User Experiences of the Science-Related YouTube Services by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정부출연연구기관의 과학 유튜브 서비스 현황과 이용자 경험 연구)

  • Byun, Kwanjoo;Oh, Sanghee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52 no.4
    • /
    • pp.277-307
    • /
    • 2021
  •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science-related channels on YouTube provided by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and investigate user experiences and behaviors of using the services. We examined the number of subscribers, view counts, and video contents of 26 YouTube channels from the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We also designed a user study with the uses and gratifications theory and conducted a semi-structured interview. By grouping videos into five categories: Public Relations, Lectures, Entertainment, Vlogs, and Q&A, most videos were about research projects or institutional promotions. User motivation for using the YouTube channel was to acquire scientific knowledge and information. Users thought that YouTube channels could provide reliable information and satisfy their intellectual curiosity. But they criticized that most videos were uninteresting, and the lack of promotions of the channels made others hesitant to sign up and watch. Findings from this study could help fully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the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YouTube channel and be used as resources for the government's planning and development of various YouTube services.

출연연 연구원 창업 활성화를 위한 발전 방향 연구: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의 창업지원 프로그램 사례를 중심으로

  • 권진욱;길운규;노두환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4.04a
    • /
    • pp.143-149
    • /
    • 2024
  • 딥테크, 딥사이언스 창업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현재, 연구자원이 풍부하고 대형기술·기초연구에 특화된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연구원 창업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간 연구원 창업은 정출연의 연구생산성 제고를 위한 기술사업화 방식 중 하나로 여겨져왔으나, 발생 시점에서 기술료 등의 대가를 수신하는 실시권 허여(라이센싱)와는 달리 아직 연구원을 포함한 지원기관에 대한 대가 수신이 제도화 되어 있지 않고 기업의 시장진입과 정착이 창업가의 역량에 크게 의존하는 특성으로 인해 아직 많은 정출연이 창업기업의 보육에 소극적이며, 단순 창업 승인 및 초기 보육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대다수(92%)의 정출연이 창업 관리 규정을 보유한 것에 비해 아직도 절반에 가까운(44%) 정출연이 누적 연구원 창업기업 수가 10개 미만일 정도로 아직 양적, 질적 성장을 이루지 못한 현실에서, 적극적인 연구원 창업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우선 현황 파악과 더불어 벤치마킹이 가능한 사례 탐색이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본 연구에서는 창업 및 출자관리규정이 신설된 1990년 이래 다수의 창업기업을 탄생시켰으며, 현재 연구원 창업기업 중 33.2%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의 사례를 통해 단순 창업승인에서 예비창업가 역량 강화 및 인큐베이팅으로 이어지는 연구원 창업지원 프로그램의 역사를 살펴보고, 파급력이 높은 고성장 스타기업을 탄생시키기 위해 시도되고 있는 ETRI 창업지원 플랫폼과 앞으로 정출연 창업지원 프로그램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 PDF

사용자탐방-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설정보관

  • Jo, Hyeon-Yang
    • Journal of Scientific & Technological Knowledge Infrastructure
    • /
    • s.3
    • /
    • pp.132-133
    • /
    • 2000
  •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은 1983년 6월 재단법인으로 출범하여 1988년 1월에 건설기술관리법에 의거 정부출연연구기관으로 승계.설립되었고 1999년 1월 건설교통부의 국립건설시험소와 통합후, "정부출연연구기관 설립.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에 의거 국무총리실 산하 공공기술연구회 소속기관으로 승계되었다. 건설기술연구원은 건설기술개발, 정책개발, 건설기술관리, 품질 인증 및 정보유통망구축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명실공히 우리 나라 최고의 건설기술종합연구 기관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