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출생의례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4초

어머니 세대와 할머니 세대의 출생의례 및 아기행사에 대한 비교연구 (A Cross-Generational Comparison of Traditional Rituals Parenting to Childbirth and Early Childhood)

  • 민하영;유안진
    • 아동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45-56
    • /
    • 2003
  • In this comparison of observation of traditional childbirth and early childhood rituals, 118 young mothers whose children were 2- to 2.5- years-old and their mothers or mothers-in-law responded to questionnaires. Results showed that most grandmothers, when they were young mothers, observed more of the traditional rituals than the young mothers in sample. That is, more grandmothers hung the Kum jul(tabb rope) and the baby's grandparents named the baby. The young mothers of this sample were more likely to employ a professional name giver, they telephoned their relatives to inform them of the birth, gave a banquet, took more souvenir of picture, and were given more monetary and other gifts at their's first birthday.

  • PDF

고려시대 문집에 나타난 아동양육 고찰(I) (Childrearing in the Collection of Works during the Koryo Dynasty Period(I))

  • 신양재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3권1호
    • /
    • pp.134-144
    • /
    • 1995
  • 본 연구는 한국전총사회의 아동양육을 알아 보기 위해 고려시대의 문집인 파한집.한국이상국집.보한집을 문헌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려시대의 아동에 대한 인식특징으로는 아동의 소질이나 품성은 선천적으로 타고 나는 것으로 보았으며, 또한 아동의 지적 측면에 대한 기초가 높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둘째, 고려시대 아동은 가내과업을 통하여 성인생활로 자연스럽게 사회화될 뿐만아니라 행동모방.자연적 친화.도구제작 등의 활동특성을 지닌 놀이 생활을 하였다. 세째, 고려시대에 부성은 아동의 물리적 보호뿐만 아니라 심리적 측면에서의 야육활동을 수행하였고 한편으로 모성에게는 영아 양육에 있어 필연적 관계가 강조되었으며 또한 당시 사회에는 강항 양육책임의식이 있었음이 밝혀졌다. 그리고 분집을 통하여 당시 아동의 의식주생활, 출생의례, 가족교육등에 관한 일부 내용이 발견되었다.

  • PDF

$1920{\sim}1950$년대의 출생의례복 -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 (Clothes for Newborn Celebration Event from the 1920s to 1950s - Focusing on the Central Region -)

  • 김정아;홍나영
    • 복식
    • /
    • 제59권7호
    • /
    • pp.1-16
    • /
    • 2009
  • This study is on the children's clothing in Seoul Gyeonggi-do, Chungcheong-do and Gangwon-do between the $1920s{\sim}1950s$, by comparing positive data collected from pictures and literatures, remains and interviews. A baenaet jeogori was made of soft white cotton fabrics and was used as a charm when the baby had grown and had an test or a big occasion. A dureong chima and pungcha trousers were clothes for both boys and girls from their birth to the age of $4{\sim}5$ when they could have bowel movements by themselves. Occasions for celebrating a baby's growth were the one-hundredth day and the first birthday. In general, ordinary families had their babies' one-hundredth day in a simple way without special clothes. On the first birthday, however, even ordinary families prepared new clothes for their babies, and read their fortune and prayed for their well being and long life through events such as doljabi. In the age when medicine was poor and the infant mortality was high, the meaning of such a ceremony was to congratulate on the baby's safe growth through dangerous moments.

한국의 출생의례와 아기행사 풍속의 문화간, 세대간 비교 연구: 홍콩 및 미국의 할머니 세대와 어머니 세대를 중심으로 (Cross-Cultural Study on the Infant Rearing Practices in Young Mother-Grandmother Generations of Korea, Hong-Kong, and the United States)

  • 민하영;유안진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55-68
    • /
    • 2004
  • This study investigated differences or similarities of infant rearing practices in Korea, Hong Kong and the United States and in young mothers and grandmothers generations. The silbjects were young mothers(YM) with babies from 2 to 2.5 years and their mothers or mothers-in-law(GM) in Korea(YM=118, GM=118), Hong Kong(YM= 126, GM=78) and the United States(YM= 105, GM= 105). The subjects answered questionnaires on infant rearing practices that were constructed by child study specialists in Korea, Hong Kong and the United States. Statistical analyses were by frequencies, percentages, and $\chi$$^2$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Kum-Jut was used to announce giving birth to relatives and neighbors only in Korea. Mothers in Korea were more helped in their recovery by their mother or mother-in-law than their husband, but the opposite was the case in Hong Kong and the United States. Most Korean mothers ate special foods after giving birth, but mothers in Hong Kong and the United Slates didn't. Mothers in Korea were more likely to avoid contact with strangers for a given period of time than mothers in Hong Kong and the United States. The babies in Korea were more often named by grandparents than by parents, but most of the babies in Hong Kong and the United States were named by parents. The greater part of babies in Korea didn't have childhood names or nick names, but most babies in Hong Kong and the United States did. 2. Mothers in Korea were more likely to give a banquet, exercise Dol Jab le, share foods with neighbors, and take souvenir pictures on the baby's first birthday than mothers did in Hong Kong and the United States. Most mothers in Korea tended to think that their baby's fiyst birthday was more meaningful than the other birihdays, but most mothers in Hong Kong and the United States didn't. 3. Some differences between young mothers and grandmothers generations in infant rearing practices were found in each culture.

조선 15~17세기 수륙재(水陸齋)에 대한 유신(儒臣)의 기록과 시각 매체 (The Joseon Confucian Ruling Class's Records and Visual Media of Suryukjae (Water and Land Ceremony) during the Fifteenth and Seventeenth Centuries)

  • 정명희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3권1호
    • /
    • pp.184-203
    • /
    • 2020
  • 조선 개국 후 유교적 가치관으로 성장한 통치 계급에게 불교 의례는 이른바 '위험한 축제'로 인식되었다. 의례는 출생에서 죽음에 이르는 삶의 중요한 전환점에서 다음 단계로의 이행을 도왔고, 제의를 통해 공동체의 결속을 강하게 했다. 의례 공간에는 도량을 신비로운 공간으로 변화시키는 다양한 공양구와 기물이 장엄되고 범음구와 범패가 어우러졌다. 그 중에서도 불교 회화는 기층민에게 강한 효력을 지닌 시각 매체로 적극 활용되었다. 생사의 인과응보를 담은 <시왕도>의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의식이 마련된 도량에 불화를 헌괘하고 이를 생생하게 설명해주는 '관청(觀聽)'에 대한 수요로 불화의 기능은 더욱 확대되었다. 천도 의례 장면을 담은 <감로도>에는 왕실과 종친의 모습이 강조되어 표현되었다. 중국의 수륙화에서 이 도상은 수륙재에 봉청(奉請)하는 존귀한 대상 중 한 그룹이었으나 16세기 <감로도>에는 왕실의 후원을 상징하며 국행 수륙재의 역사성과 전통을 입증하는 존재로 도해된다. 왕실 후원은 불교 의례에 대한 사회적 공인과 같았고, 이러한 메시지를 드러내고 싶은 흔적이 <감로도>에 남아있다. 의례에 대한 위정자(爲政者)들의 경계는 표면적으로는 군중이 참여하는 의례 공간에 승속(僧俗), 남녀, 신분의 귀천(貴賤)이 함께 어우러지기에 예의가 무너지고 풍기가 문란해질 것이라는 우려였다. 또한 일상으로부터의 일탈, 금기로 부터의 해방이라는 축제의 요소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시각 매체는 특별한 힘을 지니고 있다고 인식되었기에 그 힘을 이용하고자 하는 측과 위험성을 우려하는 시선이 공존했다. 실록(實錄)의 기록에서 위험성을 강조하며 불화를 불태우고 불화를 그린 자를 잡아오도록 하는 일련의 조치나, 도성이 텅 비도록 군중들이 모여든 기록은 역설적이게도 불교 의례가 반드시 참여해야 하는 축제의 장으로 인식됐음을 반증한다. 불교 의례는 생의 순환 단계에서 유교가 대체할 수 없는 종교적 기능을 지니고 있기에 쉽게 사라질 수 없었고, 공동체를 통합하는 축제의 요소는 더욱 강화되었다. 조선 후기 <감로도>에는 17세기부터 본격화되는 사당패나 연희패가 도해되고 의례의 현장감이 생생하게 반영되었다. 불행한 죽음을 위로하던 불교 의식은 해마다 일정한 시기에 마련되어 일상의 고단함을 털고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축제의 장으로 자리 잡았다. 유교 국가의 정책적 탄압에 '위험한 축제'로 인식되던 불교 의례가 정례적인 세시풍속이자 공동체의 축제로 수용되는 과정을 불교 회화에 재현된 시선의 변화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전남지역 출생 의례복식의 현지조사 고찰 (A Study on the Ritual Clothing in Birth around Chonnam Area)

  • 추은희;김용서
    • 한국가정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35-44
    • /
    • 2003
  • In Anthropology, ceremonies which human should pass in lives are difined as ‘Rites of Passage’. Each Rite has its own Clothing style, which is little different from general Clothing in shape, composition, color, meaning, etc. This Study shows composition and characters on Birth Ceremony Clothing through Documents and Survey around Chonnam Area. Survey Area is subdivided into 3 parts : Koksung(A Basin of Sumjin River-Eastern Area of Chonnam), Na-ju( A Basin of Yeongsan River-Western Area of Chonnam), and Kangjin(Southern Area of Chonnam). This Study analyses characters on Baenaet Jogori, 100th-day Clothing and First-birthday Clothing in Chonnam Area. In case of Baenaet Jogori, its shape in Survey is similiar to that of documents. In case of 100th-day Clothing, New Jogori and Baji have been made usually. First-Birthday(called “Dol”) Clothing shows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infant. Male clothing consists of Pungcha Baji, Jokki, Magoja, Doltti while Female clothing consists of Pungcha Baji, Chima, Jumoni, and Doltti. In making of infant Clothing, 5-colors(Blue. Red, Yellow, White, Black) which consists of basic color in the Theory of the cosmic dual forces and Shape of Letters such as 壽ㆍ福ㆍ亞ㆍ卍 are used usually. This kind of colors and Shape of letters symbolize longevity and fortune. As a result of study, I find what Ritual Clothing in Birth has many symbolic meaning which reflects life-style culture. This study lay meaning on that deals infant clothings as a kind of Ritual Clothing.

  • PDF

진도 다시래기의 상징적 의미 (A Perspective of Analytical Psychology on "Jin Do Dasiraegi")

  • 박상학
    • 심성연구
    • /
    • 제26권2호
    • /
    • pp.149-188
    • /
    • 2011
  • 한국의 남쪽 섬 진도의 장례식에서는 상여가 나가기 전날 밤에 다시래기(再生 ; 다시 낳기)라는 연극을 한다. 그 과정 중에 숨겨진 죽음과 관련된 원초적이고 보편적인 심리적 의미를 분석심리학적 관점에서 고찰해 본다. 이 연희의 특징은 1) 축제식 장례 2) 광대의 등장(대극의 존재와 갈등) 3) 성적표현들 4) 여성의 적극적 참여 5) 출산과정의 난관 6) 아이의 탄생과 함께 나누는 기쁨들로 요약된다. 이는 인생의 마지막 통과의례 중 전이기의 의례(Transition)이다. 연희의 전제조건인 호상(好喪)은 삶의 여정에서 그가 갖추어야 할 페르조나(persona)들에 대한 집단의식의 판단이다. 갖추어진 삶을 산 다음에 제대로 된 죽음이 된다. 등장하는 눈 뜬 장님 거사와 남성들을 희롱하는 사당 그리고 파계승 세 사람은 삼각의 갈등 구조를 보인다. 거기에 연출자이면서 주인공인 가상제가 합세 4인의 균형을 이룬다. 이들은 예의 바르고 이성적인 집단의식의 그림자적 측면을 나타내는 광대들이다. 동시에 트릭스터 원형상의 모습을 나타낸다. 산 자와 죽은 자, 상자와 가상자, 경건함과 난장판, 통곡과 웃음, 침묵과 넋두리, 죽음과 출생 등 다양한 대극이 공존하고 이로서 전체가 된다. 거사와 중은 대극이며 사당(아니마)은 둘 사이를 오가며 갈등을 부추긴다. 아기는 그 갈등의 소산이며 동시에 해결책이기도 하다. 갈등은 전체성의 상징인 아이의 탄생으로 해소되는 듯 하다 아기의 친권을 두고 재연되고 그 해결은 네 번째 인물이자 최초의 시작인 상주에게 아기를 맡기는 것이다. 이렇게 무의식은 드러나는 현실과 손을 잡는다. 무의식의 상들이 의식화 되고 무의식에서 생성된 새로운 에너지는 의식으로 흘러들어 의식의 결손을 치유하는 힘이 된다. 다시래기는 죽은 자를 위한 것이기 보다 오히려 산자를 위로하기 위한 성격이 더 강한 놀이이다. 죽음이 상실이 아니라 새로 태어남이요, 살아남은 자에게는 새로운 독립된 지도자로의 변환을 뜻한다. 죽은 자와 산 자 모두에게 갱신이라는 이중적 의미를 갖는다. 최근에 민간의 장례절차에서는 다시래기가 사라지고 단지 무대에서 굿으로 그 형태가 일부 보존되고 있다. 지나치게 엄격한 죽음에 대한 집단의식의 일방적 태도를 보상하는 무의식의 표현이 다시래기라면, 그 사라 저감은 죽음을 종결로 보고 너무 쉽게 정리해 버리려는 오늘날의 사회적 태도와 관련성을 고려해 봐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