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출력특성

Search Result 4,796,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A study on sensor part temperature character of optical current sensor (광전류센서의 센싱부 온도특성에 관한 연구)

  • Park, Jung-Hwan;Kim, Young-Min;Jee, Seung-Wook;Lee, Kwang-Sik;Park, Won-Z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II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7.05a
    • /
    • pp.334-337
    • /
    • 2007
  • 본 연구는 출력특성의 안정성과 정밀성이 우수한 광전류센서의 개발을 위하여 센싱부의 온도변화에 따른 출력신호를 검토하고, 온도변화에 따른 출력특성이 안정된 센싱부를 적용하여 출력특성을 연구하였다. 기존 광전류센서에서 중요시스템인 센싱부의 광섬유의 온도특성과 Verdet 상수의 온도의존도에 따라 출력신호가 불안정하다. 이러한 광전류센서의 온도변화에 따른 오차를 개선하기 위해 센싱부에 대한 온도특성을 분석하고, 온도변화에 내구성이 뛰어난 소재를 적용함으로써 센싱부의 안정된 출력특성을 가지는 광전류센서를 개발하고자한다.

  • PDF

Simulation of Output Power Variation in Wind Energy Conversion System due to Pitch Angle Change (피치각을 고려한 풍력발전기 출력특성 시뮬레이션 모델의 응용)

  • Song Seung-Ho;Jeong Byung-Chang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06.06a
    • /
    • pp.260-262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블레이드 피치각 변동을 포함한 풍력발전기 출력특성 시뮬레이션 모델을 개발하였으며, 피치각 변동이 필요한 경우를 각각 비상정지, 기동원활, 출력제한의 3가지 사례 연구를 통해 개발된 모델의 검증 수행하였다. 비상정지의 상황에서 풍력발전기의 출력특성을 모의하였고, 초기 정지 상태에서 블레이드 기동을 위한 초기 피치각 설정 및 변동하는 회전 속도에 맞는 블레이드 변동 지령 값을 구현하였으며, 정격 풍속이상에서 피치각을 감소시키는 제어기를 구현하여 정격이상의 출력 발생이 제한되는 것을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 PDF

Analysis on Signal Interference with Characteristic Modeling of High Power Amplifier (고 출력증폭기의 특성 모델링에 따른 신호 간섭 분석)

  • Park Durk-Jong;Ahn Sang-Il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6.03a
    • /
    • pp.377-380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통신해양기상위성의 지상국에 구축된 고 출력증폭기에 대한 특성 모델링 및 이에 따른 입력신호에 따른 출력 신호의 상호 간섭에 대한 결과가 정리되어 있다. 고 출력증폭기는 지상국에서 위성으로 신호를 전송할 때 필요한 장비로써 비선형 특성으로 인해 입력된 신호에 대한 다양한 하모닉 성분이 발생된다. 특히 통신해양 기상위성의 지상국의 경우에는 하나의 고 출력증폭기에 대해 두개의 서로 다른 주파수의 신호를 입력해야 하는 것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영향은 사전에 반드시 분석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고출력증폭기의 P1dB 특성곡선에 의해 특성 모델링을 수행한 결과 및 이러한 모델을 검증하기 위해 이미 정의된 두 신호에 대한 간섭의 양을 확인하였다. 특히 고 출력 증폭기의 전단에 속하는 상향 주파수 변환기의 특성을 고려한 신호를 사용하여 실제의 통신해양기상위성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의 결과를 얻는데 중점을 두었다. 그 결과 상호간의 간섭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는 실제 보내고자 하는 신호의 대역과 매우 가깝게 있으며 그 크기는 보내고자 하는 신호의 특성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

An Improved Temperature Compensation of a Load Cell (로드 셀의 개선된 온도보상)

  • 김진배;정선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4.10a
    • /
    • pp.365-370
    • /
    • 1994
  • 로드 셀의 정밀측정 에러의 가장 큰 요인은 온도에 의한 출력특성 변화이다. 본 논문에서는 주어진 어떤 온도 구간에서만 온도특성을 보상하였던 기존의 방법에 비해 보다 넓은 온도구간에서 로드 셀의 출력의 온도 특성을 보상하고 또한 출력의 온도 특성이 기존의 방식에 의한 것보다 개선된 새로운 로드셀의 온도보상 방법을 제안 하였다.

  • PDF

Study on PID Phenomenon Reduction for Output Recovery of Photovoltaic Module (태양광 모듈의 출력회복을 위한 PID 현상 저감에 관한 연구)

  • Sim, Woosik;Jo, Jongmin;Kim, Jichan;Cha, Hanju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8.07a
    • /
    • pp.366-367
    • /
    • 2018
  • 본 논문은 태양광발전 시스템에서 태양광 모듈의 출력 저하 특성을 야기하는 PID (Potential Induced Degradation) 현상의 발생원인 및 출력회복을 위한 PID 저감 기법을 연구하였다. 태양광 모듈의 프레임과 셀 간에 발생하는 전위차로 인한 PID 현상의 직접적인 원인인 분극현상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PID 현상이 태양광 모듈의 출력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I-V 특성곡선 변화를 통해 해석하였다. PID 현상의 발생 원인을 기반으로 태양광 모듈의 전극 출력단인 양극과 음극을 단락시키고 접지된 프레임을 기준으로 양의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태양광모듈의 출력특성을 회복하는 PID 저감 기법을 제안하였다.

  • PDF

액체금속로 노심 열수력설계 및 특성 비교.분석

  • Kim, Young-Kyun;Kim, Young-In;Kim, Ui-Gwang;Song, Hun;Kim, Young-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7.10a
    • /
    • pp.516-521
    • /
    • 1997
  • 국내개발 액체금속로 KALIMER 노심으로 설계한 전기출력 150 MWe (열출력 392 MWth)의 U-Zr이원합금핵연료 사용 소형노심에 대하여 열수력 특성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전기출력 333 MWe (열출력 840 MWth)의 중형노심설계 특성과 비교ㆍ분석하였다. 분석에는 국내개발 액체금속로 KALIMER 노심설계기술 개발의 일환으로서 개발한 개념설계 초기 단계에서의 노심 열수력 특성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열수력 특성 분석은 먼저 각 집합체의 최고 선출력에 따라 유량그룹을 설정하고, 각 집합체의 최고온도 연료봉에 대하여 냉각재 온도, 피복관 중심온도, 핵연료 중심온도 등을 계산하는 방식으로 수행하였다. 특성분석 결과 두 노심 모두 노심내 출력분포를 더욱 평탄화 하고, 노심핵연료 영역에 대한 반경방향 블랑? 영역의 출력비율을 높이는 작업이 필요하다.

  • PDF

A Study on Change of Stator Tooth Structure for Output Characteristic Improvement of 3-phase BLDC Motor for Automotive (자동차 전장용 3상 BLDC 전동기 출력 특성 향상을 위한 고정자 치 형상 변경에 관한 연구)

  • Seo, Jae-Deok;Jang, Jung-Hun;Jung, Tae-U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5.07a
    • /
    • pp.659-660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자동차 전장용 3상 BLDC 전동기의 출력특성 향상을 위해 비대칭 공극 구조 설계 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SPM 타입 BLDC 전동기의 공극을 비대칭적으로 설계함으로써 자기적 토크 외에도 릴럭턴스 토크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전류 당 토크의 증가로 인해 출력특성을 향상시켰으며 2D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본 논문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 PDF

Implementation of an Adaptive fixed Point Iteration Predistorter in OFDM Systems Based on Identification of High Power Amplifier Characteristics Using Piecewise Affine Approximation (OFDM 시스템에서 구간 선형 근사 기반의 고출력 증폭기 특성 추종 및 이를 이용한 적응적인 고정점 반복 사전왜곡기의 구현)

  • 안효주;신요안;임성빈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0.09a
    • /
    • pp.51-54
    • /
    • 2000
  • 차세대 초고속 무선 전송을 위한 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에서는 전송 신호의 진폭이 큰 PAPR (peak-to-average power ratio)을 갖게 되어 송신기에서 사용되는 고출력 증폭기의 비선형성에 의해 큰 왜곡을 받게 된다. 이러한 왜곡의 보상을 위하여 우리는 고정점 반복 (fixed point iteration)에 기반한 사전왜곡기 (predistorter)를 제안하였으나, 이는 고출력 증폭기의 특성이 변화하지 않는다는 가정에서 구현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구간 선형 근사에 기반하여 고출력 증폭기의 시변 특성을 추종하는 새로운 기법과 이렇게 근사된 고출력 증폭기 특성을 이용하는 적응적인 고정점 반복 사전왜곡기의 구현을 제안한다. 모의실험 결과, 제안된 고출력 증폭기 근사 방법은 랜덤한 증폭기 특성 변화를 매우 효과적으로 추종하며 이러한 근사 결과를 이용한 고정점 반복 사전왜곡기는 우수한 성능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 PDF

저출력/정지시 인적오류 정가 체계, SEPLOT의 개발

  • 김윤익;정창현;제무성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7.05a
    • /
    • pp.450-457
    • /
    • 1997
  • 저출력/정지시의 사고가 노심손상에 미치는 영향이 작지 않은데 비하여, 그 영향에 대한 평가 체계는 확립되어 있지 않다. 특히 인적오류가 차지하는 비중이 크며 이에 따라 인적오류를 평가할 수 있는 절차를 마련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전출력시의 체계를 기반으로 저출력/정지시의 특성을 고려하여 인적오류를 평가할 수 있는 체계인 SEPLOT (Systematic Evaluation Procedure for LP&S Operation Tasks)을 개발하였다. SEPLOT에서는 영향도(Influence Diagrams)를 이용하여 인적오류에 영향을 주는 수행특성인자들을 동시에 고려함으로써 수행특성인자들 사이의 의존성 평가를 가능하게 하였고, 저출력/정지시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도록 절차서의 질, 인간-기계 연계, 다중 인간행위 사이의 의존성 등의 수행특성인자들이 중요하게 고려되도록 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참조 원전의 저출력/정지시 대표적인 작업인 소외전원상실사고 대응 작업 중 하나인 일차 충전 및 유출 운전(Primary Feed and Bleed)에 대하여 평가함으로써, 저출력/정지시 다른 여러 가지 수행작업들에 대한 인적오류에도 개발된 체계가 적용 가능함을 보여 주었다.

  • PDF

AC-DC converter control algorithm using power-voltage characteristic of photovoltaic (PV(Photovoltaic)의 전압-전력 출력특성을 구현한 AC-DC 컨버터 제어 시스템)

  • Kang, Sung-Koo;Park, Sung-Ju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1.07a
    • /
    • pp.113-114
    • /
    • 2011
  • PV(Photovoltaic)는 일사량 및 온도에 의해 얻을 수 있는 최대 전력이 변화하고, PV의 전압에 따라 출력 전력이 변화한다. 따라서 PV를 이용한 인버터는 최대 전력점에서 동작하게 하는 최대 전력점 추정(Maximum Power Point Tracking) 제어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인버터 제어에 필요한 여러가지 MPPT 기능 실험이 가능하게 하는 저가형 태양전지 시뮬레이터 시스템의 제어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이 시스템은 PV의 출력특성에 따른 출력값을 설정하고, 다양한 출력특성 변화의 실시간 변화가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알고리즘을 적용하였다. 이를 통해 PV가 설치되지 않은 곳에서 인버터의 MPPT 성능 시험이 가능하며, 실제 인버터에 구현된 P&O-MPPT와 연동하여 제안된 제어기법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