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축 경사도

검색결과 203건 처리시간 0.021초

식생정보에 기초한 백두대간 지리산권역 내 훼손지 유형별 실태조사 (The Survey on Actual Condition Depending on Type of Degraded area and Suggestion for Restoration Species Based on Vegetation Information in the Mt. Jirisan Section of Baekdudaegan)

  • 이혜정;김주영;남경배;안지홍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558-572
    • /
    • 2020
  • 본 연구는 백두대간 지리산권역 내 훼손지의 유형을 분류하고, 각 훼손 유형별 실태조사를 통해 훼손 정도를 파악하여 훼손지의 복원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지리산권역의 훼손실태를 분석한 결과 전체 훼손지의 패치 수는 57개로 확인되었고, 평균고도가 낮고 경사가 완만한 지역일수록 훼손지의 패치 수 및 훼손 면적이 더 넓게 나타났다. 훼손 유형은 초지(폐경지)와 경작지의 비율이 높게 나타나 농업적 토지이용이 주요 훼손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이 중 14개소의 훼손지를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수행한 결과, 훼손 유형은 초지, 경작지, 복원지, 벌채지 및 나지로 분류되었다. 각 유형별 교란정도(일년초 및 이년초의 비율, 도시화지수, 교란율)를 분석한 결과, 초지 및 경작지에서는 대부분 초본류로만 구성된 1층 구조의 단순한 식생구조와 교란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소나무 유묘가 다수 식재된 복원지의 경우 2층 구조의 식생구조가 나타났고, 복원사업으로 인한 교란과 인근의 등산로로 인해 귀화식물의 유입이 다른 훼손지에 비해 특히 높게 나타났다. 나지의 경우 고도가 높아 귀화식물의 유입은 낮았지만, 일년초와 이년초의 비율이 높게 나타나 조사된 모든 유형의 훼손지는 천이 초기단계로 판단되었다. 훼손 유형별 군락을 서열화한 결과, I 축상의 복원지, 경작지, 초지, 벌채지 및 나지 순으로 나타나 훼손 유형별로 구분되어 배열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훼손 유형별 조사지와 참조생태계의 군락을 서열화한 결과, 종조성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생태적 복원 절차에 따라 식생정보에 기초한 훼손 유형별 실태를 진단하고, 진단 결과와 함께 참조생태계와의 종조성의 차이를 확인함으로써 향후 복원 목표 및 복원 방향 설정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백두대간 중점보전종인 댕강나무의 식생 군집 및 환경인자 특성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al Factors and Vegetation Community of Zabelia tyaihyonii (Nakai) Hisauti & H.Hara among the Target Plant Species for Conservation in Baekdudaegan)

  • 김지동;이혜정;이동혁;변준기;박병주;허태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1권2호
    • /
    • pp.201-223
    • /
    • 2022
  • 오늘날 급격한 기후 변화와 지속적인 인간의 개발 압력으로 멸종의 우려에 대한 심각성이 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커다란 생태축인 백두대간 일대에서 출현하는 식물 가운데 중점적으로 보전해야할 식물 300종을 우선적으로 선정하였다. 그중 석회암 지대에 출현하는 댕강나무를 최우선 보전종으로 인식하고 이들의 식생 군집과 환경인자 특성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단양군, 영월군, 제천시 등 댕강나무 서식지 36개소를 조사지로 설정하고, 조사지 내 출현식물, 식생, 토양과 물리적 환경을 분석하였다. 조사지에서 특기할 만한 식물로 꽃꿩의다리, 덕우기름나물, 나도국수나무 등이 출현하였다. 산림식생 군락유형은 4개의 식생유형과 7개의 종군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식생군집과 환경인자의 CCA 분석결과, 종합설명력 75.2%였으며 댕강나무 서식지의 환경적 특징이 세 그룹으로 구분되었다. 이 중에서 관계성이 있었던 환경인자는 해발고도, 경사, 유기물, 암석 비율, pH, 칼륨, 그리고 나트륨이었다. 조사지 내에서 꽃꿩의다리를 비롯하여 다수의 희귀식물과 특산식물이 확인되어 이들 집단을 서식지 수준에서 보전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출현 식물을 토대로 분석된 식생 유형 분류와 CCA 분석에서 댕강나무 서식지의 식생 집단의 고유성과 특이성이 재차 인정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가 댕강나무 자생지의 실증적 보전을 위한 과학적 근거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이탈리아 르네상스 빌라 메디치 피에졸레의 정원건축적 특성 (A Study on the Garden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Italian Renaissance Villa Medici a Fiesole)

  • 최종희;최용원;김규연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35-44
    • /
    • 2024
  • 본 연구는 이탈리아 르네상스 정원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빌라 메디치 피에졸레의 정원건축적 특성을 구명하기 위한 것으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빌라 메디치 피에졸레는 1451년에서 1457년 사이에 코지모의 아들 조반니를 위해 지어진 후 다수의 사람이 소유하며 현재에 이르게 되었다. 미켈로초가 설계를 하였으며, 알베르티의 전원 거주에 대한 개념이 잘 나타난 첫 번째 르네상스 신축 빌라 사례이다. 둘째, 입지는 빌라 메디치 피에졸레의 가장 큰 특성으로, 피에졸레 급경사지에 지어져 피렌체 일대 경관을 한눈에 바라볼 수 있으며, 주변 경관을 빌라 및 정원으로 차경하고 있다. 셋째, 언덕 사면을 이용해 조성된 정원의 전체 구성은 각기 다른 높이의 세 단 테라스에 기초하는데, 전체적인 공간 배치 형태는 빌라를 중심으로 종축과 횡축이 교차하는 직교축으로 조성되었다. 넷째, 식생 및 점경물의 경우, 가장 높은 곳의 첫 번째 테라스에는 세 개의 잔디 화단 위로 오래된 오동나무, 장미, 화분에 심긴 레몬나무가 배치되어 있으며. 분수와 벽감이 테라스의 중간과 동쪽 끝에 자리 잡고 있다. 두 번째 테라스는 계단을 통해 도달할 수 없고 빌라 또는 문 밖의 경사로를 통해서만 도달할 수 있으며, 특히 비밀의 화원으로 이어지는 등나무 퍼골라가 조성되어 있고, 퍼골라 중앙에는 세 번째 테라스로 이어지는 계단이 있다. 비밀의 정원은 사분정원의 형태를 띠며, 타원형 연못과 회양목 화단 및 태산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장 아래의 세 번째 테라스에는 원형 분수를 중심으로 양쪽에 대칭적으로 기하학적인 형태의 회양목 화단이 펼쳐지며, 화단 중심에는 커다란 레몬나무와 분수 주변으로는 네 그루의 태산목이 심겨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