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축열물질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27초

Sodium Acetate Trihydrate를 이용한 구형의 PCM 입자의 제조 (Preparation of spherical shape of PCM by using sodium acetate trihydrate)

  • 김종국;정경택;설용건;김동형;이태규
    • 태양에너지
    • /
    • 제17권2호
    • /
    • pp.67-74
    • /
    • 1997
  • 잠열 저장물질로서 비조화 축열재인 sodium acetate trihydrate를 사용하여 구형의 PCM 입자를 제조하였다. 비조화 축열재의 단점인 상분리 현상 및 과냉각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점증제로서 gelatin, 조핵제로서 sodium pyrophosphate decahydrate를 사용하였다. 혼합조성의 용융 PCM을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지름이 3-3.5 mm 인 구형 PCM 입자가 제조되었다. 용융 PCM 방출속도가 1.3-1.8 ml/min 인 범위 내에서는 PCM 입자크기가 방출속도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제조된 PCM 입자의 물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DSC, SEM과 XRD를 이용하였다.

  • PDF

굴곡진 실린더형 캡슐 형상의 축열·방열 성능 해석 (Analysis of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Performance of a New Wavy Cylindrical Shape Capsule)

  • 홍상우;이용태;정재동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26권7호
    • /
    • pp.301-307
    • /
    • 2014
  • This paper presents a numerical study on the constrained melting of a phase change material inside various capsule containers, using water and HDPE (High Density Polyethylene) as a PCM and a capsule material, respectively. The computations are based on an iterative, finite-volume numerical procedure that incorporates a single-domain enthalpy formulation for simulation of the phase change phenomenon. Using the enthalpy method, various capsule configurations, such as a capsule from E company, an isochoric cylinder capsule, an equivalent diameter sphere capsule, and an isochoric sphere capsule, are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apsule configurations on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performance. A transient three-dimensional model is used for each case.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capsule from E company results in a higher melting and solidification rate of the PCM, than the other capsule configurations considered in this research.

3중관 튜브형 잠열 축열조에서의 열전달 특성 연구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Triple-Tube Type Latent Heat Storage Tank)

  • 이욱균;한귀영;강용혁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
    • 제21권1호
    • /
    • pp.71-82
    • /
    • 2001
  • The heat transfer experiment in a latent heat storage tank as a solar energy storage system for the hot water supply was carried out. The latent heat storage tank was consisted of triple - tube type ; Outer shell for hot water from solar collector, PCM storage vessel in the middle of the tank and inside tube for hot water recovery. The heat storage tank has the dimension of 60 cm long and 34 cm outside diameter. Paraffin wax(m.p = 55.4C) and sodium acetate trihydrate(m.p = 58 C) were employed as the PCM this study. Experimental variables were inlet temperature and flow rate of the hot water for heat storage stage and cold water for heat recovery stage. Temperature profiles, heat transfer coefficient and the efficiency of heat storage$(Q/Q_{max})$ and heat recovery $(Q/Q_{max})$ were determined for the paraffin wax and inorganic salt respectively.

  • PDF

내부코일형 잠열 축열조에서의 열전달 특성 연구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Immersed Coil Type Latent Heat Storage Tank)

  • 이욱균;한귀영;강용혁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
    • 제21권1호
    • /
    • pp.83-91
    • /
    • 2001
  • The heat transfer experiment in a pilot scale latent heat storage tank as a solar energy storage system for the hot water supply was carried out. The latent heat storage tank was consisted of three parts; Outer shell for hot water from solar collector, PCM storage vessel in the middle of the tank and immersed coil in the PCM vessel for hot water recovery. The heat storage tank has the dimension of 115 cm in height and 32 cm outside diameter. Paraffin wax (m.p = 55.4C) and sodium acetate trihydrate (m.p = 58 C) were employed as the PCM this study. Experimental variables were inlet temperature and flow rate of the hot water for heat storage stage and cold water for heat recovery stage. Temperature profiles, heat transfer coefficient and the efficiency of heat storage $(Q/Q_{max})$ and heat recovery $(Q/Q_{max})$ were determined for the paraffin wax and inorganic salt respectively.

  • PDF

축열 성능 향상 SSPCM 혼합 콘크리트 제조 및 열적특성 분석 (Preparation and Thermal-property Analysis of Heat Storage Concrete with SSPCM for Energy Saving in Buildings)

  • 정수광;장성진;임재한;김희선;류성룡;김수민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
    • 제35권1호
    • /
    • pp.89-96
    • /
    • 2015
  • n-octadecnae based shape stabilized phase change material (SSPCM) was prepared by using vacuum impregnation method. And an exfoliated graphite nanoplate (xGnP) which has high thermal conductivity properties is used as a PCM container. And then we made heat storage concretes which contains SSPCM for reducing heating and cooling load in buildings. In the prepararion process, the SSPCM was mixed to a concrete as 10, 20 and 30wt% of cement weight. The thermal properties and chemical properties of heat storage concrete were analyzed from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Fourier transformation infrared spectrophotometer (FT-IR), De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DSC), 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 and TCi thermal conductivity analyzer. And we conducted surface temperature analysis of SSPCM and xGnP by using heat plate and insulation mold.

TMA 농도에 따른 포접화합물의 냉각특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Cooling Characteristics of Clathrate Compound with Concentration of TMA)

  • 김진흥;정낙규;김창오
    • 에너지공학
    • /
    • 제14권1호
    • /
    • pp.18-23
    • /
    • 2005
  • 본 연구는 저온축열물질로서 TMA(Tri-methyl-amine, (CH₃)₃N)를 20~25 wt%로 포함하고 있는 TMA-물계 포접화합물의 냉각특성에 대하여 냉열원온도 -5℃에서 실험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TMA의 질량농도가 증가할수록 상변화온도와 비열이 증가하였으며, 과냉도가 감소하고 액상유지시간이 단축되었다 특히, TMA 25wt%를 포함한 TMA-물계 포접화합물은 상변화온도 평균 5.8℃, 과냉도 8.0℃, 액상유지시간 10분, 비열 4.099kJ/kg℃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TMA-물계 포접화합물은 물보다 높은 상변화온도를 나타내었으며, 과냉도가 감소하고, 액상유지시간이 단축되는 과냉각 억제효과를 확인 할 수 있었다.

농산물 진공예냉장치 개발 (Development of Vacuum Cooling for Agriculture Products)

  • 이원옥;윤홍선;정훈;이현동;조광환;이경환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2002년도 하계 학술대회 논문집
    • /
    • pp.195-201
    • /
    • 2002
  • 입고ㆍ예냉ㆍ출고까지 전 공정을 자동화하고 진공압력을 작물의 품온에 따라 능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고 진공챔버내에 콜드트랩을 설치하여 냉각효율을 향상시킨 진공예냉장치를 개발하여 고랭지 배추와 느타리버섯, 상추를 대상으로 예냉성능을 평가하고 예냉이 이들 작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가. 새로 개발된 진공식 예냉장치는 공급컨베이어, 좌우 자동 슬라이딩 문, 이송컨베이어, 진공챔버, 진공펌프 콜드트랩, 냉동기로 구성되어 있다. 팔레트를 공급컨베이어에 올려놓고 작동을 시작하면, 입구문이 열리고 팔레트가 진공챔버내로 이송되면, 진공펌프에 의해 진공챔버내의 압력을 떨어뜨리고, 콜드트랩과 냉동기가 작동되어 예냉이 시작된다. 예냉이 완료되면 출구문이 열리고 이송컨베이어가 역회전하여 밖으로 배출되도록 되어있다. 나. 제작된 예냉장치의 예냉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느타리버섯, 고랭지 배추, 상추를 대상으로 냉각속도, 냉각균일도, 예냉후 저장중 품질변화시험을 실시하였다. 다. 시험결과 냉각소요시간은 느타리버섯의 경우 초기품온 15.2$^{\circ}C$에서 $1.5^{\circ}C$까지 냉각시키는데 24분, 고랭지배추는 13.5$^{\circ}C$에서 3.7$^{\circ}C$까지 냉각시키는데 18분, 상추는 13.4$^{\circ}C$에서 2.$0^{\circ}C$까지 냉각시키는데 24분 소요되었다. 평균냉각속도는 느타리버섯이 34.3$^{\circ}C$/h, 고랭지배추 32.6$^{\circ}C$/h, 상추 28.5$^{\circ}C$/h로 나타났다. 라. 또한 각층간의 냉각균일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포장상자내에서 표면 품온과 내부품온변화를 조사한 결과 차이가 거의 없어 균일한 냉각이 가능하였다.생기 양단의 온도차는 높게 나타났고, 재생기 양단의 압력 차는 낮게 나타났다. 재생기 축열재로서 철망-철선을 사용할 경우 철선-철망 ø1.2-150이 전열 표면적은 작으나 재생기 양단의 온도차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생기 양단의 압력 차는 가장 낮게 나타나 공시 철망- 철선 혼합 축열재중 가장 우수함을 알 수 있다. 4. 철망사이에 철선을 삽입한 축열재의 경우, 철망사이에 삽입한 철선의 직경이 큰 것이 철선의 직경이 작은 것보다 재생기의 양단의 온도차가 높게 나타났고 재생기 양단의 압력차는 작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철망사이에 철선을 삽입한 것 중 성능이 우수한 것은 150-ø2. 0-150으로 나타났다. 5. 실험한 재생기 축열재들 중에서 성능이 우수한 것들을 비교한 결과, 복합 철선 ø1.2-1 50이 가장 성능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적외선.열풍 복합건조방법이 높게 나타나 이것은 곡물 표면에 원적외선 방사에의한 복사열이 전달되어 열장해를 받았기 때문으로 판단되며, 금후 더 연구하여 적정 열풍온도 및 방사체 크기를 구명해야 할 것이다.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옻나무 유래 F는 포유동물의 생식기능에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사료된다.된다.정량 분석한 결과이다. 시편의 조성은 33.6 at% U, 66.4 at% O의 결과를 얻었다. 산화물 핵연료의 표면 관찰 및 정량 분석 시험시 시편 표면을 전도성 물질로 증착시키지 않고, Silver Paint 에 시편을 접착하는 방법으로도 만족한 시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째, 회복기 중에 일어나는 입자들의 유입은 자기폭풍의 지속시간을 연장시키는 경향을 보이며 큰 자기폭풍일수록 현저했다. 주상에서 관측된 이러한 특성은 서브스톰 확장기 활동이 자기폭풍의 발달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시사한다.se that were all low in two aspects, named "the Nonsignificant group". And th

  • PDF

수직원통형 빙축열조내 얼음의 외향용융과정시 전열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작동 유체의 유입 방향에 따른 비교)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during Outward Melting Process of Ice in a Vertical Cylinder(comparison of thermal performance on the flow direction of working fluid))

  • 김동환;김동춘;김일겸;김영기;임장순
    • 태양에너지
    • /
    • 제16권2호
    • /
    • pp.113-122
    • /
    • 1996
  • 본 연구는 수직원통형 빙축열조 내에 상변화물질로서 순수한 물을 $-10^{\circ}C$의 초기 과냉온도로 응고시킨 후, 작동유체의 입구온도를 $7^{\circ}C,\;4^{\circ}C,\;1^{\circ}C$로, 작동유체의 유입방향을 상향과 하향으로 각각 변화시키면서 외향용융시켰을 경우, 시간경과에 따른 축열매질의 온도분포, 상경계면의 형상, 용융율, 용융에너지를 실험적으로 구하여 이를 비교 검토한 것이다. 작동유체의 입구온도가 $7^{\circ}C,\;4^{\circ}C$의 경우에는 작동유체의 유입방향이 상 하향 모두 물의 최대 밀도점인 $4^{\circ}C$ 부근에서 일시적으로 온도가 상승하지 않고 일정 시간동안 정체하는 온도정체구간이 나타났다. 또한, 용융이 진행됨에 따라 물이 축열조의 하부에 적체되고, 이에 따라 하부에서의 용융이 활발히 진행됨으로써 상경계면 형상은 전체적으로 종모양 형태의 곡선을 나타낸다. 작동 유체의 입구온도가 $7^{\circ}C$인 경우, 용융율(Vl/Vtot)과 용융에너지는 작동유체의 유입방향이 상향인 경우가 하향인 경우에서보다 크게 나타난 반면, 작동유체의 입구온도가 $4^{\circ}C,\;1^{\circ}C$인 경우는 $7^{\circ}C$의 경우와는 달리 하향인 경우가 상향인 경우에서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태양열 발전을 위한 고온 축열 물질의 열전달 특성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High Temperature molten salt storage for Solar Thermal Power Generation)

  • ;김기만;한귀영;서태범;강용혁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
    • 제27권3호
    • /
    • pp.63-69
    • /
    • 2007
  • The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inorganic salt for high temperature heat storage material of solar power system were examined. The inorganic salts employed in this study was a mixture of $NaNO_3$ and $KNO_3$ and the operating temperature range was determined by measuring the melting temperature with DSC and by measuring the thermal decomposition temperature with TGA. The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was qualitatively obtained in terms of temperature profiles of salt in the tanks during the heat storage and heat release process as a function of steam flow rates, steam inlet temperature and the inlet position of steam. The effects of steam flow rates and inlet temperature of steam were experimentally determined and the effect of natural convection was observed due to significant density difference with temperature.

상변환 물질을 이용한 자동차 냉각 성능 향상에 대한 연구 (Automotive Engine Cooling Using a Phase Change Material)

  • 김기범;문병헌;최경욱;이기형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21권3호
    • /
    • pp.24-29
    • /
    • 2013
  • An automotive cooling system is designed sufficiently large enough to endure the excessive heat load. In general driving condition, the cooling systems are too large to operate optimally. An experimental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a novel automotive cooling strategy using the latent heat of a phase change material (PCM). The strategy is expected to reduce the cooling system size up to around 35% and the engine warm-up time around 60%. The strategy will help improve fuel economy and emissions characteristics of vehicles as a result of reduced total body weight and shortened engine warm-up time by a smaller radiator, as well as more stable combustion mode due to constantly maintained coolant temp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