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추천

Search Result 4,292, Processing Time 0.05 seconds

A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of Library Recommended Book Lists for Teens and the Way to Improve (청소년을 위한 도서관 추천도서 목록의 특징과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Mijin Park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34 no.4
    • /
    • pp.101-124
    • /
    • 2023
  • Book recommendations in libraries can be used as a tool to help users with vague needs browse and select books. Therefore, libraries spend a lot of time and effort to introduce various materials to their users and recommend suitable books. Meanwhile, various organizations other than libraries also publish recommended reading lists, and these lists reflect the intentions of the entity that selects the recommended book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nding out how the recommended book lists of libraries differ from the recommended reading lists of non-library organizations. To achieve this, the study limited the scope to 'teenagers', who are the main target audience for book recommendations in many organizations, and compared the recommended book lists of libraries and non-library organizations in terms of (1) the selection criteria for recommended books, (2) the characteristics of recommended books, and (3) the way of providing recommended book lists. Through this analysis, the study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library recommended book lists and discussed areas for improvement.

개인화를 위한 추천시스템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 Gang, Hyeon-Cheol;Han, Sang-Tae;Sin, Yeon-J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3.10a
    • /
    • pp.307-311
    • /
    • 2003
  • 개인화된 추천시스템(recommendation system)은 자동화된 정보 필터링 기술을 적용하여 고객의 취향에 맞는 아이템(상품, 기사, 컨텐츠 등)을 추천하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추천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고객의 특성을 정확히 파악하여 가장 적절한 아이템을 추천해 줄 수 있는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추천시스템을 위해 제안된 여러 알고리즘들을 소개하고 그 특징들을 비교하였으며, 연관성규칙발견과 군집분석을 이용한 추천시스템 알고리즘을 실제 자료에 적용하여 그 결과를 살펴보았다.

  • PDF

지식맵과 비교지식을 이용한 지능형 추천 시스템

  • 이희성;황인식;하성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4.05a
    • /
    • pp.211-211
    • /
    • 2004
  • 최근 인터넷 비즈니스의 증가로 고객 수요를 정확하게 예측하여 적절한 상품을 추천하는 추천 시스템의 개발 및 사용이 활발해지고 있다. 현재의 추천 시스템은 주로 내용 기반 추천(Content based Filtering)과 협력적 추천(Collaborative Filtering)을 사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추천 시스템으로는 추천의 이유나 배경의 설명이 곤란하며, 시시각각 변하는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고 적절하게 응답하기에는 부족한 면이 있다.(중략)

  • PDF

A Study on Personalized Recommendation Method Based on Contents Using Activity and Location Information (이용자 이용행위 및 콘텐츠 위치정보에 기반한 개인화 추천방법에 관한 연구)

  • Kim, Yong;Kim, Mun-Seok;Kim, Yoon-Beom;Park, Jae-H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26 no.1
    • /
    • pp.81-105
    • /
    • 2009
  • In this paper, we propose user contents using behavior and location information on contents on various channels, such as web, IPTV, for contents distribution. With methods to build user and contents profiles, contents using behavior as an implicit user feedback was applied into machine learning procedure for updating user profiles and contents preference. In machine learning procedure, contents-based and collaborative filtering methods were used to analyze user's contents preference. This study proposes contents location information on web sites for final recommendation contents as well. Finally, we refer to a generalized recommender system for personalization. With those methods, more effective and accurate recommendation service can be possible.

희박한 고객 활동 데이터에서 최신성 기반 추천 성능 향상 연구

  • Baek, Sang-Hun;Kim, Ju-Yeong;An, Sun-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9.10a
    • /
    • pp.781-784
    • /
    • 2019
  • 최근 AI를 산업 서비스에 적용하기 위해 많은 회사들이 활발히 연구를 하고 있다. 아마존과 넷플릭스 같은 거대 기업들은 이미 빅데이터와 AI 머신러닝을 이용한 추천 시스템을 구현하였고 아마존은 매출의 35%가 추천에 의해 발생하고 넷플릭스 75%의 사용자가 추천을 통해 영화를 선택한다고 보고되었다. 이러한 두 기업의 높은 추천 효율성의 이유는 협업 필터링(Collaborative filtering)과 같은 다양한 추천 알고리즘과 방대한 상품 및 고객 행동(구매, 시청 등) 데이터 등이 존재하고 있기 때문이다. 기계학습에서 알고리즘 학습을 위한 데이터의 양이 많지 않을 경우 알고리즘의 성능을 보장할 수 없다는 것이 일반적인 의견이다. 방대한 데이터를 가진 기업에서 추천 알고리즘을 적극적으로 활용 및 연구하고 있는 것도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반면, 오프라인 및 여행사 기반에서 온라인 기반으로 영역을 차츰 확대하고 있는 항공 서비스 고객 데이터의 경우, 산업의 특성상 많은 회원에 비해 고객 1명당 온라인에서 활동하는 이력이 많지 않은 것이 특징이다. 이는, 추천 알고리즘을 통한 서비스 제공에서 큰 제약사항으로 작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희박한 고객 활동 데이터에서 최신성 기반의 추천 시스템을 통하여 제약사항을 극복하고 추천 효율을 높이는 방법을 제안한다. 고객의 최근 접속 이력 로그를 시간 기준으로 데이터 셋을 분할하여 추천 알고리즘에 반영하였을 때, 추천된 노선에 대한 고객의 반응을 추천 성능 지표인 CTR(Click-Through Rate)로 측정하여 성능을 확인해 보았다.

Cross Media-Platform Book Recommender System: Based on Book and Movie Ratings (사용자 영화취향을 반영한 크로스미디어 플랫폼 도서 추천 시스템)

  • Kim, Seongseop;Han, Sunwoo;Mok, Ha-Eun;Choi, Hyebong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7 no.1
    • /
    • pp.582-587
    • /
    • 2021
  • Book recommender system, which suggests book to users according to their book taste and preference effectively improves users' book-reading experience and exposes them to variety of books. Insufficient dataset of book rating records by users degrades the quality of recommendation. In this study, we suggest a book recommendation system that makes use of user's book ratings collaboratively with user's movie ratings where more abundant datasets are available. Through comprehensive experiment, we prove that our methods improve the recommendation quality and effectively recommends more diverse kind of books. In addition, this will be the first attempt for book recommendation system to utilize movie rating data, which is from the media-platform other than books.

A Learning Model for Recommendation of Humor Documents (유머문서 추천을 위한 기계학습 기법)

  • 이종우;장병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04b
    • /
    • pp.253-255
    • /
    • 2001
  • 인터넷을 통한 사용자의 선호도를 분석하고 협력적 여과 및 내용기반 여과 기술을 결합 이용하여 유머문서를 추천하는 MrHumor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유머문서 추천 기술은 다양한 아이템에 대한 여과 및 추천 기술로 확장되어 인터넷을 통한 과다 정보 시대에 필요한 소프트봇 혹은 지능형 에이전트 기술에 적용될 수 있다. MrHumor 추천시스템은 적응형 학습 시스템으로서 새로운 사용자의 선호도에 대한 학습량과 추천시기에 따라 이용할 추천방식이 다른 성능을 보이는데 여러 가지 상황에서도 적절한 동작을 보이기 위하여 MrHumor에서는 은닉변수 모델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인구통계적 정보와 문서의 내용적 특징간의 관계를 학습하여 초기 추천을 행하고 SVM을 이용하여 개인의 선호도를 학습한 내용 기반의 여과와 적응형 k-NN모델을 이용한 협력적 여과를 결합하여 추천을 수행한다. 제안된 방식에 의한 추천 성능은 3방식이 각각 이용된 경우에 비해 안정적이고 높은 예측 정확도를 보인다.

  • PDF

Enhancing Method of Collaborative Filtering using Item-Based Trust (아이템 기반의 신뢰도를 이용한 효율적인 협력적 여과 방법)

  • Ji Ae-ttie;Kim Heung-Nam;Jo Geun-S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11b
    • /
    • pp.661-663
    • /
    • 2005
  • 상업적인 추천 시스템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는 사용자 기반의 협력적 여과 방법 (User-Based Collaborative Filtering)은 확장성과 실시간 성능에 관련된 많은 제약을 갖는다. 이와 같은 맹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모델 기반의 협력적 여과 방법 (Model-Based Collaborative Filtering)은 추천은 매우 빠르지만, 모델을 구축하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사용자 기반의 협력적 여과 방법에 비해 추천의 질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과거에 추천되있던 히스토리를 바탕으로 한 신뢰도 정보를 고려하는 추천 시스템은 추천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연구 가운데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 기반의 협력적 여과 방법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추천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유사한 아이템의 모델을 미리 구축하는 아이템 기반의 협력적 여과 방법 (Item-Based Collaborative Filtering)에 각 아이템의 추천에 대한 신뢰도를 고려하여 보다 효율적인 추천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기존 추천 시스템과의 성능 비교 실험을 통해 제안한 방법의 타당성을 제시한다.

  • PDF

A Personalization Technology Based on Neural Networks (신경망에 기반한 개인화 기술)

  • 김종수;도영아;류정우;김명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b
    • /
    • pp.28-30
    • /
    • 2001
  • 현 인터넷상에서 취향에 맞는 항목(상품) 정보를 사용자에게 추천해 주는 개인화 기술은 대부분 특정 사용자와 유사한 선호도를 갖는 다른 사용자들의 특정 항목에 대한 선호도를 바탕으로 항목의 선호도를 추정하는 협력적 추천 기술을 적용하고 있다. 이중 최근접 이웃 방법은 적용하기가 용이한 반면 항목간의 가중치를 고려하지 못함으로써 추천의 정확도가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연관규칙 방법은 다른 항목에 대한 선호도 자료로부터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적용하여 항목 선호에 대한 연관규칙을 추출하고 그 규칙을 사용하여 어떤 항목의 선호도를 추정한다. 따라서 항목들 간의 중요도가 연관규칙의 지지도나 신뢰도 등으로 나타난다고 할 수 있으나, 단순히 항목들간의 연관관계 즉 표면적인 연관관계에 의하여 선호도를 결정함으로써 항목들간의 어떤 내용적인 공통성 또는 어떤 상위개념에 의한 선호도가 고려되지 않음으로써 역시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추천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신경망 추천 방법에 대해 분석하고, 내용기반 추천과 협력적 추천을 병합한 신경망 추천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다른 협력적 추천 방법과의 비교를 통하여 본 추천 방법의 장점과 성능의 우수함을 보인다.

  • PDF

The personalized web page using the Users clustering method (사용자 군집을 이용한 개인화 된 웹 페이지 추천)

  • 이은경;이기현;조근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04b
    • /
    • pp.241-243
    • /
    • 2002
  • 기존의 웹 로그를 이용한 추천 System에서의 추천 문서 집합은 웹 페이지의 연관성과 웹 문서 사이의 거리를 이용하여 사용자들에게 추천 문서 집합을 제공해 주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이 방법에 의하면 추천 폐이지로 제공되는 페이지는 사용자별 연관성이 고려되지 않으므로 모든 사용자들이 웹 페이지의 연관성안을 이용한 폐이지를 추천 받는다. 따라서 처음 웹사이트를 방문한 새로운 사용자들에게는 추천해주는 폐이지는 사용자가 보고 있는 웹 페이지의 연관성에 의한 웹 페이지만을 추천 받게 되므로 생각하지 못했던 폐이지나 비슷한 취향을 가진 사용자들이 방문을 했던 페이지에 대해서는 추천 받지 못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동일한 폐이지를 방문한 사용자별로 클러스터링 하여 같은 그룹에 속한 사용자들의 브라우징 패턴 정보를 발견, 분석화 하여 DB에 저장하였으며, 새로운 사용자에 대해서 웹 페이지 추천 집합을 제공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