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추진전략

검색결과 2,394건 처리시간 0.038초

Balancing Shopping Mall Strategies on the Internet vs. on the Street

  • 조남재;박상혁
    • 한국데이타베이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데이타베이스학회 1999년도 국제컨퍼런스 디지털컨텐츠 활용을 통한 지식경영의 확산
    • /
    • pp.99-109
    • /
    • 1999
  • 최근 인터넷 쇼핑몰에 대한 연구는 초기 쇼핑몰 구축설계 기법 및 보안, 인증 등에 대한 관심을 넘어서 인터넷 쇼핑몰의 추진전략에 대한 연구로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에 인터넷 쇼핑몰 추진방식에 대한 단편적인 현황을 설명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 특히, 실재 공간에서의 지원 활동이 차지하는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재평가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연구의 추진은 거의 전무한 상황이다. 따라서 인터넷 쇼핑몰을 추진하고자 하는 기업이 수행하는 온라인(on-line) 및 오프라인(off-line) 활동의 특성과 이들 간의 균형을 위한 연구의 전략적 중요성이 매우 높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성공적인 인터넷 쇼핑몰 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전략 연구의 일환으로 사례분석을 통해 온라인상과 오프라인상의 균형된 시각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되는 프레임워크를 제시한다.

  • PDF

ICT 연구개발(R&D) 중장기 전략(2013~2017)

  • 강성주
    • 정보와 통신
    • /
    • 제31권1호
    • /
    • pp.5-13
    • /
    • 2013
  • 신정부가 출범하면서 ICT는 타 산업과의 융합으로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는 창조경제 실현의 핵심수단으로 부상하고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저출산, 고령화, 산업 전반의 패러다임 변화, 생태계 중심 경쟁구조 재편 등 새로운 국가 수요의 해결 수단으로 주목 받고 있다. 본고에서는 급변하는 ICT 산업과 기술, 그리고 국가적 미래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미래창조과학부가 향후 5년간 ICT 분야 연구개발(R&D)의 방향을 제시하고 이에 기반한 새로운 기술 및 서비스 개발을 위한 추진전략을 담고 있는 "ICT R&D중장기 추진전략"의 주요 내용 및 세부 추진계획을 소개한다.

국방분야 인공지능 저변화를 위한 대한민국 국방 인공지능 추진전략 (The AI Promotion Strategy of Korea Defense for the AI Expansion in Defense Domain)

  • 이승목;김영곤;안경수
    • 한국소프트웨어감정평가학회 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59-73
    • /
    • 2021
  • 최근 인공지능은 민간분야에서는 급속히 확산, 대중화 되어 음성인식 개인 서비스 분야로 확대되면서 보급화 되었고 주요 강대국은 인공지능 추진전략을 수립하였지만 한국 국방분야의 경우에는 분야 특수성과 함께 북한과의 지정학적 위치로 파급력은 낮은 실정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한국의 국방 인공지능 파급력을 높이고 인공지능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로드맵 확립, 인력 확보, 인공지능 기반 확립, 이해관계자들의 협력 강화 등 총 6가지 대한민국 국방 인공지능 추진전략을 제시한다. 또한 제시된 추진전략에 대해서 4가지 제약사항을 분석하고 극복 방안을 제안함으로써 국방분야의 인공지능 저변확대를 위해 초석을 다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Global 기업의 ERP 구축/운영전략 및 적용사례

  • 박정훈;손경준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과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 /
    • pp.241-250
    • /
    • 2005
  • Global 경영환경이 가속화됨에 따라 기업은 해외 법인 설립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본사와 해외 법인간 효율/효과적인 collaboration 체계를 구축하고 해외법인의 경쟁력을 신속히 강화시키기 위해 해외법인에 ERP를 확산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사 표준 process의 확산 및 유지, 전사 PI 추진, ERP 구축 및 운영에 따른 TCO의 최소화 관점에서 global 기업의 성공적인 ERP 구축전략(Global Single Instance 추진 전략)과 운영전략을 제시한다. Global 기업들이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방법과 전략으로 ERP의 성공적인 구축 및 확산과 운영에 대한 방향성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E-Marketplace 모델 및 추진전략

  • 이영수
    • 한국전자거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자거래학회 2001년도 e-Biz World Conference
    • /
    • pp.197-222
    • /
    • 2001
  • ㆍ 패러다임의 변화 ㆍ 네트워크의 가치 ㆍ eBusiness 모델 및 발전방향 ㆍ 왜 B2B인가? ㆍ B2B 정의 및 분류 ㆍ B2B 모델 ㆍ B2B 구축모델 및 추진전략 ㆍ B2B 솔루션 ㆍ B2B 추진동향(중략)

  • PDF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보화 전략

  •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센터
    • 디지털콘텐츠
    • /
    • 11호통권42호
    • /
    • pp.78-88
    • /
    • 1996
  • 정부는 10월 14일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보화 전략'을 발표,소프트웨어와 영상산업을 비롯한 정보통신산업을 21세기 주도산업으로 육성하겠다고 발표하였다. 이날 회의를 주재하나 김영삼 대통령은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보화 전략으로 정부의 정보화 실천 선도, 경쟁력 제고 핵심분야의 정보화 우선투자, 산업화 과정상의 문제해결, 소프트웨어와 영상산업 육성, 정보화 추진기반 정비, 통일대비 정보화추진 등 6대 정보화과제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발표한 '정보화 전략'의 6대 과졔는 그 범위가 매우 방대하다. 좁은 의미의 정보기술활용을 뛰어넘어 국가경쟁력향상 및 국민 삶의 질개선을 궁극적으로 추진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지금까지 정부 각부처, 혹은 각 부문에서 추진돼 온 정보화사업이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상호연계성이 결여돼 비용이 중복 발생하거나 효과를 보지 못한 경우가 많았다. 이제 정부에서 이러하나 문제점을 의식하고 전체 차원에서의 최적화를 위한 조정기능을 강화하겠다는 의지를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본고에서는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보화 전략의 전문을 게재한다.

  • PDF

지식경영의 추진전략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Impact of KM Strategies on KM Performance)

  • 이영희;송인국;이정우;정승렬;이봉규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4D권7호
    • /
    • pp.791-800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공기업의 성공적인 KM 추진전략의 실행도와 중요성 인식도가 KM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수행을 위해서 첫째, 선행연구를 통해 공공기관 및 민간기업의 성공적인 KM 추진전략 및 KM 성과를 고찰하여 핵심요소를 파악하였다. 둘째, KM을 실행하고 있는 공기업을 대상으로 전략의 실행정도, 중요성 인식도, 그리고 KM 성과를 측정하였다. 셋째, KM 전략의 실행정도와 중요성 인식도 간의 복합관계가 KM 성과에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KM 전략의 실행뿐만 아니라 중요성에 대한 종업원의 인식 제고가 KM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기업 KM을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KM 추진전략에 대한 종업원들의 이해 및 중요성 인식도를 고려해야 할 것이다.

2015년도 정보통신 민간 표준화 추진 방향

  • 위규진
    • 정보와 통신
    • /
    • 제32권1호
    • /
    • pp.53-61
    • /
    • 2014
  • 2015년도에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는 표준의 보급 확산 활성화, 사실 표준화 기구에 대한 대응 활동강화, 국민 편익형 표준화의 본격추진, 중소기업에 대한 표준 지원활동 강화를 주요 목표로 삼고 이를 추진하기 위한 표준화 전략을 수립하였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세부 전략으로는 표준의 경제적 효과 분석, 국민 편익/생활 밀착형 표준화 본격추진, 기 제정된 TTA 표준의 Use Case 세부 조사 분석, 사실표준화기구에 대한 대응체계구축, 중점 표준화 분야와 적합성/인증연계, 표준보급활동 강화를 위한 맞춤형 표준설명회 개최 및 표준해설서 개발, 중소기업을 지원하기 위한ICT 표준화 사이버 지원센터 운영 등의 전략을 수립하였다.

글로벌 혁신클러스터로서 연구개발특구 추진전략에 관한 연구 -대덕, 광주, 대구 연구개발특구의 연계 시나리오를 중심으로- (The Strategy for the Development of the Innopolis as a Global Innovation Cluster -Focused on the Scenario Planning of the Daedeok, Gwangju, Daegu Innopolis-)

  • 이원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5015-5024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글로벌 혁신클러스터로서 연구개발특구를 살펴보고 향후 추진전략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혁신클러스터의 이론전개, 글로벌 혁신클러스터의 개념 및 성공사례를 살펴보았다. 또한,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인 연구개발특구의 개념과 현황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글로벌 혁신클러스터로서 연구개발특구의 추진전략 도출을 위하여 시나리오플래닝 방법론이 활용되었으며, 이를 통해 3가지 전략방향이 도출되었다. 첫 번째는 연구개발특구가 혁신클러스터의 단계적 발전단계에 맞추어 발전할 수 있도록 하드웨어 구축 뿐만 아니라 산학협력, 기업지원 등 소프트웨어적인 측면에서 체계적인 단지육성전략을 추진해야 한다. 두 번째는 대덕특구외에도 새로이 특구로 지정된 광주, 대구특구와 조정,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것이다. 세 번째는 새로이 기초과학중심의 혁신클러스터로 추진되고 있는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와의 연계를 강화하며 기초과학과 산업화 클러스터간의 시너지를 창출하는 것이다. 글로벌 혁신클러스터로서 연구개발특구의 전략방향을 다차원적으로 고찰한 본 논문은 향후 클러스터 추진 관련 연구 조직에게 큰 함의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