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추정스타일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27초

집중취재 - "평범했던 내 스마트폰에 특별함을 입힌다!"

  • 한국자동판매기공업협회
    • 벤딩인더스트리
    • /
    • 제11권1호
    • /
    • pp.80-81
    • /
    • 2012
  • '스마트폰의 보급과 더붙어 필수적인 악세사리로 등장한 게 케이스이다. 스마트폰을 떨어뜨릴시 고장을 예방하고 개성있는 디자인 연출이 가능해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업계에서는 케이스를 포함한 스마트폰 악세사리 시장이 연간 1600억 시장으로 성장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그런데 최근 이 스마트폰 케이스에 사진도 넣고 자신만의 스타일로 꾸며주는 자동판매기가 등장했다. 내 휴대폰을 특별하게 만드는 비결, '아티스트'를 소개한다.

  • PDF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s의 응용 현황 (Applications of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s)

  • 김동욱;김세송;정승원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807-809
    • /
    • 2017
  •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s (GAN)에 대한 간략하게 설명하고, MNIST (숫자 손 글씨 데이터 셋)를 이용한 간단한 실험을 통해 GAN 구조 구조의 이해를 돕는다. 그리고 GAN이 어떻게 응용이 되고있는지 다양한 논문들을 통해 살펴본다. 본 고에서는 GAN 논문들을 크게 이미지 스타일 변경, 3D 오브젝트 추정, 손상된 이미지 복원, 언어의 시각화, 기타 등으로 분류하였다.

3D 인체 및 의상복원을 사용한 개인체형맞춤 가상착용 iOS 모바일 서비스 설계 및 개발 (Personal-Fit Virtual Try-On iOS Mobile Service using 3D Human body and Clothing model reconstruction)

  • 유승원;오상민;안희준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93-195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3차원 스캔 없이 이미지 입력만을 사용한 개인 체형을 고려한 모바일 가상 착용 시스템의 전체 과정을 설계하고 개발하였다. 이를 위하여 이미지상 인물의 자세와 체형의 추정을 통하여 3차원 인체모델(SMPL)을 추정하는 최근의 방식을 이용하였고, 앞 뒷면 의상 이미지를 2차원 texture 매핑과 평면 triangle mesh로 복원하고 의상 봉제 (sewing) 시뮬레이션을 사용하여 3차원 의상 모델을 생성하는 방법을 새롭게 개발하였다. 또한 이를 활용한 3차원 개인화된 가상 착용 모바일 앱과 서비스를 Flask와 iOS 환경에서 SceneKit을 활용하여 개발하였다. 이를 통하여 단순히 의상의 매칭과 스타일 뿐 아니라 사이즈에 따른 착용 Fit을 구매 전에 확인할 수 있는 전체 서비스를 실현 및 검증하였다.

  • PDF

직물 텍스쳐 매핑을 이용한 객체 VR 기반 가상 직물 착용 시스템 (Object VR-based Virtual Textile Wearing System Using Textile Texture Mapping)

  • 곽노윤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8호
    • /
    • pp.239-247
    • /
    • 2012
  • 본 논문은 시점 벡터 추정과 명도 차분 맵에 기반하여 직물 텍스쳐 매핑을 수행하는 객체 VR 기반 가상 직물 착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제안된 시스템은 객체 VR 용도의 다시점 2D 의류 모델 영상들에서 의류 형상 영역을 분할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새로운 직물 패턴을 가상적으로 착용시킨 후, 이러한 가상 착용 상태를 다시점에서 입체적으로 관측할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제안된 시스템은 모델 의류의 컬러나 명도에 관계없이 선택된 의류 형상 영역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직물 패턴을 가상적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각기 다른 스타일 혹은 전체적인 차림새를 위한 다양한 직물 패턴 조합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시뮬레이션하고 비교 선택할 수 있다. 제안된 시스템은 다양한 디지털 환경에서 실시간 처리가 가능하고 비교적 자연스럽고 입체적인 가상 착용 스타일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수작업을 줄인 반자동화 처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높은 실용성과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필기체 수표 금액 문장에서의 단어 분리를 위한 공간적 간격 추정 (Spatial Gap Estimation for Word Separation in Handwritten Legal Amounts on BAnk Check)

  • 김인철;김경민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1096-1101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수표 영상 내의 필기체 문장 금액을 개별 단어로 분리하기 위해 연결 성분 간의 공간적 간격을 효과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기존의 간격 측정 방법들은 과대추정 또는 과소추정과 같은 문제를 내포하고 있어 무제약적 필기 스타일에 의한 문자의 왜곡과 필기 공간의 제약으로 인한 연결 성분 간 중첩 및 접촉, 그리고 단어 간 또는 문자 간 간격의 불규칙성이 심하게 나타나는 문장 금액에 적용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측정 방식들을 수정 보완하여 측정 과정에서의 오류를 줄임으로써 단어 분리 성능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단어 분리 실험 결과로부터 수정된 각 거리 측정법이 대응되는 기존의 측정법에 비해 $2-3\%$ 정도 향상된 단어 분리 성능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영산강류역(榮山江流域) 옹관고분(甕棺古墳) 발생(發生) 배경(背景) (The advent of Large Jar coffin Tombs in Yeongsangang River Valley)

  • 김낙중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37권
    • /
    • pp.37-63
    • /
    • 2004
  • 2세기 후반 이후 범마한적(凡馬韓的)으로 사용되던 대형 옹형토기는 백제가 우월적 정치체로서 성장함에 따라 점차적으로 범위가 좁아지며 용도가 바뀌는데, 3세기 후반 이후 영산강유역에서 저분구묘의 중심 매장시설로 기능을 전용하면서 옹관고분이 등장하게 된다. 옹관의 형태와 양식이 통일되면서 백제와 구별되는 상징적 스타일로 강화,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즉 마한을 구성한 대등한 정치체들의 공통적 상징이 백제와 구별되는 영산강유역이라는 광역적인 집단의 상징으로 바뀐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과정은 백제와 정치적으로 구별하고 맞서야 하는 대내외적 요구를 충족시키는데 필요한 영산강유역 집단의 결집을 위한 통합 이데올로기의 반영이라고 판단된다.

신발 추천 서비스를 위한 딥러닝 기반 발 변인 추정 (Deep Learning Based on Foot Parameters Estimation for Shoe Recommendation Service)

  • 김운용;윤정록;김회민;전성국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1년도 제64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9권2호
    • /
    • pp.549-550
    • /
    • 2021
  • 사용자에게 맞춘 개인화된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의 발전으로 개인화의 수요는 점점 늘어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또한 개인 맞춤형으로 전문 스포츠 선수화, 족부 장애우를 위한 정형 제화 등 전문적인 기능 중심의 개인화나 패션을 위한 스타일 중심의 개인화 등 개인 맞춤 제작 신발을 제작할 때 기존의 아날로그적인 방식으로 발 변인을 측정했을 때 각 변인에 대해 기준점이 명확하지 않아서 재현성이 떨어진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자를 이용해 간단히 측정 가능한 기본적인 발 변인 이용하여 다른 변인들을 학습하고 딥러닝을 이용해 추정하는 방법에 대해 서술한다. 이를 위해 20개의 발 변인을 휙득 하였고 그 중 6개의 기본적인 발 변인을 이용해 14개 변인을적합 방지를 위해 Dorpout을 적용해 학습하고 학습한 데이터를 이용해 학습하지 않은 데이터를 테스트해 각 변인별 결과를 보여준다.

  • PDF

담론으로서의 타이포그래피 (Typography as Discourse)

  • 김지현
    • 디자인학연구
    • /
    • 제14권
    • /
    • pp.33-41
    • /
    • 1996
  • 타이포그래피는 형태와 의미라고 하는 양면을 가지고 있다. 즉, 읽기(reading)와 보기(seeing)를 모두 요구하는 요소들의 집합체인데 형태로서 나타내는 의미도 물론 중요하지만 정확한 의사전달을 위 하여는 수용자 측면에서 야기 될 수 있는 다양한 의미를 추정하여 그 의미를 표현해야 한다. 이러한 사고를 바탕으로 탄생한 ' 담론으로서의 타이포그래피' 는 디자이너 입장에서는 일방적인 커뮤니케이션이 아닌 대화 형식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새로운 스타일이다. 의미는 한 곳에 정체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수용자에 따라 무한한 가능성이 열려 있기 때문에 이러한 표현 방법의 의의는 매우 크다. 따라서 이를 실제 강의에 적용, 그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PDF

춤추는 아바타: 당신도 싸이처럼 춤을 출 수 있다. (Dancing Avatar: You can dance like PSY too)

  • 구동준;주영돈;브이 반 만;이정우;안희준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56-259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사람을 키넥트로 촬영하여 3 차원 아바타로 복원하여 연예인처럼 춤을 추게 하는 기술을 설계 구현하였다. 기존의 순수 딥러닝 기반 방식과 달리 본 기술은 3 차원 인체 모델을 사용하여 안정적이고 자유로운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우선 인체 모델의 기하학적 정보는 3 차원 조인트를 사용하여 추정하고 DensePose를 통하여 정교한 텍스쳐를 복원한다. 여기에 3 차원 포인트-클라우드와 ICP 매칭 기법을 사용하여 의상 모델 정보를 복원한다. 이렇게 확보한 신체 모델과 의상 모델을 사용한 아바타는 신체 모델의 rigged 특성을 그대로 유지함으로써 애니메이션에 적합하여 PSY 의 <강남스타일>과 같은 춤을 자연스럽게 표현하였다. 개선할 점으로 인체와 의류 부분의 좀 더 정확한 분할과 분할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노이즈의 제거 등을 확인되었다.

  • PDF

고려 아청운수라 질손의 형태와 의미 규명 및 고증 디자인 연구 (A Study on the Shape, Characteristic, and Investigated Design of Goryeo-Achungunsura-Jisun)

  • 최정
    • 복식
    • /
    • 제63권1호
    • /
    • pp.135-146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aning and possible shape of Goryeo-Achungunsura-jisun(高麗鴉靑雲袖羅質孫) through the details regarding its color, fabric, and pattern in the $13-14^{th}$ century writings and costume relics. Goryeo-Achungunsura-jisun was the summer dress coat that government officials wore during the Jisun feast of Yuan, and it was symbolic of the political strategy of Yuan as well as the excellent Goryeo fabric material, but no relics remain. During this period, Achung (dark blue)was the color that was used to dye silk, dress coats of upper class men, and background fabric of the embroidered official patch. And, the term, Yunsu (cloud sleeves), was probably sleeves with cloud pattern. The most typical cloud pattern in the 13 and the $14^{th}$ century was the 'flowing, gathering-headed cloud'. The Ra(silk gauze) weaving technique of Goryeo was developed rapidly in the $12^{th}$ century, and the quality of the Ra in the late Goryeo was good enough to be used for making the official's dress coat in the golden age of Yua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of jisun and man's formal-suit style in the Mongolian-Yuan, the possible styles for Goryeo-Achungunsura-jisun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a basic Mongolian gown with narrow sleeves and deep crossed diagonal opening, a Mongolian gown with waist pleats, the combination of half sleeved gown and long sleeved Mongolian gown. These styles would be made of delicate Goryeo Ra, cloud patterned sleeves, fabrics dyed in dark blue color, and shawl or embroidered patch ornaments for officials of Yuan, which was more simple than materials for Khan's Jisun to avoid rebell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