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추적가스

검색결과 130건 처리시간 0.026초

독성가스 용기 유통 이력 추적 관리 기술 개발 (A development of toxic gas cylinders traceability technology)

  • 박길주;이창열;조영도
    • 한국재난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난정보학회 2015년 정기학술대회
    • /
    • pp.212-214
    • /
    • 2015
  • 독성가스는 반도체, LCD, 태양전지 등 첨산 산업 발달로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나, 독성가스 용기 무단폐기 등 관리 및 유통에 대한 체계가 열악한 실정이다. 독성가스를 제조 유통하는 시설이 2013년 기준으로 2,774개소가 있으며, 2012년 가스사용량은 2010년 대비 62.5% 급증하였다. 대학교, 연구소 등 사용량은 적으나 독성가스를 사용하지만 고압가스안전관리법의 검사 대상에서 제외되는 기관도 4천개 이상이 되는 상태에서 이에 대한 유통 이력 추적 관리는 매우 중요한 상태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RFID를 이용하여 독성가스 용기의 제조, 유통, 충전 및 폐기 전 영역에서 이력정보를 관리하는 독성가스 용기 유통 이력추적관리기술을 개발하였으며, 본 기술을 통하여 투명하고 추적 가능한 독성가스 용기 관리 체계를 갖추었다.

  • PDF

추적가스법을 적용한 국내 석회석 광산의 환기성능 평가 연구 (Ventilation Efficiency Evaluation of Domestic Limestone Mine Using Tracer Gas Method)

  • 김영수;노장훈;김진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6권4호
    • /
    • pp.274-282
    • /
    • 2016
  • 현재 국내에서 가행 중인 석회석 광산은 자연환기력을 주된 환기방법으로 사용하고 있고, 대단면 굴착으로 매우 저속의 공기유동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작업구간의 공기질이 매우 저하되어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먼저 환기성능을 면밀하게 평가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환기성능평가를 위해서 추적가스법을 적용하여 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추적가스법을 통해 매우 저속의 공기유동, 공기재순환현상, 작업장 공기교환율 등을 정량적으로 평가함에 따라서 연구광산의 환기문제점들을 정밀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추적가스법을 활용한 환기성능 평가방법은 광산의 작업환경 개선을 위하여 매우 정밀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종 비유전율에서 TDR을 이용한 PD발생 위치 추적방법 (Using the TDR in specific inductive capacity for Partial Discharge Signals Detection Method)

  • 최문규;차한주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15년도 제46회 하계학술대회
    • /
    • pp.1477-1480
    • /
    • 2015
  • 본 논문은 TDR(Time Domain Reflectometry)을 이용하여, 비유전율내에서 PD(Partial Discharge) 발생 시 부분방전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한분야의 방법으로 비율전율간의 이동속도를 적용하여 PD위치를 쉽게 겁근할 수 있는 방법이다. 기존에는 절연유와 SF6 가스의 연결부에서 부분방전 발생 시 30cm/ns의 이동속도를 이용하여 위치를 추적함으로써 약 31% 오차가 발생하였다. 절연유내에서의 이동속도를 20cm/ns의 상수를 적용하여 현장에 적용결과 PD위치의 오차를 저감할 수 있었으며, PD발생 부분을 절연유와 SF6 가스구역으로 구분을 할 수가 있었으며, 이를 통하여 점검예산을 확보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비유전율 상수를 이용한 이동속도를 산출하여 PD위치를 추적하는 방법을 활용하면, 기존의 PD발생위치 추적을 보다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이라 생각한다.

  • PDF

추적가스를 이용한 바닥취출 공조공간내의 환기효율 측정실험 (Ventilation effectiveness measurements utilizing a tracer gas in an under floor air-conditioning space)

  • 한화택;서세영;김명호;김영일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10권5호
    • /
    • pp.610-618
    • /
    • 1998
  • In this study, a tracer gas technique was used to measure ventilation effectiveness in a thermal environmental chamber simulating an under-floor air conditioning system. A tracer gas of $SF_6$ was injected in a supply duct using step-up and step-down methods. Local mean ages and room mean ages were calculated from the measured concentrations under isothermal and cooling conditions with and without diffusers. Ventilation effectiveness is found to be higher in cooling ventilation operations than in isothermal operations. Results also show that ventilation effectiveness is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a diffuser.

  • PDF

TDLAS를 이용한 CO 농도 측정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Measurement of CO Gas Concentration Using TDLAS)

  • 문성욱;전형하;우미혜;남기중;이성풍;류광현;권남익
    • 한국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광학회 2003년도 하계학술발표회
    • /
    • pp.178-179
    • /
    • 2003
  • 가스 상태의 반응 공정을 이용하는 반도체, 플라즈마, 연소 및 촉매를 이용한 유해가스처리와 대기환경 등에서는 반응을 주도하는 활성기(radical)의 역할 그리고 극미량(sub-ppm 수준)으로 존재하는 유해가스 성분등을 실시간으로 추적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비 광학적 미량 가스 측정 장비들은 측정 대상 가스성분과 측정 장치의 프로브 사이의 물리적인 접촉이 요구되므로 감지시간이 늦고, 프로브 오염에 따른 hysteresis, 회복시간(recovery time)의 지연, 활성(부식성) 가스 샘플에 의한 감지기능 저하 등을 유발한다. (중략)

  • PDF

이동형 배출가스 측정시스템(MEL)을 이용하여 디젤, CNG, LPG 시내버스에서 배출되는 입자상 물질 평가 (On-Road Investigation of PM Emissions of a City-Buses Fuelled by Diesel, CNG, and LPG Using a Mobile Emission Laboratory)

  • 이석환;김홍석;박준혁;윤준규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5권4호
    • /
    • pp.409-416
    • /
    • 2011
  • 차량에 의한 대기오염을 실제 주행 조건에서 시간과 공간에 구애받지 않고 실시간으로 측정하기 위하여 이동형 배출가스 측정장치 (MEL)가 제작되었다. 미니밴 차량에 배출가스 측정을 위한 장비와 입자의 수 농도 및 입경분포 측정을 위한 FMPS, CPC가 탑재되었다. 차량 전단에 장착되는 흡입 샘플링 포트를 사용하여 여러 종류의 차량 추적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MEL의 구축 과정 및 디젤, CNG, LPG 연료를 사용하는 버스를 추적 실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배출가스의 희석비는 추적차량의 엔진 배기 NOx 및 MEL 차량에서 샘플링 되는 NOx의 비로 계산하였다. 디젤버스에서 배출되는 입자의 대부분은 300 nm 이하의 크기이며 입경분포의 피크값은 30~60 nm 사이에 위치하였다. 하지만, 가스연료인 CNG와 LPG를 사용하는 버스에서 배출되는 입자들은 극미세입자 영역인 50 nm 이하로 측정되었다.

기계 환기시스템의 실내 환기성능 특성 해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 Analysis for Indoor Ventilation Performance of Mechanical Ventilation System)

  • 구재현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31-37
    • /
    • 2012
  • 본 연구는 실내 쾌적성 제어를 위하여 룸 에어컨의 환기성능을 분석한다. 실험장치는 환경공조챔버, 룸 에어컨, 추적가스 측정시스템, 급기팬과 제어기로 구성된다. 환기성능은 ASTM Standard E741-83 기준에 근거하여 환경공조챔버 내 CO2 추적가스기법을 사용한 체강법에 의해 재실자와 급기 환기량에 따라 평가된다. 급기 환기량 증가에 따라 환기성능이 증가함을 파악하였으며 재실자가 없는 경우 CO2 가스는 빠르게 감소하며 이때의 환기성능은 55%까지 증가한다. 그리고 1명의 재실자가 있는 경우 1시간 경과후 급기량 570 lpm에서 환기성능은 자연감쇠와 비교하여 25%까지 증가한다. 실험 데이터를 사용하여 환경공조챔버 내 룸 에어컨의 환기성능 모델링을 도출하였다.

추적가스를 이용한 실간환기량 산정방법에 따른 불확실성 해석 (Uncertainty Analysis of Interzonal Airflow Rates by Tracer Gas Methods)

  • 한화택;조석효
    • 대한설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설비공학회 2008년도 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529-534
    • /
    • 2008
  • Interzonal air movements are important to characterize overall ventilation performance of complicated multi-zone buildings. Tracer gas techniques are widely used to measure ventilation rates, ventilation effectiveness, and interzonal air movements. Depending on the number of gases used, they are divided into single and multi tracer gas methods. This paper deals with the comparison of the tracer gas methods in measuring air exchange rate between rooms. Experiments have been conducted in a simple two-room model with known airflow rates. In multi-gas procedure, the concentration decays of two tracer gases, i.e SF6 and R134a are measured after simultaneous injections in each room. The single tracer gas method is also applied by injecting SF6 gas with a time lag between two rooms. The data reduction procedures are developed to obtain the interzonal airflow rate using the matrix inversion, and various data manipulation methods are tested, such as data shift, interpolation, and smoothing. Uncertainty for each airflow rate is investigated depending on the parameters based on the setting values.

  • PDF

건축공간에서 공기 감염균 확산을 해석하기 위한 추적가스 고찰과 농도에 따른 감염 위험성 예측 연구 (A Inquiry of Tracer Gas for Analysis of Dispersion and Prediction of Infection Possibility according to Airborne Viral Contaminants)

  • 임태섭;강승모;김병선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8권3호
    • /
    • pp.102-113
    • /
    • 2009
  • The SARS virus began to appear and spread in North America and Southeast Asia in the early 2000' s, infecting and harming many people. In the process of examining the causes for the virus, studies on the airborne SARS virus and the way it spread were carried out mainly in the medical field. In the field of architecture, studies were done on the diffusion of air pollutants in buildings using gases such as $CO_2$, $N_2O$, or $SF_6$, but research on virus diffusion was limited. There were also explanations of only the diffusion process without accurate information and discussion on virus characteristic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airborne virus, consider the possibility of using coupled analysis model and tracer gas for analyzing virus diffusion in building space and, based on reports of how the infection spread in a hospital where SARS patients were discovered, analyze infection risk using tracer gas density and also diffusion patterns according to the location, shape, and volume of supply diffusers and exhaust grilles. This paper can provide standards and logical principles for evaluating various alternatives for making decisions on vertical or horizontal ward placement, air supply and exhaust installation and air volumes in medium or high story medical facilities.

실간환기량 측정을 위한 추적가스 실험방법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racer Gas Methodology to Measure Interzonal Airflow Rates)

  • 한화택;조석효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21권11호
    • /
    • pp.606-612
    • /
    • 2009
  • Interzonal air movements are important to characterize overall ventilation performance of complicated multi-zone buildings. Tracer gas techniques are widely used to measure ventilation rates, ventilation effectiveness, and interzonal air movements. Depending on the number of gases used, they are divided into single and multi tracer gas methods. This paper deals with the comparison of the tracer gas methods in measuring air exchange rate between rooms. Experiments have been conducted in a simple two-room model with known airflow rates. In multi-gas procedure, the concentration decays of two tracer gases, i.e SF6 and R134a are measured after simultaneous injections in each room. The single tracer gas method is also applied by injecting SF6 gas with a time lag between two rooms. The data reduction procedures are developed to obtain the interzonal airflow rate using the matrix inversion, and various data manipulation methods are tested, such as data shift, interpolation, and smoothing. Uncertainty for each airflow rate is investigated depending on the parameters based on the setting valu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