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추시

검색결과 754건 처리시간 0.03초

봉합 불가능한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에서 상완 이두근 건 장두를 이용한 관절경하 부분 봉합술의 장기 추적 관찰 결과 (Result of a Long-Term Follow-Up of Arthroscopic Partial Repair for Massive Irreparable Rotator Cuff Tears Using a Biceps Long Head Auto Graft)

  • 고상훈;박기봉;박길영;권순환;김명서;박선재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5권2호
    • /
    • pp.135-142
    • /
    • 2020
  • 목적: 본 연구에서는 봉합 불가능한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에 있어서 상완 이두근 건 장두를 이용한 관절경하 부분 봉합술의 임상적 유용성 및 장기 추시 결과를 발표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봉합 불가능한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 환자 중 상완 이두근 건 장두에 50% 미만의 파열이 있는 4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상완 이두근 건 장두를 이용하여 관절경하 부분 봉합술을 시행받은 1군과 파열되지 않은 상완 이두근 건 장두가 있으나 자가 이식건을 이용하지 않고 관절경하 부분 봉합술만을 시행한 2군으로 나누었다. 임상 점수는 시각통증점수(visual analogue pain scale, VAS), 운동범위(range of motion, ROM),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shoulder score (UCLA),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urgeons Shoulder Score (ASES) 및 Korean Shoulder Scoring System (KSS) 점수로 측정하였으며 최종 추시에 측정된 점수가 사용되었다. 수술 전과 최종 추시에 촬영한 단순 방사선 사진을 이용하여 견봉상완거리(acromiohumeral interval, AHI)를 측정하였고 최종 추시에 시행한 초음파 또는 자기공명영상 검사를 이용하여 재파열 여부를 평가하였다. 결과: 환자의 평균 연령은 62.1±12.7세였으며, 평균 추시 기간은 90.3±16.8개월이었다. 1군과 2군 간에 VAS와 ROM (전방 거상, 외회전, 내회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179, p=0.129, p=0.098, p=0.155). UCLA, ASES 및 KSS 점수는 2군과 비교해 1군에서 기능적 개선을 보였다(p=0.041, p=0.023, p=0.019). 최종 추시 시 AHI는 1군 9.46±0.41 mm, 2군 6.86±0.64 mm로 측정되었다(p=0.032). 재파열은 1군 21예 중 6예(28.6%), 2군 20예 중 9예(45.0%)에서 발견되었다. 1군의 경우 2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은 재파열률을 보였다(p=0.011). 결론: 본 연구에서는 봉합이 불가능한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이 있는 환자들에게 상완 이두근 건 장두를 이용한 관절경하 부분 봉합술을 시행하여 장기 추시한 결과, 상완 이두근 건 장두를 사용하지 않은 군에 비하여 기능적 향상 및 낮은 재파열률을 보인다. 따라서 이는 봉합 불가능한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이 있는 환자에서 좋은 수술적 방법으로 생각된다.

초음파를 활용한 아킬레스 건 파열의 보존적 치료 결과 추시 -증례 보고- (Conservative Treatment of Achilles Tendon Rupture with Ultrasonographic Follow-Up - A Case Report -)

  • 김윤정;안재훈;신동철
    •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88-92
    • /
    • 2011
  • 아킬레스 건의 급성 파열은 최근 레저 활동의 증가로 인하여 그 빈도가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 수술적 및 보존적 치료 방법 모두 장단점이 보고되고 있다. 저자들은 급성 아킬레스 건 파열에 대해 석고 고정을 이용한 보존적 치료를 시행하고 그 치유 과정을 초음파를 이용해 추시하였다.

  • PDF

견관절 다방향 불안정성의 치료 (Multidirectional Instability of the Shoulder)

  • 김영규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5-12
    • /
    • 2007
  • 견관절의 다방향 불안정성은 생역학 및 생화학적 이상의 복합적 요인에 의해 발생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에 대한 보다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될 것으로 생각된다. 최근 다방향 불안정성과 관련된 요소에 따라 분류가 세분화되어 치료가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진단시 세심한 병력과 진찰이 매우 중요하며 이에 따라 치료 방침을 결정해야 할 것이다. 많은 환자에서 삼각근, 회전근 개, 견갑 안정화 근육을 강화시킴으로써 증상이 호전되나 비수술적 치료에 호전이 없는 경우는 관절 낭 이동술을 이용하여 비교적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개방적 술식이 다방향 불안정성을 위한 수술적 치료의 표준적 술식으로 알려져 있으나. 최근에는 여러 관절경적 술식이 개발되고 있고 이에 따른 중 단기 추시 결과도 비교적 좋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이 술식에 대한 정확한 평가를 위해서는 많은 경험과 장기 추시 결과를 요한다.

  • PDF

견봉쇄골 관절 탈구의 수술적 치료

  • 이광원;송대화;최원식
    • 대한견주관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견주관절학회 1998년도 학술대회
    • /
    • pp.33-33
    • /
    • 1998
  • 저자들은 1990년 1월부터 1997년 1월까지 을지의과대학병원 정형외과에서 제3형 급성 견봉쇄골 관절 탈구로 진단받고 Phemister 방법, Bosworth 방법, Weaver and Dunn 방법등으로 수술 받은 70례의 환자에 대하여 이중 1년 이상 추시 가능하였던 60례를 대상으로 하여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분석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수상후 평균 오구쇄골간격은 건측과 비교시 평균 7.1mm의 차이를 보였는데 수술 방법에 상관없이 추시시에는 평균 2mm의 차이를 보였다. 임상적 평가에서는 우수 23례$(38\%)$, 양호 31례$(52\%)$, 보통이 6례$(10\%)$를 보여 대부분 좋은 결과를 얻어 오구쇄골 간격 증가가 임상적 결과와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는 결과를 가져왔다

  • PDF

고해상도 초음파로 추시된 슬관절 내측측부인대 점액낭염에 대한 증식치료의 효과 (Effects of Prolotherapy on Medial Collateral Ligament Bursitis of the Knee Joint Identified with High Resolution Ultrasound)

  • 김응록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4권5호
    • /
    • pp.469-473
    • /
    • 2019
  • 슬관절 내측 통증은 정형외과 영역에서 흔한 문제이다. 초음파를 통하여 내측측부인대 점액낭염, 내측 반월상 연골 낭종, 내측측부인대 퇴행성 변화, 내측 반월상 연골의 탈출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증식치료는 무릎의 내측 통증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에서 효과적인 치료법이다. 내측측부인대 점액낭염 환자에게 증식치료 시행 후 근골격계 초음파로 추시하여 점액낭염의 호전을 관찰한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