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추가제곱합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2초

다중회귀모형에서 전진선택과 후진제거의 기하학적 표현 (Geometrical description based on forward selection & backward elimination methods for regression models)

  • 홍종선;김명진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1권5호
    • /
    • pp.901-908
    • /
    • 2010
  • 다중회귀모형에서 변수선택법 중에서 전진선택과 후진제거의 과정을 기하학적으로 표현하는 그래픽적 방법을 제안한다. 반지름이 1인 반원의 제1사분면에는 전진선택 과정을, 제2사분면에는 후진제거 과정을 표현한다. 각 단계에서 회귀제곱합을 벡터로 표현하고, 추가제곱합 또는 부분결정계수를 벡터 사이의 각도로 나타내며 벡터의 끝을 연결할 때 통계적으로 유의하면 점선으로 표현하여 부분가설검정의 통계적 분석결과를 인지할 수 있도록 작성한다. 이 방법을 이용하면 전진선택과 후진제거 방법에 의한 최종모형을 비교 분석하고 전체적으로 모형의 적합도를 파악할 수 있다.

다중회귀모형의 그래픽적 방법 (Graphical Method for Multiple Regression Model)

  • 이우리;이의기;홍종선
    • 응용통계연구
    • /
    • 제20권1호
    • /
    • pp.195-204
    • /
    • 2007
  • 기하학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다중회귀모형 자료를 그래프로 구현하는 회귀제곱합 그림을 제안한다. 두 설명변수의 회귀제곱합은 한 변수의 단순회귀제곱합과 한 변수의 회귀모형에 다른 변수가 추가되었을 때 회귀제곱합의 증가분의 합으로 표현되는 관계식을 이용하여 회귀제곱합 그림을 반원의 형태로 구현한다. 회귀제곱합 그림은 설명변수에 대응하는 벡터로 표현되고, 반응변수에 영향력 정도를 시각적으로 구현하는 그래픽적인 방법이다. 수평축에 가까운 벡터에 대응하는 설명변수가 반응변수에 더 많은 영향을 주는 설명변수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두개의 설명변수에 대응하는 벡터 사이의 각도 크기로 서프레션의 발생여부를 진단 가능하다.

식재(植栽) 밀도(密度)가 임분생장(林分生長)모델 모수(母數) 추정(推定)에 미치는 효과(效果)에 관(關)한 연구(硏究) (Investigating the Effect of Planting Density on Parameter Estimation of Stand Growth Models)

  • 이봉일;권순덕;정주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8권4호
    • /
    • pp.446-453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식재본수가 임분 수고생장 및 단면적생장모델의 모수 추정에 미치는 효과를 연구하였다. 삼나무임분의 생장모델에 포함되는 모수들을 추정하기 위하여 기본식으로 Korf 식을 사용하였으며, 식재밀도의 변화가 모수 추정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합리적 분석과정으로 판단되는 추가제곱합(extra sums of square) 원칙을 적용하였다. 적용성 검토결과 임분수고의 생장이 식재밀도에 유의한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기존의 입장과 임분 단면적의 생장곡선은 임분밀도에는 관계없이 동일한 접근선에 접근한다는 사실을 재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단면적 생장곡선의 형태는 이와는 달리 식재밀도에 의해 유의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삼나무 인공림에서 식재밀도에 따른 효과를 설명할 수 있는 임분단면적 생장모델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