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최대출력

Search Result 1,657,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축방향 가상음극발진기를 이용한 고출력 마이크로파의 전자기기 효과 연구

  • Byeon, Yong-Seong;Song, Gi-Baek;Choe, Eun-Ha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0.02a
    • /
    • pp.434-434
    • /
    • 2010
  • Axial type 가상음극발진기를 이용하여 전극의 기하학적 구조와 고출력 마이크로파의 출력 특성을 분석하고, 최대 파워의 조건에 대한 전자기기 효과를 알아보았다. 고출력 마이크로파 발생 장치인 Vircator는 강렬한 상대론적 전자빔 발생장치로 최대전압 600 kV, 최대전류 88 kA, 펄스폭 60 ns의 특성을 가진다. Anode와 cathode의 간격은 4 mm로 최적화 하였고, 이 조건에서 마이크로파의 출력 특성을 분석하여 보았을 때 WR-137 수신안테나에서 최대 출력143 MW와 5.4 GHz의 진동수를 측정하였다. 출력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도파관 중앙에 폭이 10 mm인 반사판을 사용하였고, 그 결과 반사판이 공진구조에 기여하여 정상파(standing wave)를 형성하여 마이크로파 출력 효율 향상하여 WR-137에서 최대 549 MW의 출력을 보였다. 향상된 마이크로파의 출력을 이용하여 각도와 거리를 변화해 가며 컴퓨터와 전자소자로 제작된 회로에 대해 전자기기 효과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컴퓨터의 경우 $0^{\circ}$ 1 m에서 hard kill 상태가 되었다. 전자소자 회로의 경우는 $0^{\circ}$ 30 cm에서 hard kill의 상태로 되었다. 또한 면적 대비 출력 파워로 비교 했을 경우 약 $0.484\;{\mu}J$의 마이크로파의 영향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Characteristics Investigation of Maximum Power Tracking Power Control of a Wind Turbine (풍력터빈 최대출력추종 출력제어(MPPT)방식 및 특성고찰)

  • Son, Ju-am;Kim, Kyeong-Min;Cha, Ju-Sik;Chung, Dae-Wo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5.07a
    • /
    • pp.141-142
    • /
    • 2015
  • 풍력발전은 신재생에너지 분야에서 태양광 발전과 함께 중요한 에너지원으로서 최대 전력 생산과 전력계통에 대한 적용 문제를 다루기 위해 상당한 노력들이 기울여지고 있는 분야인데, 발전기가 풍속에 따라 최대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속도를 추적해야 하는 어려움이 따른다. 본 논문에서는 풍력발전기의 출력방식을 조사하고 최대출력을 얻기 위한 MPPT출력제어방식에 대하여 조사하고, 풍력발전시스템의 전력계통에서의 적용성을 높이기 위한 기술요소를 제시한다.

  • PDF

Maximum power design conditions of heat engine with heat transfer processes (열전달을 고려한 열기관의 최대출력 설계조건)

  • 김수연;정평석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13 no.4
    • /
    • pp.734-738
    • /
    • 1989
  • As a basic study of optimum design conditions of the heat engines, Curzon-Ahlborn cycle has been analyzed by considering the capacity of heat exchanger as a design parameter. The result shows that the maximum power output is just unity. In addition, the optimum ratio is slightly decreased from the unity as the irreversibility of the cycle is increased.

Maximum Power Output Cycle of Heat Engines (열기관의 최대출력 사이클)

  • 김수연;정평석;노승탁;김효경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14 no.3
    • /
    • pp.694-701
    • /
    • 1990
  • The cycle of heat engine which produces the maximum power output is constructed when heat sources are finitely constant, and the maximum power as a thermodynamic limit of the engine, is obta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ximum power cycle are as follows, which represent the operation conditions and design conditions of the heat engine to produce the maximum power output. In heat exchangers, the temperature profiles of the heat source and the working fluid have the same functional formula and the ratio of the working fluid temperature to the heat source temperature is constant. When heat capacity flow rates(product of the specific heat and the mass flow rate) of the working fluid as well as the heat source are constant, the values of those of working fluid exist between those of two heat sources. The relation of the temperature and the heat capacity flow rate is established without the states of the heat sources and the capacities of heat exchangers, which is ( $T_{h}$/ $T_{H}$)( $C_{h}$/ $C_{H}$)=( $T_{1}$/ $T_{L}$)( $c_{1}$/ $c_{L}$)=1. The capacity of the heat exchanger of hot side is equal to that of cold side regardless of the states of the heat sources and the total capacities of heat exchangers.hangers.ers.

A Study on the Design of Microwave Oscillator Output Matching Circuit Using 3-dB Coupler Tuner (3-dB Coupler Tuner를 이용한 초고주파 발진기의 출력 정합회로 설계에 관한 연구)

  • 이석기;오재석;이영순;김병철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v.9 no.2
    • /
    • pp.171-178
    • /
    • 1998
  • Generally, the output matching circuit has the most influence to the output power of oscillator and existing method for output matching has difficulty for making the optimum output matching circuit because the matching has to be done nearby the infinite impedance area of the Smith Chart. In this paper, it is studied for the output matching circuit of the microwave oscillator to get the maximum output power. The maximum output point can be found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moving short in the Tuner while the oscillator is operating after connect the 3-dB coupler Tuner to the oscillator without output matching circuit. To design the oscillator for the maximum output power can be done easily with the microstrip line which is realized from the measured S-parameters of Tuner. In compare the oscillator by the existing method with another one by the suggested method in this paper, the first one has 6.45 dBm output power and second one has 9.71 dBm which is 3.26 dBm higher than the first one at the oscillation frequency 1.0338 GHz.

  • PDF

An Improved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Method for a Grid-Connected Wind Power System (계통연계형 풍력 발전 시스템의 향상된 최대전력점 추종기법)

  • Kang, Yi-Kyu;Ro, Hak-Sueng;Jeong, Hae-Gwang;Lee, Kyo-Beum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1.11a
    • /
    • pp.265-266
    • /
    • 2011
  • 본 논문은 승압형 컨버터를 이용한 계통연계형 풍력 발전시스템의 향상된 최대전력점 추종 기법을 제안한다. 풍력 발전시스템에서 블레이드 모델 기반의 출력계수 곡선을 추종하도록 운전할 때, 불완전한 데이터 입력 및 제어변수의 변동으로 최대출력점 추종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제안하는 제어기법은 출력계수곡선 추종제어 기법에 히스테리시스 제어를 결합하여 빠른 최대출력점 추종 특성을 가지고, 시스템 제어변수 오차에 의해 이탈된 운전점을 정정하여 정상상태의 출력효율을 향상시킨다. 2.7kW급 풍력발전 시스템 모델 기반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 제안하는 제어기법의 우수성을 보인다.

  • PDF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Algorithm in Seaflow Generation System (조류발전 시스템의 최대출력 알고리즘)

  • An, Won-Young;Kim, Gun-Su;Lee, Seok-Hyun;Lee, Cheon;Jo, Chul-Hee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1336-1337
    • /
    • 2011
  • 본 논문은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해양에너지 중 해류의 흐름을 이용한 조류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대학 실험실규모에서 조류발전 시스템의 성능 및 특성을 효율적으로 시험 평가할 수 있도록 구성된 모의실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조류발전은 타 에너지원에 비해 발전의 제한조건과 단점이 거의 없으며 국내 자연환경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조류발전 시스템의 성능 및 특성을 시험할 수 있도록 Motor-Generator Set(M-G Set)을 구성하였고, 최대출력제어를 위해 사전에 PSIM을 이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최대 출력제어 알고리즘을 검증하였다. 구축된 조류 발전 모의실험 장치는 해양의 기후, 시간 변화에 따른 조류 속도 변화를 효율적으로 모의할 수 있도록 전동기 속도 제어를 가능하도록 하였다. 조류발전 시스템에서는 와류등으로 인해 유속을 측정하기 힘들고, 오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많다. 그래서 유속 정보 없이 최대출력제어가 가능한 알고리즘을 시뮬레이션하여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실시간 발전 사항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LabVIEW 기반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최대 출력제어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좋은 자료로 쓰일 것이라 판단된다.

  • PDF

A Field Weakening Control for squirrel-cage induction motor drives in variable DC-Link voltage conditions (농형유도전동기의 DC-Link 전압 가변 조건이 고려된 약계자 제어 알고리즘)

  • Seo, YongJoo;Jung, JunHyung;Park, HyungSuk;Kim, JangMok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3.07a
    • /
    • pp.110-111
    • /
    • 2013
  • 전원의 변동이 심한 전압원을 사용하는 선박, 전기자동차 등에서는 DC-Link전압이 가변하기 때문에 낮은 영역의 전압에서는 최대출력 운전을 할 수가 없다. 낮은 영역의 전압에서 최대 출력을 하기 위하여 유도전동기 ${\Delta}$결선 운전을 해야 하지만 ${\Delta}$결선 운전시 높은 입력 전류로 인하여 인버터 전력소자의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유도전동기 Y결선 운전을 하고 부족한 출력은 유도전동기 약계자 제어를 하여야 한다. 본 논문은 가변 DC-Link 전압에서 최소의 상전류로 전력소자와 유도 전동기의 상태에 따라 최대출력 운전을 하는 약계자 제어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 PDF

PV MPPT with Battery Charger & Inductive Load Using Single Current Sensor (단일전류센서를 이용한 태양광 최대전력추종 및 배터리 충전과 모터 제어기법)

  • Kim, Seung-Min;Choy, Ick;Choi, Ju-Yeop;Lee, Sang-Cheol;Lee, Dong-Ha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3.07a
    • /
    • pp.417-418
    • /
    • 2013
  • 태양광 발전설비에서 태양광 셀의 출력전력을 최대로 부하에 전달하기 위해 태양광 최대전력추종제어를 한다. 일반적인 태양광 최대전력 추종제어는 태양광 셀의 전압과 전류의 곱인 전력값을 비교하여 최대전력추종제어를 한다. 본 논문에서는 MPPT 컨버터의 출력 파라미터 중 전류만을 센싱하여 태양광 최대전력추종제어를 한다. 또한 태양광 최대 전력추종제어를 통해 최대 출력으로 배터리를 충전하고 허용전류를 초과했을 때에는 전류제어로 충전하도록 설계한다. 이를 통해 Solar Car등과 같은 모터 부하에 적용해 보고자 한다.

  • PDF

Prediction of Cleaning Time of Desulfurization Absorber in a Oil-Fired Power Plant through the Operation Data (중유화력발전소의 운전자료를 이용한 탈황 흡수탑의 세정시기 예측)

  • Jang, Yeong-Gi;Lee, Jae-Heon
    • Plant Journal
    • /
    • v.11 no.4
    • /
    • pp.38-46
    • /
    • 2015
  • 중유를 연소하는 D 발전소 탈황설비는 운전시간의 경과에 따라 흡수탑 중간층에 석고가 쌓이고 가스분사 파이프 내에 경질석고 스케일이 부착됨으로써 발전설비 및 탈황설비의 정상적인 운전이 어렵게 된다. 흡수탑 내부에 발생된 스케일을 제거하지 않을 경우에는 탈황효율의 저하에 따른 SO2 배출농도의 증가로 발전가능 최대출력의 하향조정이 발생되고 나아가 발전정지를 초래한다. 스케일 제거를 위한 탈황설비 세정은 발전가능 최대출력의 하향조정이 발생하는 시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탈황설비의 운전 자료를 분석하여 발전가능 최대출력의 하향조정이 발생되기 6주 전은 탈황설비 출구 SO2 농도값이 130ppm을 초과하고 동시에 흡수탑 차압은 380mmH2O을 초과하며, 직전 흡수탑 세정 이후 44주가 경과된 시점이 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흡수탑의 세정시기는 세정준비기간 6주와 발전가능 최대출력 하향이 발생되기 6주 전까지의 운전경과일수 44주를 더하여 직전 세정시점으로부터 50주가 경과된 시점임을 예측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