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최대수축

검색결과 273건 처리시간 0.031초

Silorane 복합레진의 중합수축의 동력학 (POLYMERIZATION SHRINKAGE KINETICS OF SILORANE-BASED COMPOSITES)

  • 권영철;이인복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5권1호
    • /
    • pp.51-58
    • /
    • 2010
  • 복합레진이 개발된 이후 많은 물성의 향상이 이루어졌으나 복합레진의 중합수축은 아직 해결되지 않은 주요 단점으로 남아있다. 중합수축이 적은 복합레진을 만들기 위한 많은 노력이 이루어졌고, 최근에 기존의 methacrylate 기질이 아닌 silorane 기질의 복합레진이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silorane 기질의 복합레진과 methacrylate 기질의 복합레진의 중합수축거동을 측정하고 비교하고자 하였다. 온도변화에 민감하지 않으며 실시간으로 복합레진의 체적 중합수축을 측정할 수 있는 계측장치를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5종의 methacrylate 기질의 수복용 복합레진(Beautifil, Z100, Z250, Z350, Gradia X)과 silorane 기질 복합레진 (P90)의 중합수축을 10분 동안 측정하여, 중합수축량, 최대 중합수축률 그리고 최대수축시간을 비교하였다. 복합레진의 중합수축은 제품별로 많은 차이를 보였다. Silorane 기질의 P90복합레진의 중합수축이 1.48%로 가장 낮았고 Beautifil 복합레진의 중합수축이 2.80%로 가장 높았다. Methacrylate 계열의 복합레진 사이에도 중합수축량에 제품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최대 중합수축률은 P90이 0.13%/s로 가장 낮았고 Z100이 0.34%/s로 가장 높았다. 최대 수축시간은 methacrylate기질의 복합레진(2.4-3.1초)에 비해, silorane 기질의 P90 복합레진이 6.7초로 두 배 이상 길었다. 최대중합수축률은 중합수축과 최대수축시간의 역수를 곱한 값과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 = 0.95).

수직점프 동작시 근육길이와 수축속도 변화 (Muscle Length and Shortening Velocity Changes during the Different Types of Vertical Jumps)

  • 채원식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61-172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각기 다른 수직 점프 동작 시 근육의 길이와 근육의 수축속도 변화를 비교 분석하는데 있다. 피험자의 운동학적 변인들을 분석하기 위해 2대의 고감도 카메라를 (60 Hz, Panasonic AG455) 사용하여 점프 동작을 촬영하였다. 대퇴직근, 내측광근, 외측광근, 중간광근, 대퇴이두근(단두), 내측과 외측 비복근의 길이와 근수축 속도는 Brand et al. (1982)에 의해 제시되어진 하지근 기시 정지점의 3차원 좌표값과 동작분석을 통한 하지 분절간의 회전 및 변환행렬을 사용하여 측정되어졌다. 일반적인 근육 길이와 수축속도의 변화 형태는 각기 다른 점프간에 매우 유사한 형태를 보였다. 상승기 초기에 대퇴사두근의 길이가 최대인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반해 대퇴이두근과 내외측 비복근은 공중 동작이 발생하는 시점에 근의 길이가 최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근육의 길이 변화 범위는 대퇴직근이 35.9에서 47.5 cm, 외측광근이 29.4에서 38.8 cm, 중간광근이 31.5에서 38.0 cm, 내측광근이 30.9에서 38.6 cm, 대퇴이두근이 21.3에서 39.1 cm, 외측비복근이 31.4에서 33.5 cm, 내측비복근이 30.5에서 33.2 cm인 것으로 나타났다. SQ와 CMJ에서는 대퇴사두근의 최대 단축성 수축 속도와 대퇴이두근과 내외측 비복근의 최대 신장성 수축이 공중동작이 발생하기 바로 전에 이루어졌다. 대퇴사두근의 최대 신장성 수축과 대퇴이두근과 내외측 비복근의 최대 단축성 수축은 일반적으로 피험자가 착지하는 순간에 발생되어졌다. 그러나 HJ와 DJ에서는 대퇴사두근의 최대 신장성 추축과 대퇴이두근과 내외측 비복근의 최대 신장성 수축이 하강기 초반에 발생되어졌다.

Thera-Band를 이용한 단축성 & 신장성 수축 저항 훈련 프로그램이 어깨의 최대 토크와 최대 파워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mbined Resistance Training Program of Concentric and Eccentric Contraction Using Theraband on Shoulder Rotation Torque Max and Peak Power)

  • 한동욱;안이레;이나정;이은주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39-148
    • /
    • 2009
  • 본 연구는 Thera-Band를 이용해 단축성 수축과 신장성 수축이 혼합된 저항운동을 실시하는 것이 단축성 수축 저항 운동만을 실시하는 것보다 근력증진에 더 효과적인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논문이다. 연구대상자는 부산광역시 소재 S 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30명 이었으며, 30명을 무작위로 단축성 수축과 신장성 수축 운동군, 단축성 수축 운동군, 무운동군으로 나누어 4주 동안 운동을 실시하였다. 근력 측정은 등속성 운동기기인 CON-TERX를 이용하였으며, 각속도는 $60^{\circ}$/sec, $120^{\circ}$/sec이었다. 4주 운동 후, 단축성 수축과 신장성 수축 운동군의 경우 각속도 $60^{\circ}$/sec에서 단축성과 신장성 최대 토크와 최대 파워, 각속도 $120^{\circ}$/sec에서 단축성 최대 파워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반면 단축성 수축 운동군은 각속도는 $60^{\circ}$/sec와 $120^{\circ}$/sec의 최대 파워에서만 유의한 증가가 있었다. 반면 무운동군은 변화가 없었다. 따라서 Thera-Band를 이용해 단축성 수축과 신장성 수축이 혼합된 운동을 실시하는 것이 단축성 수축 운동만을 실시하는 것보다 근력증진에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Silorane-기질 치아 수복용 복합레진의 중합수축과 중합수축응력 (Polymerization Shrinkage and Stress of Silorane-based Dental Restorative Composite)

  • 이인복;박성환;권현정;구자국;최낙삼
    • Composites Research
    • /
    • 제26권3호
    • /
    • pp.182-188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silorane 기질의 치아 수복용 복합레진의 중합수축과 수축응력의 동력학을 평가하고 전통적인 methacrylate 기질의 복합레진과 비교하기 위함이다. 두 종의 methacrylate 기질의 복합레진(Z250, Z350 flowable)과 silorane 기질 복합레진(P90)이 사용되었다. 아르키메데스 원리를 응용해 자체 제작한 중합수축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 광중합 중 일어나는 복합레진의 체적 중합수축을 측정하였고 스트레인게이지로 중합수축응력을 측정하였다. Silorane 기질 복합레진인 P90의 중합수축과 최대 중합수축률이 가장 낮았고 methacrylate 기질 복합레진인 Z350 flowable이 가장 높았다. Methacrylate 기질의 복합레진과 비교하여 silorane 기질의 복합레진 P90이 최대 수축률에 이른 시간은 더 길었고 중합수축응력은 낮았다.

배합요인과 양생온도에 따른 일반강도 초저수축 콘크리트의 특성 변화 연구 (A Study of Characteristics Change of Low-Shrinkage Normal Strength Concrete According to Mixing Factors and curing Temperature)

  • 정준영;민경환;이동규;최홍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342-347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일반 강도 콘크리트 초저수축 특성을 얻는데 필요한 현장 배합시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 잔골재의 종류에 따른 굳지 않은 콘크리트 물성과 굳은 콘크리트의 물성 및 건조수축 길이변화 특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시공시 양생 온도에 따른 수축 특성을 평가하였다. 배합 인자로는 각각 굵은 골재 최대치수(13, 20, 25mm), 잔골재의 종류(세척사, 세척사+부순사, 부순사), 양생 온도(5, 20, $35^{\circ}C$) 총 9가지 배합 요인에 따른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길이변화를 측정하였다. $350{\mu}{\varepsilon}$의 초저수축 특성을 일반 강도 콘크리트에서 얻는데 굵은 골재는 최대 25mm까지 적용 가능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잔골재의 입도가 매우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중 및 서중 콘크리트를 제외한 양생 온도 범위에서 초저수축 특성을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분말형 수축저감제를 적용한 결과 굵은골재의 최대치수는 최대 25mm 내에서 $350{\mu}{\varepsilon}$ 내의 수축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동성과 압축강도는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가 커지면 각각 증가하고 감소하는 일반적 경향이 반영되었다.

MgO 및 TiO2가 첨가된 알루미나의 치밀화와 입성장 거동 (Densification and Grain Growth Behavior of MgO and TiO2-doped Alumina)

  • 이정아;김정주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9권11호
    • /
    • pp.1083-1089
    • /
    • 2002
  • 알루미나 세라믹스에 MgO와 $TiO_2$를 각각 단독으로 첨가했을 때의 치밀화와 소결 거동을 수축률-소결 밀도 관계를 통해 비교 조사하였다. MgO가 첨가되었을 때는 소결 전과정을 통해 입성장은 억제되고 치밀화는 촉진되었으나, $TiO_2$가 첨가되었을 때는 입성장은 촉진된 반면 치밀화는 떨어졌다. 또한 입자 크기, 밀도, 수축률등을 통해 수축률-소결 밀도 관계를 구하여 최대 수축률을 나타내는 밀도값(Density of Maximum Shrinkage Rate:${\rho}$J.S.R)을 조사해 보았다. 이때 최대 수축률을 나타내는 밀도값보다 낮은 밀도를 보이는 영역에서는 치밀화가 입성장보다 우세하게 진행되었으며 최대 수축률을 나타내는 밀도값보다 높은 밀도의 영역에서는 입성장이 보다 우세하게 진행되는 것으로 추정하였다. 이때 최대 수축률을 나타내는 밀도값은 $TiO_2$가 첨가된 알루미나 < 순수 알루미나 < MgO가 첨가된 알루미나의 순서로 높은 값을 보였다.

최대 신장성 수축운동에 따른 인체 하지 족배굴곡근의 신경-기계학적 특성 변화 (Alterations in the Neuro-Mechanical Properties of Human Ankle Dorsiflexor after Maximum Eccentric Exercise)

  • 이해동;김승재;야수오카와카미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1-30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신장성 수축운동에 의한 미세 근수축 요소 손강 이론(Morgan & Allen, 1999)을 검증하고자 신장성 수축운동의 범위에 따른 골격근의 기계학적 특성 변화에 주안점을 두어 실험 연구를 수행 하였다. 12명의 건강한 피험자가 최대 발목 족배굴곡근의 신장성 수축운동을 수행하였고, 운동수행 전에 최대 등척성 발목 족배굴곡 모멘트-각도 관계로부터 최적 발목 각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신장성 수축운동 추 최적 발목 각도 변화는 신장성 수축운동의 범위와 상관없이 근육의 길이가 긴 쪽으로 변화를 가져왔다(4도, p<.05).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현재 많은 연구에서 거론되고 있는 신장성 수축에 의한 근력 저하 및 지연성 근육통의 촉발 기전인 신장성 수축에 의한 미세 근수축 요소 손강 이론의 부합하지 않으며, 이 현상을 설명할 새로운 이론 개발을 위한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팽창재를 혼입한 숏크리트의 초기수축 및 내구성 평가 (Early-Age Shrinkage and Durability of Shotcrete with Expansive Agent)

  • 남궁경;강문식;허인;윤경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0호
    • /
    • pp.4884-4890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숏크리트의 품질확보를 위하여 숏크리트에 팽창재 혼입률의 변동을 주어 혼입하여 숏크리트의 초기수축과 기초적인 내구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또한 각각의 팽창제 혼입률에 따라 실제 숏크리트 타설을 실시한 후 숏크리트 초기수축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내구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시험을 실시한 모든 변수에서 타설 13~15시간 후 최대 수축이 발생하였고, 팽창재의 혼입률을 높일수록 최대수축량이 줄어듬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급결제를 사용하지 않는 건축물 숏크리트에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팽창재의 혼입률의 경우 시멘트 대비 15%일 때는 최대수축량은 작지만 수축과 팽창이 급격히 이루어져 미세균열에 심각하게 노출될 염려가 있으므로 11%가 적당하다 판단된다.

폴리프로필렌/폴리카보네이트 블렌드의 유변학적 성질에 관한연구 (A Study on Rheological Properties of Polypropylene/Polycarbonate Blends)

  • 이재식
    • 유변학
    • /
    • 제8권2호
    • /
    • pp.119-128
    • /
    • 1996
  • 폴리프로필렌(PP)/폴리카보네이트(PC) 블렌드의 유변학적 고찰을 통해 블렌드의 수 축현상과 분상상의 변형의 연관성을 연구했다. 블렌드의 수축현상은 압축과정에서 변형됐던 분산상이 고온에서 다시 원래의 무변형 상태로 복귀하면서 나타나는 탄성변형의 풀림으로 추정되고 압출팽윤의 데이터와도 부합된다. 압출온도를 최대한 낮게 해서(25$0^{\circ}C$) 제조한 블 렌드의 경우가 최대한 높게 한 경우 (29$0^{\circ}C$)보다 수축이더 큰 사실을 설명하기 위하여 순수 PC와 PP의 전단점도비와 신장점도비를 측정 비교한 결과 두 값이 공히 높은 온도의 경우 가 오히려 작게 되어 점성에 의한 분산상의 전단변형이나 신장변형이 수축의 원인이 아니라 는 것을 알아다. 한편 법선응력과 전단응력의 데이터로부터 얻은 물질풀림시간의 비는 낮은 온도의 경우가 작아서 수축현상이 분산상의 탄성에 의한 변형이라는 것을 확인했다.

  • PDF

후두전적출술후 식도기능의 변화

  • 김세헌;홍원표;김충배;이원상;김광문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96년도 대한이비인후과학회 종합학술대회 초록집
    • /
    • pp.82-82
    • /
    • 1996
  • 후두전적출술은 상부 소화관의 연속성을 변형시킴으로써, 식도운동의 장애를 가져올 수 있으며, 술 후에 연하곤란을 호소하는 경우는 10% 가량 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식도내압검사를 통하여, 후두전적출술이 상부식도괄약근의 휴지기와 최대 압력에 어떠한 변화를 주는가 및 술 후 인두와 상부식도괄약근의 조화성 여부와, 만일 상부식도괄약근의 기능에 변화가 생긴다면, 그 영향이 식도체부 및 하부식도괄약근의 운동성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식도내압검사는 8개의 내관을 가진 폴리에틸렌 도관으로, 후두전적출술을 받은 환자군 14명과 정상인 12명을 대상으로, stational pull-through 방법으로 시행하였다. 환자군에서 상부 식도괄약근은, 휴지기 압력, 최대 수축압력, 이완정도, 괄략운동의 조화성 및 괄약근의 길이 등이, 정상 대조군 보다 의미있게 감소되었다. 환자군에 있어서 식도체부의 운동성은 주로 근위부 식도체부에서, 수축력, 수축기간 및 연동파의 전파시간이 대조군에 비하여 의미있게 감소되었고, 연동운동시 동시 수축도 3례에서 관찰되었다. 하부 식도괄약근의 기능은 환자군과 대조군이 의미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