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최근접점

Search Result 102,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VTS 중심의 효과적 경로공유 방안에 관한 연구

  • Park, Jae-Hong;Jeong, Chang-Hyeon;Park, Seong-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10a
    • /
    • pp.201-203
    • /
    • 2013
  • 선박의 출항부터 입항까지 전 과정에서 선박 안전과 보안 및 해양환경 보호 증진을 목적으로 선박과 육상 관련 정보의 수집, 통합, 교환, 표현 및 분석을 수행하고자 하는 e-Navigation 정책 하에 북유럽에서는 선박들 간 및 선박 대 육상 간 Way Point로 구성된 선박의 Route 정보를 교환하여 항행정보로 사용하는 개념인 Route Exchange 방안을 연구 중으로 향후 e-Navigation 시스템에서는 선박통합항행시스템의 주요 기능으로써 구현 및 현 VTS 관제 방식에도 큰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이 연구는 북유럽에서 선행 연구 중인 Route Exchange 개념을 소개하고 실제 사고사례를 통해 Route Sharing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항만과 연안 VTS 관제 해역 내 적용 시에 고려되어야 할 문제점 및 방향성 제시와 함께 시급히 개선되어져야 할 관제장비 기능에 대하여 소개함으로써 관제해역 내 적정 Route Exchange 도입방안을 모색한다.

  • PDF

Web Service for Maritime Boundary Delimitation (해양경계 획선 웹 서비스)

  • 권혁종;이종기;김병국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3.04a
    • /
    • pp.56-61
    • /
    • 2003
  • 해양경계 획선은 해양 국가들 사이의 협상 중 매우 중요한 쟁점이었다. 각각의 협상의 문제는 공평의 법적 원칙이 엄격하게' 적용되는 국제적 경계를 결정하는 것이다. 하나의 공식이 각국의 경제적, 지형적 그리고 주위요소와의 전략적 경우에 모두 적용될 수 없기 때문에 어떠한 특별한 방법이 정해지지 않았다. 그러나 균등한 경계를 얻기 위한 몇 가지 지침이 1953년부터 International Law Commission(ILC)에 의해 제안되었다 이 지침들 중에 하나는 등거리 원칙(the principle of equidistant)에 의거한 일반적인 규칙을 사용한다. 이 등거리 원칙은 경계상의 모든 점들은 해안의 한 폭에서 측정된 기준선(baseline)상의 최근접점에서 항상 등거리에 있어야 한다. 이 원칙을 구현하기 위한 여러 가지 기하학적 방법이 적용되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등거리 원칙을 기본으로 하는 알고리즘 중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Two-Point 알고리즘과 Three-Point 알고리즘을 정립한 후, 이 알고리즘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해양경계 획선 프로그램을 웹으로 구현하였다.

  • PDF

'예측'의 과학기술학(STS)적 함의

  • Kim, Byeong-Su
    • 한국과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5.12a
    • /
    • pp.119-135
    • /
    • 2015
  • 이 논문의 주된 목적은 문헌 분석을 토대로 '예측'에 관한 STS적 이해와 함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역사와 철학적 측면에서 볼 때 '예측'은 과학기술의 발전과정에 존재해왔다. 과학적 연구방식에서 '예측'과 관찰은 필수적이었고, 물리학, 기상학 등과 같은 분과학문에서도 '예측'은 중요한 역할을 차지했다. 기술의 혁신과정에 있어 미래에 대한 예상과 기대(expectations)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은 로젠버그(Rosenberg, 1982)가 일찍이 강조한 바 있으며, 최근에는 STS 연구자들이 이러한 기대의 중요성에 주목하여 이른바 '기대의 사회학'(sociology of expectations)이라는 연구분야를 개척해왔다. 이 분야에서 초창기부터 활동해 온 반 렌트(van Lente, 1993)에 따르면, 기술의 혁신과 발전과정을 이해하기 위한 삼각 축, 즉 인공물(artefacts), 행위자(actors), 어젠다(agenda) 중 어젠다에 해당하는 기대와 전망(expectations and promises)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했다. 이러한 현실 인식은 우리나라의 STS연구에서 여전히 유효하다. 기술에 대한 기대와 전망은 단순히 '행위자'에 종속된 아이디어 차원이 아니며, '예측' 그 자체가 기술혁신분야에서 중요한 연구대상으로 주목될 필요가 있다. 최근에는 미래를 연구 대상으로 하는 미래학(futures studies) 분야가 형성되어 STS연구와의 접점이 확대하는 중이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현실 인식을 바탕으로 과학기술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로서 '예측'에 주목하고, 이러한 '예측'의 STS적 함의와 연구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Information Security Data Collecting System For Security Monitoring Of Education Facilities (교육기관 보안관제를 위한 효율적인 정보보호 수집체계에 관한 연구)

  • KWEON, SEONG-HO;AHN, JAE-HO;YOON, SU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9.11a
    • /
    • pp.597-598
    • /
    • 2009
  • 최근의 국가 민간의 정보시스템을 위협하는 공격들은 점점 더 복잡해지고 정교해지고 있다. 이러한 공격들에 대응하기 위하여 범국가적으로 사이버안전센터들이 설립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대량의 정보보호 데이터를 수집 분석 대응하는 것은 여러 가지 어려움들이 존재한다. 그 문제의 본질적인 부분은 바로 방대한 데이터의 양(量)이다. 다수의 보안관제 대상 인프라들의 모든 보안데이터를 수집 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며, 대부분의 센터들은 네트워크 접점에 중앙관리형 보안인프라를 설치함으로써 그 해결점을 찾고 있지만, 이는 최근의 나타나고 있는 다차원적인 공격에 대응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다차원 분석시스템의 기본데이터가 되는 여러 보안정보를 효과적으로 수집할 수 있는 보안정보 수집체계를 제시하고자 한다.

Real-time Hand Region Detection and Tracking using Depth Information (깊이정보를 이용한 실시간 손 영역 검출 및 추적)

  • Joo, SungIl;Weon, SunHee;Choi, HyungIl
    •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 /
    • v.1 no.3
    • /
    • pp.177-186
    • /
    • 2012
  • In this paper, we propose a real-time approach for detecting and tracking a hand region by analyzing depth images. We build a hand model in advance. The model has the shape information of a hand. The detecting process extracts out moving areas in an image, which are possibly caused by moving a hand in front of a camera. The moving areas can be identified by analyzing accumulated difference images and applying the region growing technique. The extracted moving areas are compared against a hand model to get justified as a hand region. The tracking process keeps the track of center points of hand regions of successive frames. For this purpose, it involves three steps. The first step is to determine a seed point that is the closest point to the center point of a previous frame. The second step is to perform region growing to form a candidate region of a hand. The third step is to determine the center point of a hand to be tracked. This point is searched by the mean-shift algorithm within a confined area whose size varies adaptively according to the depth information.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our approach, we have evaluated the performance of our approach while changing the shape and position of a hand as well as the velocity of hand movement.

Collision Risk Assessment by using Hierarchical Clustering Method and Real-time Data (계층 클러스터링과 실시간 데이터를 이용한 충돌위험평가)

  • Vu, Dang-Thai;Jeong, Jae-Y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7 no.4
    • /
    • pp.483-491
    • /
    • 2021
  • The identification of regional collision risks in water areas is significant for the safety of navigation. This paper introduces a new method of collision risk assessment that incorporates a clustering method based on the distance factor - hierarchical clustering - and uses real-time data in case of several surrounding vessels, group methodology and preliminary assessment to classify vessels and evaluate the basis of collision risk evaluation (called HCAAP processing). The vessels are clustered using the hierarchical program to obtain clusters of encounter vessels and are combined with the preliminary assessment to filter relatively safe vessels. Subsequently, the distance at the closest point of approach (DCPA) and time to the closest point of approach (TCPA) between encounter vessels within each cluster are calculated to obtain the relation and comparison with the collision risk index (CRI). The mathematical relationship of CRI for each cluster of encounter vessels with DCPA and TCPA is constructed using a negative exponential function. Operators can easily evaluate the safety of all vessels navigating in the defined area using the calculated CRI. Therefore, this framework can improve the safety and security of vessel traffic transportation and reduce the loss of life and property. To illustrate the effectiveness of the framework proposed, an experimental case study was conducted within the coastal waters of Mokpo, Korea.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framework was effective and efficient in detecting and ranking collision risk indexes between encounter vessels within each cluster, which allowed an automatic risk prioritization of encounter vessels for further investigation by operators.

A MapReduce-based kNN Join Query Processing Algorithm for Analyzing Large-scale Data (대용량 데이터 분석을 위한 맵리듀스 기반 kNN join 질의처리 알고리즘)

  • Lee, HyunJo;Kim, TaeHoon;Chang, JaeWoo
    • Journal of KIISE
    • /
    • v.42 no.4
    • /
    • pp.504-511
    • /
    • 2015
  • Recently, the amount of data is rapidly increasing with the popularity of the SNS and the development of mobile technology. So, it has been actively studied for the effective data analysis schemes of the large amounts of data. One of the typical schemes is a Voronoi diagram based on kNN join algorithm (VkNN-join) using MapReduce. For two datasets R and S, VkNN-join can reduce the time of the join query processing involving big data because it selects the corresponding subset Sj for each Ri and processes the query with them. However, VkNN-join requires a high computational cost for constructing the Voronoi diagram. Moreover, the computational overhead of the VkNN-join is high because the number of the candidate cells increases as the value of the k increases.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we propose a MapReduce-based kNN-join query processing algorithm for analyzing the large amounts of data. Using the seed-based dynamic partitioning, our algorithm can reduce the overhead for constructing the index structure. Also, it can reduce the computational overhead to find the candidate partitions by selecting corresponding partitions with the average distance between two seeds. We show that our algorithm has better performance than the existing scheme in terms of the query processing time.

Development of wheel width and tread acquisition algorithm using non-contact treadle sensor (무접점 답판 센서를 사용한 차량 바퀴의 윤폭 / 윤거 획득 알고리즘 개발)

  • Seo, Yeon-Gon;Lew, Chang-Guk;Lee, Bae-Ho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1 no.6
    • /
    • pp.627-634
    • /
    • 2016
  • Vehicle classification system in domestic tollgates is usually to use treadle sensor for calculating wheel width and tread of the vehicle. due to the impact that occurs when the wheels of the vehicle contact, treadle sensor requires high durability. recently, KHC(Korea Highway Corporation) began operating high-speed lane for cargo truck. high-speed cargo truck generate more impact the design criteria of previous treadle. therefore, an increase in the maintenance and management costs of the treadle damage is concerned.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lgorithm for obtaining optimal wheel width and tread using non-contact treadle sensor that been improved durability from physical impacts. for the verification of the proposed algorithm, a field test was performed using 1/2/3/6 class vehicles based on the KHC's classification criteria. through this experiments, maximum error of the width and the tread is each ${\pm}2cm$ and ${\pm}8cm$, also the accuracy was measured as 98%, 97% or more, and proved that the proposed algorithm valid on to apply to the vehicle classification system.

A Study on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r on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 via Burnout (감정노동이 직무소진을 매개로 반생산적과업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Kang, Mi-Young;Han, Na-Young;Bae, Sang-Wook
    • Management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36 no.1
    • /
    • pp.309-327
    • /
    • 2017
  • Recently the importance of emotional labor has increased so this study aims to prove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r(surface acting and deep acting) on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s(deviate from organization and individual deviation) using burnout(emotional exhaustion, personality disorder, decrease in sense of accomplishment) as a medium. 350 surveys were sent to employees such as workers from call centers, salesperson from department store, financial worker, hospital staff, flight attendant and workers from customer center who and worked with emotional labor and 300 surveys excluding insincere ones were used for analysis.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surface acting which is a type of emotional labor chosen by customer workers had a positive effect on burnout such as personality disorder and decrease in sense of accomplishment. Second, deep acting had a negative effect on personality disorder and decrease in sense of accomplishment but did not show any effect on emotional exhaustion. Third, personality disorder and decrease in sense of accomplishment among burnout had effect on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s(deviate from organization, individual deviation) but emotional exhaustion did not show any effect on work behaviors(deviate from organization, individual deviation). Based on the result of analysis, implication of this study and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were suggested.

  • PDF

서비스 접점의 고객참여가 만족을 결정하는 메카니즘에 관한 연구

  • Choe, Yun-Gi;Choe, Ji-Ho;Han, Jang-Hui
    • Proceedings of the Korean DIstribution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2a
    • /
    • pp.283-307
    • /
    • 2006
  • 최근의 서비스 마케팅 문헌은 서비스 조직의 경쟁력 향상의 방편으로 서비스 고객에게 관심을 집중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서비스 고객은 부분적 종업원으로 인식될 수 있기 때문에 서비스 조직에 대해 참여행동을 나타낼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서비스 조직은 추가적 비용 없이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고객행동 관리가 강조되고는 있으나 아직까지 실증적 연구의 주제로는 거의 다루어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금까지 간과되었던 부분인 고객참여가 고객만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메카니즘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고객참여의 영향을 매개하는 변수로서 서비스 성과와 기대를 제시하는 연구모델을 설정하였다. 구성개념을 측정하기 위해 관련 문헌들을 참고하였으며, 본 연구의 서비스 상황에 적합하도록 수정을 가하였다. 최근에 교육 서비스와 병원 서비스를 제공받은 경험이 있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연구모델의 적합도는 양호하였으며 모든 연구가설이 지지되었다. 참여는 매개변수로 제시된 성과, 기대와 유의한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과와 기대는 또한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통해서 서비스 관리자는 종업원과 마찬가지로 서비스 고객을 적극적으로 관리할 필요성이 있고, 특히 고객의 서비스 성과지각과 서비스 기대에 더욱 관심을 기울여야 함을 이해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실증결과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고 미래연구를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