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촬영용 드론

Search Result 40,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Making of View Finder for Drone Photography (드론 촬영을 위한 뷰파인더 제작)

  • Park, Sung-Dae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2 no.12
    • /
    • pp.1645-1652
    • /
    • 2018
  • A drone which was developed first for military purpose has been expanded to various civil areas, with its technological development. Of the drones developed for such diverse purposes, a drone for photography has a camera installed and is actively applied to a variety of image contents making, beyond filming and broadcasting. A drone for photography makes it possible to shoot present and dynamic images which were hard to be photographed with conventional photography technology. This study made a view finder which helps a drone operator to control a drone and directly view an object to shoot with the drone camera. The view finder for drones is a type of glasses. It was developed in the way of printing out the data modelled with 3D MAX in a 3D printer and installing a ultra-small LCD monitor. The view finder for drones makes it possible to fly a drone safely and achieve accurate framing of an object to shoot.

An Education Plan for Camera Drone (촬영용 드론 교육 방안)

  • Park, Sung-Dae;Han, Kun-You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5 no.9
    • /
    • pp.1206-1213
    • /
    • 2021
  • A drone invented for the military has been increased the range of application with the development of relevant technology, and it influences to include the private area. Currently, the use of drone has been increasing in many areas, such as agriculture, unmanned parcel service, production of image contents, and architecture. In 2021, South of Korea, a drone certificate system for drone flight is introduced and on operation. In case of drone flight with the maximum takeoff weight as 2kg or up, the flight experience and practical examination are required, whereas in case of drone lighter than 2kg, the online education qualification is enough to operate it without the flight experience and practical examination. Recently, the drone related accidents have been increasing with the rapidly supply of camera drones with the maximum takeoff weight as less than 2kg. This paper introduc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amera drone to meet burgeoning demand, and discusses an education plan for the camera drone.

Implementation of a Filming Drone with Target Tracking Function (목표물 추적 기능을 갖춘 촬영용 드론의 구현)

  • Choi, Duk-Kyu;Kim, Ui-Jun;Lee, Jonghyeon;Kim, Seunguk;Kim, Changmin;Lee, Changmin;Paik, Gidong;Kim, Sanghyeon;Kim, Junhyeong;Myoung, Sangg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1.01a
    • /
    • pp.173-174
    • /
    • 2021
  • 드론은 군사, 촬영, 배송, 인명구조, 조사, 단속 분야 등 산업 전반적인 영역에 활용되고 있다. 그중 촬영용 드론은 영상제작에 있어서 다양한 구도를 제공함으로써 영상제작과 구도의 다양성에 도움을 주어서 방송국에서 촬영을 위해 활용을 한다. 하지만 1인 제작자는 누군가의 도움 없이 드론 조종을 하면서 촬영하는 것은 어려움이 많고 현재 1인 제작 영상이나 사진을 찍기 위해서는 머리에 캠을 부착하거나 손에 삼각대나 지지대를 들고 다녀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유도 촬영드론을 이용해 촬영 범위가 보다 넓어질 수 있고 장시간 손에 들고 있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 영상 촬영의 방법과 구도를 증가시킬 수 있고 1인 영상제작자에게는 다른 이의 도움 없이 홀로 자유롭고 편하게 드론 촬영을 할 수 있다.

  • PDF

The Image Contents Production Techniques Using Drone (드론을 이용한 영상콘텐츠 제작기법)

  • Park, Sung-Dae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2 no.3
    • /
    • pp.491-498
    • /
    • 2018
  • As unmanned aerial vehicle(UVA), drone means a flying object that could aviate the route entered by a program in advance or remotely-controlled when a pilot is not on board. Drone that has been initially developed for the military purpose is currently used for diverse areas such as agricultural industry, leisure activity, logistics service, and life-saving area. Out of these areas, the shooting drone equipped with a camera is actively used for diverse image contents production areas including film and broadcasting area. This paper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drone for the purpose of shooting, and also handles the shooting techniques using drone. Especially, this study aims to suggest and discuss the methods to shoot diverse camera working used by the existing image shooting with the use of drone after examining the operation of shooting drone used for the image contents production area.

드론을 통해 보는 다목적 스마트 이동기기 산업의 미래

  • Lee, Gyeong-Jeon
    • The Optical Journal
    • /
    • s.158
    • /
    • pp.58-60
    • /
    • 2015
  • 드론이 인기다. 드론이 뜨고 있다. 드론은 왜 인기인가? 왜 드론이 인기인지를 인식해보아야 한다. 결론부터 이야기하면 드론이 인기인 이유는 드론이 MMM이기 때문이다. MMM은 필자가 2년 전 쯤에 만든 신조어로 Multipurpose Mobile Machine의 약자다. 다목적 이동 기계라는 말이다. 우리말로 줄이면 다이기(多移機)쯤 된다. 드론은 다목적 이동 기계, 즉 다이기이다. 인터넷이 군용으로 사용되다가 민간이 사용하게 된 것처럼 드론 역시 정찰, 감시, 폭격 등의 군사용으로 출발했지만, 민간이 사용하는 드론의 용도는 무척 다양하다. 사진 촬영, 영화 제작, 드라마 촬영, 음식 배달, 씨앗의 파종과 농약의 살포, 현장 탐사, 경계 근무 등 정말 다용도에 사용되고 있다. 중요한 것은 드론 각각이 다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드론이 단지 물리적 기계인 것이 아니라 스마트 기계로, 스마트폰과 같은 SW중심 기기와 드론에 내장된 OS와 SW에 의한 제어를 통해 비로소 실현된다. 즉, 드론은 MMM이기도 하지만, 정확히 SMM(Smart Mobile Machine)이기 때문에 그 잠재성이 인정받고 있는 것이다. 지금까지 스마트 폰, 스마트 워치, 스마트 TV 등은 모두 스마트 기기이기는 하지만 스마트 이동 기기는 아니다. 한편, 로봇 청소기 등 기존의 가정용 로봇이나 산업용 로봇은 대부분 단일목적 이동기기이거나 다목적 고정 기계이므로, 로봇이라 부르기가 민망한 기계들이었다. 필자는 드론이 이렇듯 새로운 스마트 기기 산업과 기존의 로봇 산업이 갈 길 또는 가고 있는 길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관심을 갖는다. 스마트 기기 산업의 관점에서는 이제 비로소 고정형(스마트TV), 부착형(스마트 워치), 휴대형(스마트 폰) 스마트 기기 산업에서 다목적 스마트 이동 기계라는 새로운 블루 오션 창출 산업이기에 의미가 있다.

  • PDF

Design of Water Surface Hovering Drone for Underwater Stereo Photography (수중 입체촬영을 위한 수면호버링 드론 설계)

  • Kim, Hyeong-Gyun;Kim, Yong-Ho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9 no.6
    • /
    • pp.7-12
    • /
    • 2019
  • In order to shoot underwater, the photographer must be equipped with shooting equipment and enter into the water. Since the photographer directly enters the water, safety accidents occur frequently due to various obstacles or deep water in the water. The proposed underwater stereo photography technique can solve the safety accident problem caused by the entry of the photographer into the water by using the drone for underwater photographing. In addition, this technique has the advantage of obtaining underwater images at low cost. In this study, the angle of the proposed cam for stereoscopic photography was analyzed and the condition that the proper stereoscopic image can be viewed was defined as the distance from the floor of 18cm to the floor distance of 41.4cm. This provision is proposed to be use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shooting area descended by the elevation chain of the water surface hovering drones.

Comparison of Drone and Terrestrial LiDAR DEM generation data for Analyzing Estuary Topographic Changes (하구부 지형변화 분석을 위한 드론과 지상LiDAR DEM 생성자료의 비교)

  • Lee, Jeong Hoon;Jun, Kye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140-140
    • /
    • 2017
  •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태풍과 국지성 집중호우의 증가로 국토의 64%가 산지인 우리나라에서는 재해의 위험성을 증가시키고 있다. 재해 분석에 있어 기초자료로 사용되는 지형자료의 정확도는 재해분석결과에 있어 중요하며, 지형촬영방법에 따라 정확도의 차이가 매우 크다. 지형자료 중 하나인 DEM(Digital Elevation Model) 활용분야 또한 확대되고 있고 지도제작에 있어 DEM을 사용하면 지형도를 신속히 제작할 수 있고, 편집 용이, 수작업 인원 감축, 정확도 향상 및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이 이루어져 체계적으로 종합적인 지형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지상 LiDAR를 이용하여 생성한 DEM은 매우 정확한 방법이며, 접촉식 측량장비에 비하여 누락되는 데이터가 적으며 정밀하게 자료를 수집가능 한 것이 장점이다. 지상LiDAR를 이용한 자료 취득 시식생과 구조물에 의해 촬영 각도가 제한되는 경우 충분한 자료를 얻기 위해 여러 위치에서 스캔이 필요하다. 한편 전 세계적으로 드론의 도입으로 인해 다양한 분야에서 높은 가능성을 가지고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며, 드론을 이용한 연구들도 활발히 진행 중이다. 소규모 및 중간 규모의 하천, 산지 등의 현장 조사의 경우 LiDAR장비의 진입이 어려운 구간의 촬영 시 드론을 활용하면 보다 효율적일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지상LiDAR와 드론을 이용하여 얻은 DEM 자료를 비교 분석하여 드론으로 생성된 DEM 자료 활용 가능성 여부를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동일한 지역에 지상LiDAR와 드론 촬영을 실시하여 지형자료를 각각 획득한 후 후처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영상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측점을 선정한 후 지형 좌표의 편차, 표고의 편차 등을 비교분석하였다.

  • PDF

River monitoring using low-cost drone sensors (저가용 드론 센서를 활용한 하천 모니터링)

  • Lee, Geun Sang;Kim, Young Joo;Jung, Kwan Sue;Park, Bomi;Kim, Bo 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46-346
    • /
    • 2020
  • 홍수기 효과적인 하천관리를 위해서는 광역 모니터링을 위한 기술 확보가 매우 중요하며, 최근 드론을 활용한 하천 모니터링에 관한 관심이 점차 증가되고 있다. 하천관리에 필요한 드론 탑재용 센서는 기본적으로 RGB 광학센서를 비롯하여 근적외선(Nir) 및 열적외선 센서가 함께 운용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러나 현재 판매되는 드론 카메라를 살펴보면 근적외선과 열적외선 센서가 별도로 분리되어 있고 광학센서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고가로 판매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하천 모니터링을 위해서는 광학(RGB), 근적외선 그리고 열적외선 센서가 통합된 저가의 탑재체 개발이 시급하고 이를 활용한 하천 모니터링 프로세스를 정립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 드론에 쉽게 탑재 가능한 하천 모니터링용 탑재체를 개발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하천 홍수 및 부유사 모니터링에 활용하였다. 광학센서는 하천의 주요 형상을 확인하는데 이용하였으며, 근적외선 센서는 홍수 및 부유사 탐지에 활용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비교적 넓은 하천 구역에 대한 공간정보를 구축하기 위해 75% 이상의 중복도를 가지고 촬영하도록 세팅하였으며 영상접합 SW를 활용하여 정사영상을 생성하였다. 구축한 근적외선 정사영상으로부터 영상분석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홍수 및 부유사 영역을 추출하였으며 이를 통해 홍수기 하천 모니터링 및 치수 업무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었다. 저가용 드론 센서는 상용 SW와의 연계가 어렵기 때문에 자동비행 프로그램처럼 해당 위치별 영상 촬영이 어려운 한계가 있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센서의 제원특성을 활용하여 자동비행 SW에서도 일정 이상의 중복도를 확보할 수 있는 비행고도별 촬영시간 등을 종합적으로 설계하였다. 이를 통해 해당 지역에 대한 하천 모니터링용 정사영상을 구축할 수 있었으며 기존의 고가용 드론 센서와 유사한 효과를 가져올 수 있었다.

  • PDF

Development of Education Software for Drone Flying Control using Object-Tracking (Object-Tracking을 이용한 드론 비행 조정의 교육용 소프트웨어 개발)

  • Koo, Bon-Jae;Lee, Chae-Eun;Hong, Jang-Eui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8.10a
    • /
    • pp.882-884
    • /
    • 2018
  • 드론은 최근 기상관측, 영상촬영, 인명구조 등의 다양한 분야로 활용 가능성이 입증되고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드론 적용을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또한 민간용 시장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확산은 일반인들도 드론에 대한 이해와 활용 관점을 가지게 되었고, 실험용 드론 시스템 제작/개발로 이어지고 고 있다. 그러나 드론은 비행체의 물리적 특성상 정밀한 제어가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많은 연습이 필요하다. 또한 법적으로 드론을 비행시킬 수 있는 공간이 다양하지 못하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드론을 처음 접하거나 조종이 미숙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드론의 비행 조종 연습을 할 수 있는 웹 기반의 교육용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그 실용 가능성을 평가한다.

드론 핵심 기술 및 향후 과제

  • Yun, Gwang-Jun
    • The Optical Journal
    • /
    • s.158
    • /
    • pp.52-54
    • /
    • 2015
  • 최근 무인항공기를 지칭하는 드론 관련 산업이 미래를 이끌 신산업으로 부상하고 있다. 드론은 20세기 초에 군사용으로 개발되어 정찰 감시 및 폭격과 같은 군사임무를 수행하여 왔으나 최근 들어 독일 DHL, 아마존, 구글 등과 같은 다국적 기업들이 상업적 용도로 활용을 선언하며 연구 개발에 뛰어 들면서 그 시장이 예상보다 빨리 커지고 있다. 미국 틸 그룹의 보고서에 의하면 2013년 세계 드론 시장의 규모는 66억 달러였고 그 중 군사용이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나 향후 민수용 시장 비율이 상당히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2022년에는 114억 달러 규모로 커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현재 민수용으로 사진 촬영용 소형 드론으로부터 정밀농업, 인프라 관리, 택배 및 화물 수송 등으로 운용 범위를 확대하고 있다. 국내 드론 산업은 군수 위주로 시작되어 세계 7위권의 기술력을 확보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무인기 분야의 연구개발은 국방과학연구소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등 정부출연연구소가 주도하는 가운데, 한국항공우주산업, 대한 항공이 주로 체계종합(System Integrator) 및 비행체 개발을 담당하고 LIG넥스원, 삼성탈레스, 삼성테크윈 등의 대기업을 포함한 중소업체들이 부체계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최근 소형 드론을 중심으로 시장형성이 가시화되는 민수 시장에서는 가격, 기술 경쟁력의 열위에 있어, 국내 산업 경쟁력 확보와 미래 시장을 선도할 핵심 제품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또한 무인기의 비행체 국산화는 상당한 수준으로 진행되었으나, 광학(EO) 적외선(IR) 카메라 등 핵심 부가가치를 구성하는 탑재 임무장비의 경우 원천기술의 부족으로 해외에 의존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