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총착의량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9초

피부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관한 연구 (A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on Skin Temperature)

  • 김명주;최정화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726-736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the basal information for standard amount of clothing weight indoor climate and working condition with investigating seasonal changes of skin temperature and factors influencing on that in Koreans. Forty eight subjects in 5 age groups(6-11, 12-19, 20-44, 45-64, 65-76 years old) with both sexs were measured skin temperature indoor climate clothing microclimate clothing weight and skinfold thickness in neutral condition in each month throughout the year.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Indoor climate koreans felt comfortable ranged 18.1-28.7$^{\circ}C$ and 51-74%RH. 2. Temperature inside the clothing ranged 30.8-32.3$^{\circ}C$ in males and 31.0-32.5$^{\circ}C$in female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emperature inside the clothing among age groups : That of 6019 age group was slightly higher than that at 45-76 age group. 3. Total clothing weight changed with season and increased in order of summer autumn spring and winter Total clothing weight of 65-76 age group was significantly greater on January and February. Breast skinfold thickness showed the smallest value in summer and the largest value in winter year. In addition to breast and abdomen skinfold thickness were larger in 45-67 age group while thigh skinfold thickness was larger in 6-19 age group. Skinfold thickness in females showed the smallest value in spring summer and the largest value in autumn and winter. In addition to triceps and suprailliac skinfold thickness were larger in 45-64 age group while thigh skinfold thickness was larger in 12-19 age goup. 5. Temperature of the lower limbs(hand, thigh. leg, and foot)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indoor temperature humidity inside clothing and total clothing weight. Temperature of the torso(breast and abdomen)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temperature inside clothing in all subjects. Abdomen skinfold thickness of all age group in male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abdomen skin temperature. triceps suprailliac and thigh skinfold thickness of 6-11 age group in female showed significant correation the upperarm abdomen and thigh skin temperature. Consequently clothing mdicroclimate total clothing weight and skinfold thicknes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season sex and ages and had a slight effect on skin temperature.

  • PDF

에너지 저감과 업무 효율성을 위한 LED 조명환경 평가에 대한 연구 (A Study on Evaluation of LED Lighting Environments for Energy Saving and Work Effectiveness)

  • 김형선;임재현;이기선;김길희;정희창;김진호
    • 감성과학
    • /
    • 제18권2호
    • /
    • pp.45-5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LED 광원에 대하여 재실자의 업무 효율성과 에너지 저감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LED 광원의 특성인 펄 스 폭변조(PWM, pulse width modulation)와 조도(lux)를 제어하여 총 9가지의 다양한 조명환경을 구성하였다. LED 조명의 펄스변조 비율은 각각 R:G:B=1:1:1, R:G:B=4:1:5, R:G:B=8:7:7으로 하였으며, 조도는 각각 400 lx, 700 lx, 1000 lx 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실내환경은 온도 $20{\sim}24^{\circ}C$, 습도 50~60%, 착의량 1 clo 로 설정하였다. 각각의 주어진 9개의 조명환경에서 업무 효율성과 에너지 소비에 대해 분석하였다. 업무 효율성 분석을 위해 오류검색수정 작업을 실시하였으며, 에너지 소비 분석을 위해 각 조명환경에서 누적 소비전력을 측정하였다. 제안한 조명환경을 통해 실험한 결과, 업무 효율성은 400 lx 보다 700 lx 이상에서 정확도 및 소요시간의 효율이 좋았으며, 소요시간의 경우 제안한 펄스변조 R:G:B=8:7:7 에서 가장 좋은 효율을 나타냈다. 또한, 각각의 조도에 대한 소비전력은 펄스변조 R:G:B=8:7:7 > RGB=1:1:1 > R:G:B=4:1:5의 순으로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제안한 펄스 폭 변조 효과가 업무효율성 및 에너지 저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NT 기반의 직물센서 구현 방법에 따른 관절동작 센싱 효율 평가 (Evaluating Joint Motion Sensing Efficiency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CNT-Based Fabric Sensors)

  • 조현승;양진희;이주현
    • 감성과학
    • /
    • 제24권4호
    • /
    • pp.129-138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본 연구에서는 탄소나노튜브 기반의 신축성 직물 센서의 모양과 의복 상 부착 위치가 아동의 사지 관절 동작 센싱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아동의 사지 동작 센싱에 적합한 직물 동작 센서의 요건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실험 대상 아동에게 2종의 센서 모양과 2개의 센서 부착 위치에 따라 조작된 실험복을 착의시킨 후 60 deg/sec의 속도로, 팔과 다리의 굽힘-폄 동작(60°, 90°의 동작 각도별로 10회씩 3회 반복 동작, 총 60회 동작)에 의한 직물 센서의 신장과 수축에 따른 전압의 변화량을 측정하였으며, 가속도 센서를 함께 부착하여, 센싱 결과의 일치도를 분석함으로써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실험 결과 아동의 팔과 다리 동작을 가장 효율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직물 센서의 구성 요건은 장방형 모양 센서 및 관절로부터 4cm 아래 부위에 부착된 센서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사지 동작 측정에 적합한 직물 센서를 개발하고 관절동작 센싱에 적합한 센서의 모양과 의복 상 부착 위치에 대한 조건을 분석하였으며, 의복에 통합된 유연한 직물 센서를 활용하여 인체 부위별 동작 센싱이 가능하다는 것을 규명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