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총균수

검색결과 247건 처리시간 0.028초

레토르트 살균한 육류 볶음밥 제품의 유통기한 예측 (Estimation of Shelf-Life of Commercially Sterilized Fried Rice Containing Meat)

  • 정세희;하지형;정영길;조병철;김동호;하상도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09-213
    • /
    • 2011
  • 육류를 원료로 하여 레토르트 포장한 4개 볶음밥 제품의 유통기한을 설정하고자 6개월 동안 15, 25, 35$^{\circ}C$의 온도에서 저장하면서 이화학적, 미생물학적, 관능적 특성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따라 각각의 온도에서 시료의 TBA가, 산가, pH를 측정한 결과 TBA가는 저장기간의 경과 및 저장온도의 증가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산가 및 pH는 저장기간 및 저장온도에 따른 유의적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저장기간 동안 총균수, 내열성 세균, Bacillus cereus는 모두 음성으로 4개 볶음밥 제품은 미생물학적으로 안전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관능검사는 색상, 풍미, 조직감 및 외관을 7점 척도법으로 평가한 결과 저장기간이 증가하고 저장온도가 높을수록 관능품위도 감소하였으나, 모두 한계점 4점 이상의 평가를 받아 유통기한 동안 상품적 가치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BA가를 품질지표로 설정하고 Arrhenius식을 이용하여 계산된 활성화에너지를 이용함으로써 유통기한을 산출한 결과, 상온에서 쇠고기 볶음밥은 1,408일 (46개월), 햄볶음밥은 1,353일 (44개월), 치킨 카레볶음밥은 1,164일 (38개월), 베이컨 참치볶음밥은 1,182일 (39개월)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볶음밥 시료 모두 상온에서 3년 (36개월) 이상 유통이 가능한 것으로 예측되었다.

매운 정도가 다른 고춧가루로 제조한 김치 품질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Kimchi by the Degree of Hotness of Powdered Red Pepper)

  • 정은자;방병호;김관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88-93
    • /
    • 2005
  • 순한 고추가루와 매운 고춧가루의 일반성분, capsaicin, dihydrocapsaicin 농도 및 ASTA 값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두 고춧가루를 이용하여 김치를 제조하고, 5± 1℃에서 숙성시키면서 pH, 산도, 총균수, 젖산균수 및 관능 등을 측정하였다. 고춧가루의 일반성분은 수분함량 13.2∼13.5%, 회분함량 5.3∼5.4%, 조단백 12.2∼13.2%, 조지방 10.2∼l1.9%, 탄수화물 57.0∼58.1% 범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순한 맛의 capsaicin과 dihydrocapsaicin의 농도는 각각 11.4, 5.4 mg%로 나타났으며, 매운맛의 capsaicin과 dihydrocapsaicin의 농도는 각각 149.1, 66.0mg%로 나타났다. 그리고 순한 맛과 매운맛의 ASTA 값이 각각 63.14, 116이었다. 김치의 경우 pH는 순한 김치는 12일까지는 매운 김치에 비해 pH가 다소 낮았으며, 그 이후는pattern이 같았다. 산도의 경우는 18일까지 순한 김치가 다소 높게 나타났다. 초기에 순한 김치와 매운 김치 총균수는 각각 5.7, 6.7 log cfu/g이었으나, 발효가 진행되면서 3일에 그 수가 같아 졌다가 6일 후부터 매운 김치의 세균수는 약간씩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젖산균수의 변화도 총균수와 그 경향이 유사하였다. 그리고 관능에 있어서 전체적인 기호도는 매운 맛(3.16)이 순한 맛(2.52)보다 높게 나타나 매운 고춧가루로 제조한 김치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유아(乳幼兒) 및 성장기 아동을 위한 영양식품 개발에 관한 연구 (1) 제품의 조제(調製) 및 그 성상(性狀) (Development of Protein-rich Food Mixtures for Infants and Growing Children in Korea (I) Preparation, Chemical Compositions and Rheological Properties of the Mixtures)

  • 최홍식;권태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96-103
    • /
    • 1970
  • 우리나라의 여러가지 현실정을 고려해볼 때 모든 영양소의 보급원이 될 수 있으며 값이 바서 농어촌 어린이까지 널리 이용할 수 있는 영양식품의 개발은 대단히 시급하고도 중요한 일이다. 이 연구에서는 그 개발을 위하여 몇 가지 농산물을 주원료로 적절히 가공하고 여기에 FPC 효모 경화유 비타민 무기질 등을 첨가한 새로운 분말식품을 제조하고, 이에 대한 이화학적 성상을 조사하였다. 가. 시제품은 담황색 분말로서 순한 향취를 가지며 ;water absorption index, 320; 총균수, $10^4/g$ 이하:sedimentation value, 63: Bostwick consistency value, 15cm/30% 및 ring test value, 23cm/30% 이었다. 나. 단백질을 22-25% 함유하는 이 시제품은 FAO표준구성(1957)을 기준으로 할 때 주제한아미노산이 총 함유황아미노산이며, 단백가는 F-F-3가 45, F-P-4는 75이었다. 그러나 수정된 FAO 표준구성(1965)과 비교해보면 threonine이 제한아미노산이며 이 때의 F-P-4의 단백가는 93이었다. 한편 Holt 등이 제안한 유아필수아미노산 소요량을 F-P-4와 비교한 결과 12 개월된 유아의 하루 소요량을 P-P-4 130g으로서 대체로 만족시키고 있었다. 다. 비타민 및 무기질 함량을 분석 조사한 결과 이 제품 100g으로서도 유유아의 1일 권장량을 대채로 충족시킬 수 있었다.

  • PDF

굴비의 지방산 조성과 지방산화에 마늘과 양파즙이 미치는 영향 (Effect of Garlic and Onion Juice on Fatty Acid Compositions and Lipid Oxidation in Gulbi (salted and semi-dried Yellow croaker))

  • 신미진;김정목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8호
    • /
    • pp.1337-1342
    • /
    • 2004
  • 현재 대부분의 굴비는 마른간법을 이용한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마른간법은 제조 과정인 섞기에 있어서 조기의 상처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품질이 균일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물간법을 이용하여 굴비를 가공할 때 상승효과를 위해서 10% 양파즙, 10% 마늘즙, 또는 양파즙과 마늘즙을 동량혼합한 것을 10% 첨가하고 12일간 상온에서 저장하면서 TVB-N, TBARS, TMA, 총균수변화를 관찰하였다. 분석 결과 마늘과 양파 혼합즙액으로 처리한 제품에서의 TVB-N 값은 88.2 mg/100 g, TMA와 TBARS는 각각 14.13 mg/100 g과 3.1$\mu$mol/kg으로 여러 처리구 중 가장 낮은 값을 보여주었다. 굴비의 지방산 조성은 30일간 저 장하면서 생조기, 염장조기, 마늘과 양파 혼합즙액을 처리한 염장조기에 대하여 지방산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생조기와 굴비 모두 포화지방산의 비율은 32∼35%로 나타났으며, 포화지방산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은 palmitic acid로 21∼23%였다. 불포화지방산 중 이중결합이 1개인 monoenes의 비율은 39∼45%범위로 oleic acid가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다가 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은 생조기는 14%였으나 5일 건조한 것은 15∼19%로 나타났다. 저장 30일째 $\omega$-3계 지방산인 docosahexaenoic acid, eicosapentaenoic acid에 있어서 염장 않은 굴비는 7.37%와 3.71%를 보여 주었으나, 물간법에 의한 굴비는 9.46%와4.08%, 마늘 양파 혼합즙액이 함유된 물간법으로 제조된 굴비에서는 9.91%와 4.25%로 높게 나타났다.

홍삼 추출액이 배추김치의 발효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ed Ginseng Extract on Fermentation of Baechu Kimchi)

  • 김혜영;모은경;성창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555-562
    • /
    • 2010
  • 김치 제조 시 홍삼의 효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홍삼 추출액을 첨가하여 배추김치를 제조하였다. 홍삼 추출액을 0, 0.5, 1, 3 and 5% (all v/w)의 농도로 첨가한 후 $20^{\circ}C$에서 4일간 보관하며 배추김치의 품질 특성을 알아보았다. 홍삼 추출액 첨가 김치의 pH는 대조군에 비해 높았으며, 총산도는 저장기간 동안 대조군에 비해 낮았다. 대조군의 명도(L value)는 홍삼 추출액이 첨가된 김치보다 낮게 나타났다. 홍삼 추출액 첨가군의 적색도(a value)는 대조군보다 높게 나타났다. 황색도(b value)는 5% 홍삼 추출액 첨가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저장 4일째에는 대조군이 가장 높은 황색도를 나타내었다. 홍삼 추출액이 첨가된 김치의 경도는 대조군보다 높게 나타났다. 총균수, 젖산균수 그리고 효모의 성장은 홍삼 추출액 첨가에 의해 현저히 감소되었다. 그러나 고농도의 홍삼 추출액 처리(3% 와 5%)는 외관, 색, 맛, 질감, 전체적 선호도를 감소시켰다. 따라서 홍삼 추출액이 첨가된 김치 제조에는 0.5~1% 수준의 홍삼 추출액 첨가가 적합할 것으로 사료된다.

급식시설 . 설비 표면의 위생상태 및 계절별 미생물 균수의 변화 (Seasonal Changes of Microbiological Counts and Sanitation State on the Surface of Foodservice Facilities and Utilities)

  • 김지현;김이선;한지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10호
    • /
    • pp.1653-1660
    • /
    • 2004
  • 부산시내 초등학교 5곳을 방문하여 현 급식소에서 보유하고 있는 급식시설$.$설비에 대한HACCP 적용시 중점관리점을 파악하기 위하여 위생평가를 실시하였다. 학교 급식 시설$.$설비는 학교급식소에서 사용하고 있는 천장, 벽, 바닥, 트렌치, 그리스 트랩, 후드, 방충망, 덤웨이터 등 총 8곳으로 분류하여 총균수, 대장균군수 측정을 통해 위생상태를 확인하였다. 급식시설$.$설비 표면의 위생상태를 검사한 결과 천장, 벽을 제외한 나머지에서 $10^4$$10^{6}$ CFU/100 $\textrm{cm}^2$의 세균이 검출되어 여전히 학교급식소의 위생수준이 낮은 것으로 파악되었고 특히, 그리스 트랩의 경우가 가장 위생상태가 불량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장균군수의 경우는 천장을 제외한 나머지 장소에서 $10^2$$10^4$ CFU/100 $\textrm{cm}^2$의 세균이 검출되었고 그리스 트랩에서 가장 높은 수의 세균과 대장균이 발견되어 특별히 관리 해야 되는 부분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학교급식 시설$.$설비의 하절기 및 동절기의 위생상태를 알아보고 중점 관리 점을 제시하기 위하여 급식 후 세 척 및 소독을 실시한 다음 시간 및 요일의 경과에 따른 오염도를 측정한 결과, 하절기에는 매일 소독을 실시해야 하는 바닥, 트렌치, 그리스 트랩, 덤웨이터의 경우는 급식 전에 소독을 실시한 후 급식을 시작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주 1회 소독을 실시 하는 벽, 후드, 방충망은 주 3회 이상으로 소독횟수를 늘려 실시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절기에는 바닥, 트렌치, 덤웨이터의 경우는 현재와 마찬가지로 급식 후에 소독을 실시하여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리스 트랩의 경우는 급식 전에 실시한 후 급식을 시작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벽, 후드, 방충망은 주 2회 이상으로 소독횟수를 늘려 실시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유통중인 유기농 채소류의 미생물 분포도 분석 (Monitoring of Pathogenic Bacteria in Organic Vegetables from Korean Market)

  • 정규석;노은정;류경열;김원일;박경훈;이동환;김계훈;윤종철;허성기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560-564
    • /
    • 2012
  • 최근에 건강식품의 선호에 따라 신선 채소류 등의 소비가 증가하면서 농산물의 안전성에 대한 관심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유통 중인 유기농 채소류를 구입하여 총균수, Salmonella spp., E. coli O157:H7, S. aureus, L. monocytogenes, Y. enterocolitica 등의 병원성 미생물의 오염도를 분석하고 유기농산물의 식중독균에 대한 잠재적인 위험성을 평가하는 기초자료에 도움을 주고자 수행하였다. 유기농 채소류 4종의 일반 세균수 수준을 비교한 결과 오이의 일반 세균수 수준이 가장 높았고, 토마토의 일반 세균수는 가장 낮았다. 유기농 채소 중 깻잎의 일반 세균수는 $4.2{\sim}7.7log\;CFU\;g^{-1}$, 상추는 $5.0{\sim}8.0log\;CFU\;g^{-1}$, 토마토는 $4.0{\sim}7.5log\;CFU\;g^{-1}$, 오이는 $6.6{\sim}8.6log\;CFU\;g^{-1}$ 범위였다. 유기농 채소에서 Salmonella spp., E. coli O157:H7, S. aureus, L. monocytogenes, Y. enterocolitica 등은 검출되지 않았다. 일반 세균수는 관행 농산물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으며 병원성 미생물은 전혀 검출되지 않았기 때문에 식중독균 오염수준은 극히 낮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런데 오염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으므로 생산, 유통 단계에서 주의 깊은 관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항균 필름과 저장 온도의 고등어 저장성 및 미생물학적 안정성에 대한 병행 효과 (Combined Effects of Antibacterial Film and Storage Temperature on Shelf-life and Microbiological Safety of Mackerel)

  • 하지형;이유시;허선경;배동호;박상규;황선순;하상도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17-322
    • /
    • 2007
  • 본 연구는 고흡습성 필름에 고추냉이 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작한 항균흡습필름의 고등어 중 존재하는 식품위해 미생물에 대한 살균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총호기성균 및 식품위해미생물인, Escherichia coli O157:H7, Listeria monocytogenes Vibrio parahaemolyticus를 점 접종하여 항균흡습필름으로 포장한 후 저장온도, 기간별 및 항균 필름의 코팅 횟수가 균의 성장 및 사멸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5^{\circ}C$에서 총균수, Escherichia coli O157:H7, Listeria monocytogenes의 성장 억제 효과는 $10^{\circ}C,\;15^{\circ}C$에서 보다 우수하였다. 특히 Usrio Vibrio parahaemolyticus는 $5^{\circ}C$에서 저온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면서 모든 시료에서 1일, 4일 후 각각 약 $1\;log_{10}cfu/g\;and\;1.80\;log_{10}cfu/g$ 정도 감소하다가 7일 후에는 검출한계 아래로 모두 사멸하였다. 고추냉이 추출 물질이 함유된 흡습필름은 $10^{\circ}C,\;15^{\circ}C$에서 보다 $5^{\circ}C$ 에서 우수한 항균효과를 보였다. 세 가지 농도별 항균효과는 $5^{\circ}C$ 에서 두드러진 농도별 항균효과 차이를 보였으며 코팅 횟수가 늘어날수록 항균효과가 컸다. 이는 항균필름, 한 가지로만은 저장기간 향상에 한계가 있고 냉장저장이라는 hurdle을 동시에 적용하여 항미생물 synergy 효과를 보인다는 증거가 된다.

세척수 온도와 포장 형태에 따른 신선편이 치커리의 품질 변화 (Effect of Water Temperature and Packing Type on Quality of Fresh-cut Chicory)

  • 장민선;김건희;김병삼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79-287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1^{\circ}C$$5^{\circ}C$의 냉수와 $10^{\circ}C$의 지하수를 이용하여 세척한 후 PP film bag과 PETE tray로 포장하여 $4^{\circ}C$$10^{\circ}C$에서 9일간 저장하며 품질을 비교하였다. $10^{\circ}C$에서 저장하고 PP film bag에 보관한 세척하지 않은 치커리는 9일째 1.58%로 감모율이 가장 높았으나 $1^{\circ}C$ 냉수로 세척 처리한 후 PETE tray에 담아 $4^{\circ}C$에서 저장한 치커리는 0.14%로 감모율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1^{\circ}C$ 냉수로 세척처리한 후 PEIT tray에 담아 $4^{\circ}C$에서 저장한 경우 9일째 치커리의 호흡속도는 20.34 mg $CO_2/kg/hr$로 동일한 세척처리 후 PP film bag에 저장한 치커리의 호흡속도 26.12 mg $CO_2/kg/hr$보다 낮게 나타났다. 표면색의 변화에 있어서 시료별 개체차이가 심하여 L, a, b값의 유의적인 변화는 없었지만 저장 초기와 9일째를 비교하였을 경우 값이 전반적으로 다소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었고, 비타민 C는 $4^{\circ}C$의 저장고에서 저장한 경우가 $10^{\circ}C$에서 저장한 경우보다 비타민 C함량이 높게 유지되었다. 미생물에 있어서는 $1^{\circ}C$ 냉수로 세척 처리하고 PETE tray로 포장하여 $4^{\circ}C$에서 저장한 후 9일째의 치커리는 총균수 $2.59{\times}10^5CFU/g$, 대장균군수 $6.80{\times}10^2CFU/g$로 미생물수의 증식속도가 가장 느렸다. $1^{\circ}C$ 냉수로 세척하고 PETE tray로 포장하여 $4^{\circ}C$로 저장한 경우 치커리 고유의 초록색과 아삭한 조직감을 유지하고 있어 저온냉수 세척과 tray 포장이 세척 청경채의 선도 유지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선편이 양배추 제조공정 단계별 미생물 변화: 공기 중 미생물 변화를 중심으로 (Changes of Microorganisms During Fresh-Cut Cabbage Processing: Focusing on the Changes of Air-Borne Microorganisms)

  • 서정은;이종경;오세욱;구민선;김영호;김윤지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88-293
    • /
    • 2007
  • 작업장 내 공기오염의 중요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신선편이채소 작업장 내 실내 공기와 제품에서 검출되는 미생물 종류 및 수준을 조사하고 양배추 생산작업을 대상으로 관련된 작업공간의 공기 미생물, 작업설비 및 세척수, 원료 및 제품에 대하여 미생물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내 공기 중의 미생물은 air sampler를 이용하여 1000 L의 공기에서 부유균을, plate count agar를 이용하여 낙하균을 각각 8 회 포집하여 분리하였으며 그 외 장비와 제품에 대한 미생물은 총균수 측정 후 colony를 분리하였으며 분리된 균은 Vitek (R)2 compact system으로 동정하였다. 부유균과 낙하균의 총균수준은 각각 $10^2-10^3CFU/m^3,{\sim}10^1CFU/plate$, 또한 원료, 생산라인 및 최종제품에서 검출된 총균수준은 각각 $10^3CFU/g,{\sim}10^4CFU/cm^2,\;10^4CFU/g$수준이었다. 동정결과 생산과정의 여러 검체에서 공기미생물과 같은 균종이 검출되어 공기 미생물이 제품의 오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