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촉지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26초

부갑상선 선종 - 임상증례 3 예 보고 - (PARATHYROID ADENOMA EXPERIENCE WITH THREE CASES PRESENTING CLINICALLY)

  • 설대위;오성수;박윤규;정동규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61-66
    • /
    • 1986
  • 저자들은 부갑상선 선종 3 예를 입상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이 있는 환자에서 임상증상들이 각각 서로 달랐으며 증상의 다양성과 여러기관의 침범을 볼수 있었다. 제 1 예는 심한 근 쇄약을, 제 2 예는 좌 경골의 낭포성골병변을, 제 3 예는 상복부동통, 관절통 및 정신장애를나타냈다. 전례(全例) 모두에서 骨의 광물질(鑛物質) 소실(消失) (demineralization) 을 보였고 두 예에서는 경부 종괴가 촉지 되었고 나머지 한 예만 전형적인 낭포성 섬유성 골염 (Osteitis fibrosa cystica) 을 보였다. 3 예중 2 예는 주세포 선종 (Chief cell adenoma) 이었으며 나머지 한 예는 혼합성 세포형 (mixed cell type) 이었다. 저자들은 본 질환에 대한 진단기준, 외과적 수술방법 및 수술 성공 여부 판정에 대한 지침을 제시하고저 한다.

  • PDF

시각장애인 복지관의 화재 피난행태 특성분석 연구 (A Study on the Fire Drill Behavior Characteristics in Rehabilitation Center for Visually Impaired Persons)

  • 이정수;권흥순;김응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5646-5653
    • /
    • 2015
  • 본 연구는 시각장애인 복지관 건축계획, 실내디자인 및 운영관리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시각장애인 이동 특성을 고찰하고, 피난실험을 통하여 피난행태를 분석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시각장애인의 피난을 위해 '一자형'의 연속된 직선형 피난통로(보행안전통로) 및 실내 랜드마크 배치를 하고, 장애인 거주시설 및 프로그램 운영실을 가능하면 1층에 배치하여 지면과 무단차로 직접적인 피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실내디자인 측면에서 수평이동을 위한 연속적인 핸드레일이 중요하며, 길찾기 및 피난경로를 안내하는 바닥재료의 재질변화, 색채대비, 촉지정보, 음성안내 등 세심한 계획이 요구된다. 셋째, 장애유형에 따른 장애인 이동특성 및 피난행태를 고려한 세분화된 건축계획, 실내디자인 기준 및 운영관리 매뉴얼을 제공할 필요성이 있다.

주사전자현징경 영상분석에 의한 Boophilus microplus 자충의 표면 미세구조 (Scanning Election Microscopic Observations on the Surface Structure of the Tick Boophilus microplus (Canestrini, 1887) Female Specimens)

  • 강영배;장두환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3권2호
    • /
    • pp.313-323
    • /
    • 1985
  • 우리나라 소와 양에 많이 기생 분포하고 있는 Boophilus microplus 진드기의 암놈 성충에 대한 표면 미세구조를 관찰해보고자 주사전자현미경(Model; SEM ISI-DS-130)을 사용하였으며, 영상관찰 및 사진분석 결과 얻어진 형태학적 특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촉수는 길이보다 폭이 넓으며, 전후방으로는 단축되고, 배측방으로는 융기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낸다. 촉지에는 흔히 4쌍의 복내측 강모를 가지고 있다. 2. 치열에 있어서의 치식은 대부분 4/4로 표기 되지만 때때로 5/5를 보이는 경우도 있다. 3. 구하편은 배방으로 향한 육각형 모양을 나타내며 잘 발달된 다공역을 볼 수 있다. 4. 자충 성충의 생식기 주변에 생식공을 향하여 펼쳐져 있는 지문양의 수많은 주름을 볼 수 있다. 5. 항문에 있어서는 잘 발달된 강모 1개씩을 가지고 있는 1쌍의 항문내엽을 특징적으로 관찰할 수 있었다.

  • PDF

두경부 종물에 대한 세침천자생검의 임상적 의의 (Clinical Value of fine Needle Aspiration Biopsy in Head and Neck Masses)

  • 김성근;강성호;김경래;이형석;김선곤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93년도 제27차 학술대회 초록집
    • /
    • pp.103-103
    • /
    • 1993
  • 세침천자생검은 촉지되는 두경부 종물에 대한 일차적인 분석에 있어서 유용한 세포학적 진단과정이다. 또한 세침천자생검은 높은 정확도와 적은 조직손상때문에 두경부 종물의 선별검사로 널리 이용되어 왔다. 본 저자들은 1985년 3월부터 1992년 2월까지 7년간에 걸쳐 한양대학병원 이비인후과에서 두경부 종물에 시행한 세침천자생검 235례 중 병리조직학적인 확인 및 임상적 추적관찰이 가능하였던 188례를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악성 두경부 종물에 대한 세침천자생검의 민감도는 81.5%, 특이도는 96.8%이었다. 2) 악성 임파선 종물에 대한 세침천자생검의 민감도는 86.0%, 특이도는 88.9%이었다. 3) 타액선 세침천자생검의 민감도는 66.7%이며, 특이도는 81.8%이었다. 4) 연부조직, 골 및 구강에서의 민감도는 90%이며, 특이도는 95.8%이었다. 5) 결핵성 임파선염에 대한 위음성율은 55.2%였다. 6) 임파선의 크기나 위치에 따른 세침천자생검의 결과성적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PDF

촉지 림프절의 세침흡인 세포검사 - 단일 기관의 1,346예 경험 -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 of Palpable Lymph Nodes -A Single Institutional Experience of 1,346 Cases-)

  • 신동훈;김지연;강현정;김익두;설미영;최경운
    • 대한세포병리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26-132
    • /
    • 2007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diagnostic value of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 (FNAC) for the assessment of palpable enlarged lymph nodes. The authors reviewed the results of 1,346 FNACs of palpable enlarged lymph nodes performed at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1998 to 2004. Of the 1,346 cases, 1,265 (94.0%) were satisfactory and 81 (6.0%) unsatisfactory. Cytologic diagnoses were judged in 488 cases, based on subsequent histologic diagnoses, clinical follow up, or both. Global results for all malignancies (lymphoid and non-lymphoid neoplasms) based on cases with final diagnoses, showed a sensitivity of 87.4% and a specificity of 98.7%. The overall diagnostic accuracy was 93,2%, and the false negative rate reduced from 12,6% to 7,3% when lymphomatous cases were excluded. The annual data for this period showed that the number of diagnostic lymph node biopsies and the rate of inadequately sampled material markedly decreased. Gene rearrangement studies for IgH and TCR ${\gamma}$ were helful in 30 cases. FNAC is a useful initial diagnostic procedure for the evaluation of palpable enlarged lymph nodes. However, the technique should be assisted by the appropriate ancillary studies and by proper interpretation by a cytopathologist.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이후 발생한 급성 하지허혈증 (Acute Lower Limb Ischemia Associated with COVID-19)

  • 김형서;서진수;최준영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6권5호
    • /
    • pp.450-454
    • /
    • 2021
  • 고혈압 이외에 급성 폐쇄동맥경화증의 내과적 위험요소가 없던 75세 남자 환자가 경한 발열을 동반한 기침, 호흡 곤란으로 내원하여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진단을 받았다. 격리입원 치료를 시작한 지 1주일째에, 우측 족부의 동통 및 저린감을 호소하기 시작하였으며, 그 다음 1주일 동안 서서히 한랭감, 전족지의 색깔 변화와 족배동맥의 소실이 나타나게 되었다. 하지 혈관조영 3차원 컴퓨터 단층촬영 검사에서 좌, 우측 모두에서 슬와동맥 이하로 전, 후경골 동맥 및 비골동맥의 혈류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우측 총장 골동맥 내부에 혈전이 생성되어 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우측 하지에 대하여 경피적 풍선 혈관 성형술 및 스텐트 삽입술, 항응고제 투여를 시행하였으며, 시술 직후부터 우측 족배동맥의 맥박이 온전히 촉지되고, 호소하던 한랭감이 개선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혈류가 개선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우측 족무지의 괴사는 회복되지 않아 결국 족무지 절단술을 시행하였다.

유방의 다발성 결절로 발현한 급성 골수성 백혈병 재발의 건: 증례 보고 (Relapsed Acute Myeloid Leukemia Presenting as Multiple Breast Masses: A Case Report)

  • 성지연;이종윤;추아정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4권2호
    • /
    • pp.454-459
    • /
    • 2023
  • 유방을 침범하는 혈액종양은 굉장히 드물게 보고되었다. 우리는 유방의 다발성 결절로써 재발한 급성 골수성 백혈병의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77세 여자 환자가 양측 유방의 촉지되는 다발성 결절로 외래를 내원하였다. 환자는 급성 골수성 백혈병(acute myeloid leukemia; 이하 AML)으로 진단받고 9차례의 항암치료 이후 완전 관해가 된 병력이 있었다. 유방 촬영과 유방 초음파에서 환자의 촉지성 병변이 영상의학적으로 확인되었으며 액와부 림프절 종대도 동반되었다. 총생검으로 얻은 검체는 면역화학염색을 통해 AML과 blastic plasmacytoid dendritic cell neoplasm의 형태를 보였으며 추후 진행한 골수 생검에서 AML로 확인되었다. 이렇듯 굉장히 드물지만, 혈액암의 병력을 가진 환자가 유방의 촉지성 종괴로 내원하였다면 담당의는 적절한 조직검사 및 면역화학검사로 정확한 진단을 하여 환자가 적절한 치료를 받도록 해야 한다.

$^{99m}Tc-DMSA$ 스캔에서 일측성으로 동위원소 섭취가 안되는 환아들에 대한 임상적 고찰 (Clinical Evaluation of Patients with Unilateral Non-functioning Kidney on $^{99m}Tc-DMSA$ scan)

  • 배현철;김현영;김병길;한상원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권1호
    • /
    • pp.31-37
    • /
    • 1997
  • 목적 : DMSA스캔은 신장의 형태학적 질환의 진단에 유용한 방사선과적 검사이다. 본원에서 DMSA스캔을 시행한 환아중 일측성으로 동위원소 섭취가 안되는 환아를 대상으로 이들의 성별, 연령별 분포와 임상적 소견, 원인질환 및 동반질환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치료 및 예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1980년부터 1995년까지 16년간 본원에 내원하여 DMSA 스캔을 시행한 생후 1일부터 15세 환아중 일측성으로 신기능을 상실한 경우와 5% 이내로 매우 저하되어 있는 61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성별, 연령별 분포와 내원하게 된 주소, 내원당시의 임상적 소견, 정맥내 신우조영술, 복부초음파, 배뇨성 방광요관조영술, 최종 진단명, 동반되어있는 반대편 신장 및 전신 질환, 내원당시의 혈액검사, 치료, 그리고 추적 관찰후의 결과 등에 대한 항목을 조사하고 상호 연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 1) 대상 환아의 연령 분포는 평균 3.3세였으며, 특히 1세이하가 전체의 46%였고 성별 분포는 남녀 1.4:1의 비율로 남아가 많았다. 2) 내원하게된 주소는 산전초음파에서 신장 이상이 발견된 경우가 31.2%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반복적 요로감염, 복부종괴 촉지, 육안적 혈뇨, 복통 순이였으며, 다른 질환의 평가중 우연히 신장 이상이 발견된 경우도 26.2%를 차지하였다. 3) 내원당시 임상적 소견은 발열, 농뇨 등의 요로감염 증상이 가장 많았고, 고혈압, 복부종괴 촉지, 육안적 혈뇨, 변비, 무증상, 현미경적 혈뇨 순이였다. 4) 비기능성 신장의 최종진단명은 다낭성 신이형성(multicystic dysplastic kidney)이 36.1%로 가장 많았고, 수신증, 신발육부전, 신형성부전 순이였다. 5) 비기능성 신장의 치료는 47.5%에서 수술적 치료를 시행받았고, 수술적 치료중 신적출술이 75.9%(전체의 36.1%)로 가장 많았으며 그외에는 근피적 방광루조성술, 요관방광문합술, 신적출 및 신이식 순이였고, 32.8%는 치료없이 추적관찰만 했던 환아들이였다. 6) 반대측 신장에 침범된 질환은 수신증이 90.5%로 가장 많았고 신형성부전, 신원거대감소증이 각각 1례였다. 7) 총 61명의 환아중 4명이 만성 신부전으로 이행하였는데 이들은 모두 반대편 신장에도 심한 병변이 동반되었던 경우였으며 그 외의 환아들은 비교적 예후가 좋았다. 결 론 : 신기능을 상실한 신장중 대부분은 선천적인 질환에 의한 경우였으며 양측성으로 침범된 경우 만성신부전으로 이행한 경우도 있었으나 편측으로 침범된 경우 예후가 좋은 편이였으며 양측성인 경우도 조기진단 후 수술 받은 경우 신기능이 잘 유지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주산기 신장 병변에 대한 평가는 중요하며, 출생후 민감도가 높은 검사방법으로 조기에 진단하고 처치하면 비교적 예후가 좋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가잠용외피의 외부구조에 관한 조사연구 (Studies on the External Structure of the Cuticle of Silkworm pupa (Bombyx mori L.))

  • 윤종관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0-14
    • /
    • 1978
  • 몸을 보호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외피에 관하여 활발한 운동을 할 수 있는 유충에 있어서는 비교적 많은 연구보고가 있지만 용체외피에 대해서는 그 표면이 장방형의 소구분에 의하여 구갑의 모양을 한다는 정도이므로 이를 더 소상히 조사하기 위하여 용외피의 각 부위에 따른 외부구조에 관한 조사에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두부및 촉지등 성충재의 세포의 발달에 의한 새로이 분화한 부분에 있어서의 외피의 표면에 조각을 이룬 장방형의 소구분은 발견할 수 없지만 복근의 1 부분에 망상으로 조각된 부분을 볼 수 있다. 이 (equation omitted)형의 부분은 직경이 8$\mu$ 내외었고 그 주위는 약간 융기되어 (equation omitted)형의 부분에 비하여 약간 음갈색을 이루고 있다. 2) 복부에 있어서의 조각의 양상은 두부와는 약간 다르다. (equation omitted)형의 부분은 환절에 따라 차이가 있고 전반적으로 두부의 복근에 있는 것에 비하여 뚜렷하지 못하였으며 전포를 거쳐 중포과 후포에 갈수록 (equation omitted)형부의 주위 즉 갈색의 융기된 모양이 분명하지 않다. 3) 체절간막부의 표면은 무색 또는 담황색으로 착색되어 있고 그 전면은 미세한 선에 의하여 호문을 이루고 있다. 4) 복부환절에는 (equation omitted)부의 주위의 융기된 부분에 의하여 구분된 장방형의 많은 소(equation omitted)의 조각된 모양에 의하여 망상을 이루고 있다. 5) (equation omitted)부에 의하여 조각된 모양의 크기는 말단의 환절부근을 제외하면 복부보다는 흉부 동일환절에서는 배면보다는 복면 또한 환절의 후부보다는 환절의 전부에 있어서 작다. 6) 제 7 복절 이후에서는 체절간절막부를 인정할 수 없고 그 부분에 있어서의 외피의 외부구조는 환절에 있어서의 외부구조와 근사하다. 7) 강모는 두부 복근 촉지 및 혈 등 성충아의 세복발달에 의하여 분화된 부분에서는 발견할 수 없고 유충기의 일반세포로 부터 되는 환절의 외피에서도 복면에는 강모가 없고 배면에서도 체절간막부에는 강모가 없다.

  • PDF

골밀도 검사에서 환자 자세 변경 최소화에 따른 수검자의 불필요한 피폭선량 감소 및 생산성 향상 (Reduction of the Useless Radiation Exposure to Patients and Improvement of the Skill to Manage the Test according to Minimizing Changes of Posture in Bone Mineral Density)

  • 김호성;동경래;김창복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228-235
    • /
    • 2009
  • 골밀도검사는 건강관리에 인식이 높아지면서 매년 증가되고 있으며, 골밀도 측정은 여러 가지 방법이 있으나 그 중 정밀도와 정확도 및 의료피폭이 적은 이중 에너지 방사선 흡수법(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 DEXA)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골밀도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서는 최초 검사 후 보통 1년 단위로 추적검사가 이루어지는데 정확한 비교를 하기 위해서는 환자의 자세가 최초검사와 추적검사 시 동일해야한다. 본 논문은 개선전과 후의 검사자에 대한 검사시간, 사전스캔건수의 차이, 검사 시 해부학적 위치의 촉지 및 시트의 사용 유무에 따른 시간 변화 및 피폭선량의 차이를 분석하였을 때 사전 스캔의 건수 및 검사시간이 단축되었고 피폭선량이 감소되었으며 이를 수검자 1인으로 환산하면 검사시간은 52초, 평균 사전 검사 건수는 0.79회, 피폭선량은 $13{\mu}Sv$로 단축되었다. 따라서 골밀도 검사 시 환자 자세의 변경을 최소화하고 올바르고, 정확하고, 쉬운 방법을 적용하여 검사 처리 능력의 증가와 함께 수검자의 불필요한 피폭선량을 감소하여 국민 건강관리의 일환인 의료 피폭을 줄이기 위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