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촉감 효과

Search Result 48,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Immersive Live Sports Experience with Vibrotactile Sensation (스포츠 방송에서의 몰입감 증대를 위한 진동촉감 제시 시스템)

  • Lee, Beom-Chan;Lee, Jun-Hun;Seo, Chang-Hoon;Cha, Jong-En;Ryu, Je-Ha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a
    • /
    • pp.230-237
    • /
    • 2006
  • 본 논문은 스포츠 방송의 몰입감 증대를 위한 진동촉감 제시 시스템 및 장치를 제안하며, 촉감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촉감제시 방법론 및 제어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최근 디지털 컨텐츠의 전달에 있어 오감을 통한 정보 전달의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 대중을 대상으로 다양한 정보를 전달하는 디지털 매체에서의 시청각과 더불어 촉감 제시의 역할과 중요성이 증대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으로 동적인 현장 상황을 실감 있게 전달하는 스포츠 방송에서의 햅틱 효과와 역할 그리고 가능한 시나리오를 정의하고, 진동촉감 제시 장비를 설계하여 촉감 정보 표현에 대한 기초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제안된 촉감을 이용한 스포츠 방송 시나리오 중 축구 방송을 기반으로 사용자 촉감 인지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축구 방송 시스템을 구축하여 실감방송 전시회 시연을 통해 진동촉감 시스템 및 촉감 제시 방법론을 검증하였다. 촉감이 인간의 오감 중 시청각 다음으로 정보를 인지하는 중요한 감각 체계인 만큼 많은 양의 정보를 대중에게 전달하는 방송 시스템에서 시청각과 더불어 효과적인 정보 전달 체계로써 기여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 PDF

Preliminary Framework of System and Authoring Tool for a 'Sil-Gam' Book (실감책을 위한 시스템 및 저작 도구 기본 프레임워크)

  • Park, Sun-Young;Lee, Jun-Hun;Kim, Hyun-Gon;Kim, Yeong-Mi;Choi, Kwon-Young;Ryu, Je-Ha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2a
    • /
    • pp.99-104
    • /
    • 2009
  • 최근 멀티미디어 기술과 가상/증강현실 기술의 발전으로 사용자에게 몰입감 있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여러 시스템들이 제안되고 있다. 또한 기존의 시각과 음향효과만으로 이루어진 시스템의 한계를 넘어서 실제와 같은 느낌을 전달할 수 있는 햅틱기술을 적용하여 보다 몰입감있는 체험형 실감책들이 고안되고 있다. 본 논문은 과학교과서를 중심으로 과학적 이론을 보다 효과적으로 가르치고 배우기 위해 필요한 다양한 촉감(Haptic)을 분류하고, 이를 실감책에 적용하여 책이 담고 있는 주요 내용 또는 삽화와 관련된 다양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가상/증강환경에서 시청각정보와 함께 촉각콘텐츠를 독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보고, 듣고 만질 수 있는 적극적인 촉감 상호작용이 가능한 실감책 ('Sil-Gam' Book) 시스템의 기본 프레임워크를 제시한다. 제시된 실감책은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첫째, 실감책을 읽고 있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위치, 시선과 같은 사용자의 움직임을 추적하고 책의 크기, 페이지 등을 인식하는 센서가 부착된 센싱 부; 둘째, 장비에 따라 적용 가능한 촉감 속성, 물체의 움직임에 따라 적용할 수 있는 촉감 속성등 다양한 촉감콘텐츠의 속성을 저작하고 편집하는 소프트웨어 부; 마지막으로 사용자에게 저작된 실감 콘텐츠를 사용자가 쉽고 직관적으로 체험하게 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로 구성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부는 세부적으로 시청각 콘텐츠를 전달하는 시청각 디스플레이 부와 역촉감 콘텐츠를 전달하는 역촉감 디스플레이부로 구성된다. 본 논문에서는 또한 실감책 촉감 저작도구를 사용하여 제시할 수 있는 다양한 촉감을 중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배우는 과학 이론에 적용하여 과학 실험시 경험할 수 있는 다양한 역/촉감을 전달하는 몇 가지 시나리오를 예시하였다.

  • PDF

Analysis of Tactile Effects on the Different Body Parts by the Various Vibration Patterns (다양한 진동 패턴에 따른 신체 부위의 촉감 효과 분석)

  • Lee, Hwan-Mun;You, Yong-Hee;Song, Chan-Ho;Jeong, Jin-Eon;Sung, Mee-Young;Jun, Kyung-Koo;Lee, Sang-Rak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2a
    • /
    • pp.163-167
    • /
    • 2008
  • This paper presents the analysis of tactile effects on different body parts according to the various vibration patterns. The experiments use a vibration pad made of 16 vibration elements in the form of $4{\times}4$ array. The vibration elements are controlled by a 8-bit microprocessor. The sound of gunshot initiates a vibration pattern on different body parts and its sensitivity is measured. The analysis of the experiments lead us to conclude that the vibration pad is the most realistic interface for shooting games and the shoulder part is the most sensitive part in the body. In addition, the most effective vibration pattern is the for the pattern which gives the sensation of spreading out from the center to the outside. This study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uman body parts and the tactile sensations by the various vibration patterns.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be a good reference for user studies in the field of haptics based on the vibration.

  • PDF

Changes of Sensibility by Multi Sensory Stimulation with Suiting Fabrics (복합자극에 의한 슈트용 직물의 감성 변화)

  • 정경희;이보람;조길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3.11a
    • /
    • pp.1361-1365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슈트용 직물의 촉각 자극 시 나타나는 감성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직물의 스치는 소리가 공감각적 감성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물리적 평가 및 주관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피험자 20명을 대상으로 직물의 촉감을 평가하게 한 후, 그 직물의 스치는 소리를 제시하여 감각과 감성을 평가하도록 하였다. 복합자극으로는 직물별 tm치는 소리와 촉감을 동시에 제시하여 때 감성을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촉감에 대한 감성차원으로는 '심미성'과 '개성'의 두 가지 요인이 나타났고, 소리에 대한 감성차원으로는 '심미성'과 '고급감', '개성'의 세 가지 요인이 도출되었다. 심미성을 유발하는 촉각성 요인으로는 'pliable'과 'cool', 개성을 유발하는 촉감성 요인으로 'smooth'와 'cool'로 나타났다. 청각자극에 의한 감성은 'loudness'가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촉감자극에 의한 직물 별 소리 자극을 부가하였을 경우 직물 소리의 물리량에 따라 심미성 요인에서 감성의 상승 및 하강 효과를 발견할 수 있었다.

  • PDF

Haptic Rendering Technology for Touchable Video (만질 수 있는 비디오를 위한 햅틱 렌더링 기술)

  • Lee, Hwan-Mun;Kim, Ki-Kwon;Sung, Mee-Young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13 no.5
    • /
    • pp.691-701
    • /
    • 2010
  • We propose a haptic rendering technology for touchable video. Our touchable video technique allows users for feeling the sense of touch while probing directly on 2D objects in video scenes or manipulating 3D objects brought out from video scenes using haptic devices. In our technique, a server sends video and haptic data as well as the information of 3D model objects. The clients receive video and haptic data from the server and render 3D models. A video scene is divided into small grids, and each cell has its tactile information which corresponds to a specific combination of four attributes: stiffness, damping, static friction, and dynamic friction. Users can feel the sense of touch when they touch directly cells of a scene using a haptic device. Users can also examine objects by touching or manipulating them after bringing out the corresponding 3D objects from the screen. Our touchable video technique proposed in this paper can lead us to feel maximum satisfaction the haptic-audio-vidual effects directly on the video scenes of movies or home-shopping video contents.

Sensory Evaluation of Sunscreen and Application for Product Development (자외선차단 화장품의 관능적 특성평가와 제품개발에 대한 응용)

  • 정수정;심소연;선보경;문성준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1.11a
    • /
    • pp.245-250
    • /
    • 2001
  • 화장품 사용 시 소비자가 가장 중요하게 느끼는 요인은 효과와 촉감이라고 볼 수 있다. 특히 반복적인 사용을 위해서 쾌적한 촉감은 필수 조건이다. 그런데, 촉감은 사용하는 사람 자신의 감각에 의존하는 것이므로, 이러한 화장품의 촉감을 포함하는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서 사람에 의한 최종평가는 필수적인 단계이다. 따라서, 여러 특성의 강도를 측정하는 분석형 관능평가와 소비자의 선호도를 조사하는 기호형 관능평가의 필요성이 요구되며, 두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우리는 훈련된 전문패널에 의해 다양한 자외선차단 크림과 로션들에 대한 분석형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자외선차단 제품의 관능속성 평가의 주요인은 잔여감 요인과 발림성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이 결과에 따라 제품들을 2차원 공간 상에 위치하였다. 이 중 몇 제품을 선택하여 20대 후반 여성소비자를 대상으로 기호형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평상시 실제 화장단계에서 인지되는 자외선차단제품에 대한 용어들은 촉촉함 및 도포균일성 요인/흡수속도 요인의 두가지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이상적인 자외선차단제품의 사용감은 너무 촉촉하지도 매트하지도 않으면서, 흡수속도는 빠르고 화장밀림이나 번들거림이 적은 사용감을 나타내는 특성쪽으로 나타났다.

  • PDF

Haptic Media Broadcasting (촉각방송)

  • Cha, Jong-Eun;Kim, Yeong-Mi;Seo, Yong-Won;Ryu, Je-Ha
    • Broadcasting and Media Magazine
    • /
    • v.11 no.4
    • /
    • pp.118-131
    • /
    • 2006
  • With rapid development in ultra fast communication and digital multimedia, the realistic broadcasting technology, that can stimulate five human senses beyond the conventional audio-visual service is emerging as a new generation broadcasting technology. In this paper, we introduce a haptic broadcasting system and related core system and component techniques by which we can 'touch and feel' objects in an audio-visual scene. The system is composed of haptic media acquisition and creation, contents authoring, in the haptic broadcasting, the haptic media can be 3-D geometry, dynamic properties, haptic surface properties, movement, tactile information to enable active touch and manipulation and passive movement following and tactile effects. In the proposed system, active haptic exploration and manipulation of a 3-D mesh, active haptic exploration of depth video, passive kinesthetic interaction, and passive tactile interaction can be provided as potential haptic interaction scenarios and a home shopping, a movie with tactile effects, and conducting education scenarios are produced to show the feasibility of the proposed system.

Preliminary Framework of System and Authoring Tool for a 'Sil-Gam' Book (실감책을 위한 시스템 및 저작 도구 기본 프레임워크)

  • Park, Sun-Young;Lee, Jun-Hun;Kim, Hyun-Gon;Kim, Yeong-Mi;Choi, Kwon-Young;Ryu, Je-Ha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2a
    • /
    • pp.2073-2075
    • /
    • 2009
  • 최근 멀티미디어 기술과 가상/증강현실 기술의 발전으로 사용자에게 몰입감 있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여러 시스템들이 제안되고 있다. 또한 기존의 시각과 음향효과만으로 이루어진 시스템의 한계를 넘어서 실제와 같은 느낌을 전달할 수 있는 햅틱기술을 적용하여 보다 몰입감있는 체험형 실감책들이 고안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교과서를 중심으로 과학적 이론을 보다 효과적으로 가르치고 배우기 위해 필요한 다양한 촉감(Haptic)을 분류하고, 이를 실감책에 적용하여 책이 담고 있는 주요 내용 또는 삽화와 관련된 다양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가상/증강환경에서 시청각정보와 함께 촉각콘텐츠를 독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보고, 듣고 만질 수 있는 적극적인 촉감 상호작용이 가능한 실감책 ('Sil-Gam' Book) 시스템의 기본 프레임워크를 제시한다.

  • PDF

Realization of Haptic Collaboration System over Super-high-resolution Networked Tiled Display (초고해상도 네트워크 디스플레이 기반 촉감형 협업 시스템의 구현)

  • Son, Seok-Ho;Kim, Jong-Wo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2a
    • /
    • pp.572-578
    • /
    • 2009
  • This paper introduce a structure of haptic collaboration system over high resolution tiled-display, and proposes a object based efficient display method for high resolution display in integrated system. in addition, a modeling of visualization system is defined to evaluat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Both haptic system and tiled-display system have requirements of computational power. A haptic device is unstable if haptic rendering rate is less than 1kHz. A requirement of tiled-display systems is frame rate of display. It requires update of 30 frame fer sec. If we use these systems independently, we can satisfy each requirements. However, if we integrate two systems, performance of entire system significantly decreases because of lack of resources. In this paper, therefore, we propose a segmentation-based display method for ultra high resolution display in integrated system. The proposed method reduces redundancy of display data by reducing a display rate of static objects. Finally, a modeling of visualization system is defined to evaluat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 PDF

Silk Sensibility Technology of Nylon Filament Using Fluid Texturing System (유체시스템을 이용한 나일론 필라멘트의 실크감성화 기술)

  • 김승진;홍석민;김태훈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8.04a
    • /
    • pp.217-223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유체스시템을 이용하여 나이론을 용제 개질하므로써 천연실크가 갖는 적당한 촉감과 광택을 가지면서 견명(silk scrooping)의 효과와 천연 silk 특유의 "노방"(여름 의류의 얇은 명주)촉감이 발현되며 심색성과 흡습성 그리고 제전성등의 물성이 뛰어난 기능성 실크감성화 소재 개발에 관한 연구를 하고자한다. 또한 이러한 용제 개질은 제직준비공정에서의 사이징공정이 생략되며 개질처리가 사가공 기계에서 on-line으로 되므로 (목표처리속도 : 600m-800m/분)대량 생산이 가능하여 개질 가공비가 저렴한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연구에서 개발되는 나일론 원사의 유체시스템을 이용한 용제 개질 기술은 선을 물리적으로 표층부에서 밀착시킴으로써 내부에 microcavity를 형성하여 여러가지 종류의 기능성 약제를 캡슐화(capsulation)하여 내포시킬수 있어서 항균무취성, 방오성, 난연성, 자외선차폐성 등의 다양한 기능을 추가로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중요성이 더욱 크다고 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나일론 원사외의 타소재 섬유에 대하여서도 이러한 유체시스템을 이용한 용제 개질기술의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여서 기존의 가공방식과 전혀 다른 새로운 개념의 실크감성화 선가공기술 확립이 기대되고 있다.이 기대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