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촉각적 감성

Search Result 62, Processing Time 0.02 seconds

Emotions and EEG Features Evoked by Tactile Stimulation (직물촉각자극에 의해 유발된 정서와 EEG 특성)

  • 김지은;박연숙;오애령;최상섭;손진훈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 no.1
    • /
    • pp.153-160
    • /
    • 1998
  • 본 연구는 피부에 가해지는 직물촉각 자극에 따라 나타나는 정서와 관련된 뇌파특징을 알아보려는 기초연구이다. 실험l에서는 촉각에 의한 정서가 생리적인 측정치를 통해 구분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피험자에게 물리적 특성이 극단적으로 다른 자극을 선택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20명의 대학생 치험자 (20-25세)에게 자극이 무선적으로 제시되었고, 각 자극제시후 피험자는 제시자극에 대한 느낌을 주관적 정서척도로 평정하였다. 뇌파는 양쪽 귓볼(A1, A2)을 기준전극으로 하여 F3, F4, C3, C4, T4, P3, P4, O1, O2에서 측정되었고, 측정된 뇌파는 FFT방법으로 분석되었다. 각 피험자의 주관적 평가 결과에 따라 가장 쾌한 자극과 가장 불쾌한 자극이 제시되었을 때 측정한 뇌파의 분석결과를 비교하였다. 전두엽, 두정엽, 후두엽 영역에서 쾌자극 제시시에 alpha파가 유의미하게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후두엽 영역에서 불쾌자극 제시시 beta가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물리적 특성이 유사한 다섯 가지 직물자극을 가진 실험 ll에서와 유사한 절차에 다섯 가지 직물자극을 가진 실험 1에서와 유사한 절차에 의해 실험ll가 실시되었다. 실험l의 결과에 근거하여 측정 부위를 F3, F4, P3, P4, O1, O2로 축소되었다. 쾌자극 제시시의 뇌파는 불쾌자극 제시시보다 slow alpha(8-10Hz)파의 출현량이 많은 반면, slow beta(13-20Hz)파의 출현량은 적었다. 결론적으로 직물촉각자극에 의해 유발되는 심리적 반응에 특정적인 뇌파반응이 존재하며, 이는 촉각에 의해 유발되는 주관적인 쾌.불쾌정서를 객관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지표로서 뇌파특징을 사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 PDF

생리신호 측정에 의한 감성평가

  • 황민철;박재희;박수찬;김철중
    • Proceedings of the ESK Conference
    • /
    • 1995.04a
    • /
    • pp.35-39
    • /
    • 1995
  • 인간의 감성평가 기술은 제품설계에 필요한 중요한 기술로 인식되고있다. 정량적이고 객 관적인 감성평가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생리신호가 인간감성에 따라 변화한 다는 가정아래 인간 오감(청각, 시각, 후각, 미각, 촉각)에 대한 생리신호 (EEG, ECG, GSR, FEMG)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감각종류로 긍정적 감성과 부정적 감성을 유발할 4개의 자극이 피실험자에게 제시되었고, 모든 생리신호를 동기화하여 측정하였다. 측정된 신호는 통계처리하여 주관적으로 평가한 감성과의 상관성을 분석하였고 긍정적인 감성과 부정적인 감성에 따른 신호변화의 특성을 파악하여 감 성평가를 위한 상관성을 관찰했다.

  • PDF

Emotion-related EEG features induced by tactile stimulation of textures (직물촉각자극에 의해 유발된 정서와 EEG 특성)

  • 김지은;이경화;이임갑;손진훈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7.11a
    • /
    • pp.189-192
    • /
    • 1997
  • 인간의 정서를 분류하려는 노력은 오래전부터 있어왔다. 시각 및 청각 자극을 사용한 심리생리적 정서연구는 최근에 들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촉각 자극을 사용한 정서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본 연구는 피부에 가해지는 다양한 자극에 따라 나타나는 정서와 관련된 뇌파특징을 측정하고자 하는 기초연구이다. 물리적 특성이 다른 다섯가지의 직물자극을 20명의 대학생 피험자(20-25세)에게 무선적으로 제시하였다. 각 자극의 제시시간은 1분이었으며, 자극간 간격은 3분이었다. 각 자극제시후 매자극후 피험자는 제시자극에 대한 느낌을 주관적 정서척도로 평정하였다. 뇌파는 양쪽 귓볼(A1, A2)을 기준전극으로 하여 좌.우반구의 전두엽(F3, F4), 두정엽(P3, P4), 후두엽 (O1, O2)에서 측정되었고, 측정된 뇌파는 FFT방법으로 분석되었다. 각 피험자의 주관적 평가의 결과에 따라 가장 쾌한 자극과 가장 불쾌한 자극이 제시되었을 때 측정한 뇌파의 분석결과를 비교하였다. 쾌자극 제시시의 뇌파는 불쾌자극 제시시보다 slow alpha(8-10Hz)파의 출현량은 적었다. 결론적으로 직물촉각자극에 의해 유발되는 심리적 반응에 특정적인 뇌파반응이 존재하며, 이는 촉각에 의해 유발되는 주관적인 쾌.불쾌정서를 객관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지표로서 뇌파특징을 사용할수 있음을 의미한다.

  • PDF

User Emotional Interactive Mirror (사용자 감성 인터랙티브 미러)

  • Gang, Geon-Ung;Gu, Jin-A;Kim, Na-Yeon;Lee, Dong-Hyeon;Jo, A-Yeong;Jo, Hye-Min;Hwang, Min-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9.05a
    • /
    • pp.183-186
    • /
    • 2009
  • 본 연구는 인터랙티브 미러 (Interactive Mirror)를 제작하여 서로 다른 공간에 있는 사용자들에게 시각 청각 촉각적 요소를 조합한 감성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을 제공하고자 한다. 인터랙티브 미러는 원거리상의 사용자들이 거울에 비친 상대방의 모습을 실시간으로 보면서 대화가 가능한 일종의 화상 대화 장치이다. 화면의 기능을 수행하는 거울을 매개로 하여 실시간 화상 대화가 가능하고, 사용자들은 실제 도구인 붓, 지우개, 도장을 이용하여 그림을 그릴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인형을 터치하면 상대방에게 진동이 전해지는 구조를 통해 원거리상의 사용자간에 감성적인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도록 한다.

  • PDF

Effect of Multimodal cues on Tactile Mental Imagery and Attitude-Purchase Intention Towards the Product (다중 감각 단서가 촉각적 심상과 제품에 대한 태도-구매 의사에 미치는 영향)

  • Lee, Yea Jin;Han, Kwanghee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24 no.3
    • /
    • pp.41-60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termine whether multimodal cues in an online shopping environment could enhance tactile consumer mental imagery, purchase intentions, and attitudes towards an apparel product. One limitation of online retail is that consumers are unable to physically touch the items. However, as tactile inform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consumer decisions especially for apparel product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multimodal cues on overcoming the lack of tactile stimuli. In experiment 1, to explore the product, the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four conditions; picture only, video without sound, video with corresponding sound, and video with discordant sound; after which tactile mental imagery vividness, ease of imagination,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s were measured. It was found that the video with discordant sound had the lowest average scores of all dependent variables. A within-participants design was used in experiment 2, in which all participants explored the same product in the four conditions in a random order. They were told that they were visiting four different brands on a price comparison web site. After the same variables as in experiment 1, including the need for touch, were measured, the repeated measures ANCOVA results revealed that compared to the other conditions, the video with the corresponding sound significantly enhanced tactile mental imagery vividness,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s. However, the discordant condition had significantly lower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s. The dual mediation analysis also revealed that the multimodal cue conditions significantly predicted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s by sequentially mediating the imagery vividness and ease of imagination. In sum, vivid tactile mental imagery triggered using audio-visual stimuli could have a positive effect on consumer decision making by making it easier to imagine a situation where consumers could touch and use the product.

The Emotion Process Based on MVL-Neural Network (다치-신경망을 이용한 감성처리)

  • 손창식;허철회;정환묵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2.12a
    • /
    • pp.497-501
    • /
    • 2002
  • 개인의 경험을 통해 얻어지는 외부의 물리적 자극에 대한 복합적인 감성을 측정.분석하여 공학적으로 처리함으로서 인간이 보다 편리하고 안락한 생활을 영위하도록 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인간의 오감 즉 시각, 청각, 후각, 미각, 촉각 중 소비자의 구매 욕구에 많은 영향을 주는 시각(색)에 따른 감성상태의 패턴을 분류하기 위해 색채 심리를 다치오토마타 모델을 이용하여 입력 이벤트와 상태 사이의 관계를 활용하여 감성을 처리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인간의 심리 상태를 학습할 수 있도록 오토마타의 입력 값(색)에 따른 상태(감성상태)의 변화를 신경망 모델로 구현함으로서 색채에 대한 감성을 처리하였다.

Visual Tactility in Web-based Digital Contents (웹기반 디지털 콘텐츠에서의 시각적 촉각성 연구)

  • Kim, Hyo-Joong;Park, Soo-Ji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1 no.4
    • /
    • pp.121-131
    • /
    • 2011
  • Visual tactility implies feelings of touch through sight. To be exact, the eyes are doing the touch rather than the body and the subject concerned will experience the sensation of touch by looking at an object similar to that of physical touch. This is quasi tactility to put it simply and it can be defined as to touch with the eyes. This can not only provide opportunities to experience something close to reality but also another completely different form of modern experience. Experiencing visual tactility through the use of the web permits lavish communication between the user and the designer. This paper has reorganize the concept of visual tactility, characteristic and way to use in digital contents. Visual tactility stimulates the users' emotion as such. If it was to be utilized to develop edutainment contents or web sites will foster children's capability to develope problem solving skills and raise efficiency in creative learning, and prolong the period of concentration in order to encourage revisits to the place and extend the time of stay.

Quantification of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by Single-Channel Brain Wave (단일 전극 뇌파에 의한 쾌, 불쾌 감성의 정량화)

  • 최정미;황민철;배병훈;유은경;오상훈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 no.1
    • /
    • pp.59-67
    • /
    • 1998
  • 뇌전위에서 개인차가 없는 일반적인 규칙ㅇ르 지닌 두개의 정보 변수, 즉 ILF와 IHF를 발견하였다. 이러한 일반성을 지닌 정보 변수가 청각, 후각, 촉각 자극에 의해 유발된 쾌하거나 불쾌한 감성 상태를 구분할 수 있으며 전두엽에서 그 경향이 두드러짐을 확인하였다. 전두엽의 뇌전위에서 감성 자극이 주어지가 전과 자극이 주어지는 동안의 ILF, IHF값을 정규화함으로써 새로운 변수, Relative Quantified Emotional State(RQES)를 구현하였다. RQES는 쾌, 중립, 불쾌한 감성의 정도를 선형적으로 정량화하였다. 따라서 하나의 전극으로 측정한 전두엽부분의 뇌전위로부터 RQES값을 계산하면 인간의 쾌, 불쾌 감성을 신뢰도있게 정량화 할 수 있다.

  • PDF

A Study on Applied Synesthesia Visualization of Brand Design (브랜드 디자인의 공감각적 시각화 적용에 관한 연구)

  • Kim, Jin-Young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1.05b
    • /
    • pp.874-877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의 활동 중 감각적 이미지 전략 구축 중 디자인 요소의 선택과 같은 프로세스를 체계화하며, 제품 제작 담당자에게 전달자와 수용자의 감각 이미지 연구를 통하여 감각의 효율적 활용에 대한 연구를 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여러 감각이 혼합되어 있는 공감각이라는 인간의 감각이 브랜드 관련 기업, 제품, 서비스, 기관 등에 어떠한 형태로 적용되어 표현되는지 현황조사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이론적 이해와 고찰 및 사례분석 등은 유사한 논제의 국내 외 문헌조사와 2009년 후반기까지 시판 중인 제품의 인터넷 자료를 병행 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첫째, 시각적인 공감각은 제품의 연상되는 형태, 로고디자인의 형태, 재료의 색상을 통하여 식감을 자극하고 있었다. 둘째, 청각적 공감각은 의성어나 소리를 연상시키는 심볼마크를 통하여 표현하고 있었다. 셋째, 후각적 공감각은 향기 나는 소리나 향기 나는 원재료, 향기 나는 매장 등을 통하여 후각을 사용하고 있었다. 넷째, 미각적 공감각은 제품의 신속함이나 달콤함 또는 연상되는 맛을 통하여 독특한 미각을 메타포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마지막 다섯째, 촉각적 공감각은 패키지 모양이나 형태, 제품명에서 느껴지는 온도, 제품 표면질감을 다른 소재로 표현하는 방식으로 촉각을 자극하고 있었다. 이러한 공감각을 이용한 브랜드와 디자인은 소비자로 하여금 오감을 자극하여 감성시대에 능동적 감성디자인 소비자로 변화시키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