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초장거리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23초

대두의 모형에 따른 재식밀도가 종실수량 및 수량구성형질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pacing on Seed Yield and Yield Component Characters in Three Different Types of Soybean Canopy)

  • 권신한;안용태;김광래;은종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14권
    • /
    • pp.91-96
    • /
    • 1973
  • 우리나라 대두의 단위면적당 생산량은 제외국에 비해 낮은 편이며 그 원인은 여러 가지로 생각할 수 있으나 단시일내에 기존품종으로서 생산량을 높이는데 대두 초형에 따르는 재식방법의 개선이 중요하다고 여겨져 중부지방에서의 밀식적응대두형과 밀식정도의 구명을 위해 본 시험이 수행되었다. 본 시험에서는 모형과 각종 형질이 서로 상이한 품종인 장단백목, 충북백, Clark 등 3개 품종이 공시되었으며 휴폭을 세구로 그리고 주간거리를 세세구로 한 3반복으로서 시험하였다. 주당 분지수와 협수는 밀식에 따라 감소되었으나 동일한 밀도에서는 Clark에서 보다 충북백과 장단백목에서 더 많은 분지수를 가지고 있었으며, 협수에 관해서는 휴폭과 주간거리에 유의한 수준의 상호작용이 있었다. 절수는 품종간에 차이가 현저하였으며 휴폭에 의해서는 전혀 변화가 없었으며 주간거리가 커짐에 따라 Clark에서 약간 증가하였다. 간장도 주간거리에 관해서만 유의차가 현저하였으나 절수의 증가와는 관계없이 도장에 기인하였다. 도복성에는 Clark가 가장 강했으며 이는 이 품종 주경의 탄력성 때문인 것으로 여겨졌다. 밀식조건하에서는 다지성이고 광엽성인 재래품종들보다 절수가 많고 초장이 큰 도입품종 Clark가 공시된 3개 품종중 가장 수량이 많았으며 밀식재배용으로의 가장 알맞은 초형임이 명확하였고 파종은 재래식 점파보다는 조파로 밀식함이 노력이 절약되고 단위면적당 수량도 현저히 증가될 것이다.

  • PDF

생강의 비닐하우스 재배가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hizome Size and Planting Space on the Growth and Yield or Ginger(Zingiber officinale Rosc.) in Greenhouse Cultivation)

  • 최재을;김정선;이은정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09-214
    • /
    • 1999
  • 비닐하우스에서 생강재배시 종강의 크기와 재식거리가 생강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비닐하우스 내의 기온은 노지에 비하여 평균 9$^{\circ}C$ 높았으며, 지온은 평균 2-4$^{\circ}C$ 높았다. 하우스 재배는 노지재배에 비하여 초장, 엽면적, 경수, 괴경 수량이 크게 증가하였다. 하우스에서의 재식거리 30$\times$30cm에서 근경수량은 노지보다 121-183%의 증수 효과가 있었다. 60$\times$30cm의 재식거리구에서는 재식거리 30$\times$30cm구에 비하여 감소하였으나 노지재배에 비하여 76-82%증수되었다. 단위면적당 근경수량은 재식 밀도가 30$\times$30cm이고, 종구의 크기가 40g 일 때(4,631kg/10a)가장 많았다.

  • PDF

물엉겅퀴이 엽형특성과 재배법 확립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Leaf Shape Chracteristics and Culture Practice in Cirsium nipponicum)

  • 민기군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65-170
    • /
    • 1996
  • 산채(山菜) 및 약용(藥用)으로서의 이용개발(利用開發) 가능성(可能性)이 높은 물엉겅퀴에 대(對)한 엽형(葉形) 특성(特性)을 조사(調査)하고, 차광(遮光) 조건(條件), 시비방법(施肥方法) 및 재식밀도(栽植密度) 시험(試驗)을 실시(實施)하여 얻어진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엽형(葉形)의 차리(差異)에 따라 크게 무결각형(無缺刻形)과 결각형(缺刻形)으로 나눌 수 있었고 무결각(無缺刻) 형(形)에서는 대자침(大刺針)과 소자침(小刺針)으로 세분(細分)되었으며 염색체(染色體) 수(數)는 공(供)히 2n = 68로 동일(同一)하였다. 2. 물엉겅퀴의 지상부(地上部) 초장(草長)은 무차광(無遮光)에서 길었으며 비료(肥料) 시용방법간(施用方法間)에 전반적(全般的)으로 유기물(有機物) 30,000kg/ha 처리(處理)에서 생육(生育)이 양호(良好)한 경향(傾向)이었다. 3. 차광(遮光) 조건간(條件間)의 엽(葉) 수량(收量)은 연차별(年次別) 차이(差異)는 차광구(遮光區)에서 많았으며 비료시용방법간(肥料施用方法間)에는 유기물(有機物) 처리(處理)에서 증대(增大)되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4. 물엉겅퀴의 재식거리(栽植距離)에 따른 생육상황(生育狀況)은 $60\times45cm$에서 초장(草長)과 경수(莖數)가 증대(增大)되었다. 5. 재식거리별(栽植距離別) 엽수량(葉收量)은 밀식(密植)인 $30\times20cm$에서 많아 재식거리(栽植距離)와 수량간(收量間)의 관계(關係)에 대(對)한 구체적(具體的)인 연구(硏究)가 금후(今後) 수행(遂行)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思料)되었다.

  • PDF

새로운 유지작물 기름골의 재배기술과 사료가치 (Studies on the Cultivation Technique and Evaluation of Forage Resources for a New Oil Crop Chufa(Cyperus esculentus L.))

  • 성병렬;김종근;김원호;박희운;방진기;송진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63-170
    • /
    • 2004
  • 새로 도입된 기름골의 적정 질소 시비량, 재식거리 및 파종기를 규명함과 동시에 수확 후 농업부산물인 경엽의 사료가치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기름골의 질소시비에 대한 반응이 둔감하여 질소 시용량이 많을수록 생괴경의 수량이 감소되었으며, 질소의 적정시비량은 10kg/10a 정도이며, 적정 재식거리는 휴폭 50cm, 주간거리 15∼20cm로 하여, 1본 2립씩 파종하는 것이 생괴경 수량성이 높곤 파종기는 파종전 5일간 침종한 후 5월 10일경에 파종할 경우 초장이 길고, 주당 괴경수도 많았다. 또한, 기름골 수집종의 사료 가치 평가에서 초장은 평균 126cm, $\m^2$당 경수는 671개, 도복은 중 정도이었으며, 괴경 수확 후 잎의 10a당 생초수량은 2,135kg, 건물수량은 590kg 정도이었으며, 사료가치는, 경엽의 조단백질 함량은 볏짚보다 약 2배 정도 높고 조지방도 다소 높으며 가축의 기호성은 볏짚과 비슷하였다. 그리고, 사일리지 품질특성 중 ADF 값은 볏짚보다 낮으며, NDF 및 가소화 양분 총량은 거의 같았고, 소화율은 11% 정도 높으므로서, 기름골 부산물인 경엽은 조사료로서의 이용이 충분히 가능하다고 인정된다.

산국 재배시 재식밀도, 적심 및 예취가 생육과 발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lanting Density, Pinching, and Mowing on Plant Growth and Development of Chrysanthemum boreale Mak.)

  • 이희경;;정병룡
    • 화훼연구
    • /
    • 제16권1호
    • /
    • pp.23-27
    • /
    • 2008
  • 이 연구에서 재식밀도, 적심, 그리고 예취가 생육과 수량에 영향을 미쳤다. 재식거리 $90cm{\times}30cm$에서 최고의 생장과 수량을 얻었는데, 이 재식거리에서는 최고초장이 140cm, 식물체당 1차, 2차 및 3차 분지수가 각각 32개, 164개 및 367개로 자랐다. 이 처리에서 건조한 꽃의 무게는 10a당 98kg에 달해 재식거리 $120cm{\times}30cm$에 비해 40% 증수되었다. 경경, 지상부 건물중 및 건조한 꽃 무게는 적심 하였을 때 무적심에 비해 증가되었다. 7월 10일 적심시 건조한 꽃 무게가 10a당 102kg으로 무적심에 비해 57% 증가되었다. 생육과 수량특성은 무예취와 6월 10일 예취 처리간에 비슷하였지만 7월 10일 예취에서는 초장, 경경 및 분지수가 무처리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누적 지상부 건물중은 모든 처리에서 차이가 없었지만 6월 10일 예취시 건조한 꽃 무게와 꽃수가 10a당 각각 123kg과 2,592개로 가장 많았다.

전호의 용도별 재식거리에 따른 생육 및 수량변화 (Effect of Growth and Yield on Planting Density by Using Types in Anthriscus sylvestylis)

  • 김상국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43-149
    • /
    • 1996
  • 본(本) 시험(試驗)은 산채(山菜) 약초(藥草) 겸용작물(兼用作物)로서 개발가치(開發價値)가 높른 연천도(輦賤島) 전호(前胡)에 대(對)해 내륙적응성(內陸適應性)을 높여 신작물화(新作物化)의 가능성(可能性)을 검토(檢討)하기 위한 일환(一環)으로 용도별(用途別) 적정재식거리(適正栽植距離) 시험(試驗)을 하여 얻어질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전호(前胡)의 용도별(用途別) 재식거리(載植距離)에 대(對)한 초장(草長)은 채소형(菜蔬型)의 경우(境遇) 주간(株間)이 소식(疎植)일수록 감소(減少)하였고 약재형(藥材型)에서도 업소형(業蔬型)처림 주문(株問)이 소식(疎植)일수록 초장(草長)이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을 보였으며 경수(莖數) 용도별(用途別) 재식거리제(栽植距離制) 뚜렷한 차이(差異)를 보이지 않았다. 2. 생엽(生葉) 수량(收量)은 연차별(年次別) 수량(收量)의 차이(差異)는 다소 있었지만 채소형(菜蔬型)에서는 $30{\times}20cm$, 약재형(藥材型)에서는 $60\times30cm$, 채소(菜蔬) 및 약재(藥材) 복합형(複合型)은 $45\times20cm$에서 가장 높았다. 3. 근장(根長)은 채소형(菜蔬型)의 경우(境遇) 재종거리(栽種距離)에 따른 생육(生育)의 차이(差異)를 보이지 않았으나 약재형(藥材型)과 채소(菜蔬) 및 약재복합형(藥材複合型)은 재식거리간(栽植距離間)에 통계적(統計的)인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 되었다. 4. 지하부(池下部)의 건근(乾根) 수량(收量)을 보면 채소형(菜蔬型)은 밀식(密植)에 비(比)해 소식(疎植)인 $30\times20cm$, 약(藥) 재형(材型)은 밀식(密植)인 $60\times20cm$에서 가장 높은 수량(收量)을 보여 상반(相反)되는 결과(結果)를 보였고, 채소(菜蔬) 및 약재(藥材) 복합형(複合型)은 밀식(密植)인 $45\times20cm$에서 가장 높은 수량(收量)을 보여 재식거리간(栽植距離間)에 통계적(統計的)인 유의성(有意性)을 보였다. 5. 이상(以上)의 결과(結果)를 종합(綜合)해 보면 전호(前胡)의 용도별(用途別) 적정(適正) 재식거리(栽植距離)는 채소형(菜蔬型) $30\times20cm$, 약재형(藥材型) $60\times30cm$, 채소(菜蔬) 약재(藥材) 복합형(複合型) $45\times20cm$에서 지하부(地下部) 생육(生育)이 양호(良好)하면서 생엽(生葉) 및 건근(乾根) 수량(收量)이 증수(增收)되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 PDF

소규모 경작지에서 질소 변량시비가 벼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Site-specific N Application on Rice Grain Yield and Quality in Small Size Paddy Field)

  • 최민규;최원영;박홍규;남정권;백남현;이준희;김상수;김정곤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5호
    • /
    • pp.369-378
    • /
    • 2006
  • 논에 있어서 정밀농업시 변량시비가 벼 생육에 미치는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토양 및 생육정보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시험전 토양의 변이계수는 EC, 유기물, 전질소, 유효인산 및 칼리는 $11.63{\sim}52.03%$로 10% 이상의 큰 변이를 보였으나 pH는 각각 $1.96{\sim}4.9%$로 적었다. 2. 생육중의 경수는 10%이상의 변이를 보였으나 초장, 엽색 및 쌀수량, 현미중 단백질은 10%이하의 변이를 보였다. 변량시비에 의하여 변이계수가 쌀수량은 8.06%에서 5.22% 및 5.81%로, 현미중 단백질 함량은 4.06%에서 3.40%로 낮아졌다. 3. 공간구조의 강약을 보여주는 Q값은 시험전 토양의 pH, 전질소함량, 유효인산 및 칼리함량은 0.60이상으로 공간의존성이 강하였으며, 엽색, 초장, 쌀수량 및 현미중 단백질함량 등도 0.50이상으로 공간의존성이 강하였으나 유수 형성기 경수는 0.22로 공간 의존성이 약했다. 4. 공간거리를 나타내는 공간의존 거리는 현미중 단백질 함량을 제외하고는 20 m 이상의 공간의존성이 있었다. 5. 시험전 토양의 pH, $SiO_{2}$ 및 초장, 엽색은 기비와 정의 상관을 보였으나 O.M.은 부의상관을 보였다. 수비는 시험 전 토양중 EC, O.M. 및 토양 고저차와는 정의 상관을 보였으나 초장, 경수 및 엽색과는 부의상관을 보였다. 현미중 단백질 함량은 토양중 $SiO_{2}$ 및 엽색, 수량과는 정의 상관을 보였으나 토양중 O.M.과는 부의상관을 보였으며 쌀수량은 초장, 경수 및 엽색과는 정의상관을 토양중 PH와는 부의 상관을 보였다.

GNSS를 활용한 초장대 현수교의 거동 특성 분석 (Behavior Character Analysis of Super Long Suspension Bridge using GNSS)

  • 박제성;홍승환;김미경;김태훈;손홍규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5권5_2호
    • /
    • pp.831-840
    • /
    • 2019
  • 최근 장대교량의 경간장이 길어지면서 주탑간 거리(span)가 기존의 한계를 넘는 교량에 대해 초장대교량이라는 개념이 새롭게 제시되었다. 또한 장대교량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안전성이 중요해지면서 시공 중 계측의 필요성이 더욱 커졌다. 하지만 장대교량에 기존 계측센서를 지속적으로 적용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이에 기존 계측센서들의 한계를 보완하고자 위성항법시스템(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을 활용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최종적으로 2축경사계, 변형률계, 풍향풍속계와 GNSS를 혼용하여 초장대현수교의 거동 특성을 파악하고, 세부 모니터링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GNSS를 이용하여 주탑의 절대좌표와 교축진행방향을 산출하였고, 장기거동을 분석하여 시공 직후 주탑의 영구 변위와 안정화 여부를 평가하였다. 또한 풍향이 대상교량의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수치적으로 나타냈으며, 이를 통해 대상교량의 거동특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GNSS를 활용한 교량 계측은 분석 목적에 따라 데이터 처리가 용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초장대교량의 유지관리에 있어 기존의 계측센서와 GNSS을 활용한다면 각 계측 데이터의 오차 파악 및 보정을 통한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선과 정확한 변위관측, 그리고 거동특성을 함께 파악하는 효과적인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 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새로운 감미자원식물 Stevia (Stevia rebaudiana Bertoni M.)의 재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ultivation of Stevia rebaudiana Bertoni M. as an Introduced Sweetness Resource Plant in Jeju-do)

  • 오현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12-120
    • /
    • 1977
  • 본 시험은 제주도에서 stevia (Stevia rebaudian a Bertoni M.)의 효과적인 번식, 월동방법 및 재식거리에 따른 생육과 적응성을 알고져 실시 하였던바 몇가지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식물생장조절제처리에 의한 발근율은 I.B.A=atonic(equation omitted)N.A.A>tachigalen>rooton>centre의 순위였고 발근수는 I.B.A>N.A.A>rooton>tachigalen>atonic>control 순위였으며 식장은 I.B.A(equation omitted)N.A.A>rooton>tachigalen>atonic>control 순위였다. 2) 상토별 효과에서는 발근율이 송이>심토>냇모래 (천사)>모래의 순위였고 발근수는 송이(equation omitted)모래>심토(equation omitted)냇모래의 순위였으며 근장은 모래>송이>냇모래>심토의 순위였다. 3) 월동효과는 polyethylene film tunnel이 가장효과가 좋았고 다음으로 polyethylene 피복이 효과적이었으며 볏짚과 왕겨피복은 재(회) 피복이나 무처리에 비해서는 효과적이나 지온상승에는 효과가 크지 못하였다. 4) 재식거리별 효과는 밀식 할수록 전체중이나 건엽중도 많았다. 5) 초장신장은 기온이 높을때 비례적으로 증가하며 7월하순부터 8월하순에 걸쳐 신장량은 급진되었다.

  • PDF

경남 평야지 벼 조기재배를 위한 재배방법에 따른 쌀 수량 및 품질특성 (The Yield and Quality of Rice for Early Transplanting Cultivation by Cultural Practices in Gyeongnam Plain Area)

  • 성덕경;김영광;조용조;김민철;김철수;김동관;정정성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51권3호
    • /
    • pp.19-27
    • /
    • 2017
  • 본 연구는 고온 등숙으로 인해 미질 저하가 큰 벼 조기재배 실시에 적합한 재배법 개선을 위하여 품질향상을 위한 재식방법을 설정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재식거리 $30{\times}14cm$ 이앙구에서는 포기당 재식본수가 3, 5, 7로 증가할수록 초장은 감소하고, 경수는 증가하였으나, 재식거리 $30{\times}18cm$ 이앙구에서는 재식본수가 증가함에 따라 초장 및 경수가 증가하였다. 재식거리 및 재식본수에 따라 간장 및 수장의 차이는 적었으나, 재식본수가 적을수록 수수는 적었고 입수가 증가하였으며, 재식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수수 및 입수는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이앙구 간 쌀 수량에 따른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완전미 수량에서는 재식거리 $30{\times}18cm$ 이앙구에서 싸라기 및 분상질립 비율이 낮아 완전미의 비율이 높은 경향이었고, 3본 이앙시 403kg/10a로 완전미 수량이 가장 높았다. 재식거리 $30{\times}18cm$ 이앙구에서는 단백질 함량이 감소하고, 취반미윤기치 값이 증가하여 식미 개선의 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벼 조기재배에서는 재식밀도가 낮은 넓은 재식거리($30{\times}18cm$)에 개체수가 적은 3본으로 이앙하는 방법이 조기재배에서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개선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