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초음파건

검색결과 125건 처리시간 0.023초

초음파를 활용한 아킬레스 건 파열의 보존적 치료 결과 추시 -증례 보고- (Conservative Treatment of Achilles Tendon Rupture with Ultrasonographic Follow-Up - A Case Report -)

  • 김윤정;안재훈;신동철
    •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88-92
    • /
    • 2011
  • 아킬레스 건의 급성 파열은 최근 레저 활동의 증가로 인하여 그 빈도가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 수술적 및 보존적 치료 방법 모두 장단점이 보고되고 있다. 저자들은 급성 아킬레스 건 파열에 대해 석고 고정을 이용한 보존적 치료를 시행하고 그 치유 과정을 초음파를 이용해 추시하였다.

  • PDF

중수지 관절부 신전건 탈구에서 실시간 표시 초음파의 진단적 가치 (The Diagnostic Value of Dynamic US in the Extensor Tendon Dislocation at the Metacarpophalangeal Joint)

  • 문은선;박용철;김명선
    •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5
    • /
    • 2008
  • 목적: 중수지 관절부 신전건 탈구에서 동적 초음파의 진단적 가치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7년 1월부터 10월까지 본원에서 중수지 관절부 신전건 탈구로 진단받은 6예에 대해 평균 5개월(2~10개월)간 추시하였다. 3예에서 10-MHz 선형 진동자를 이용하여 초음파를 시행하였으며, 동적 초음파를 동시에 실시하였다. 원인은 5예가 외상에 의한 발생이었고, 1예는 선천적 발병이었다. 결과: 임상적으로 진단이 불가능했던 3예에 대해서만 초음파 검사와 동적 초음파 검사를 시행하였고, 모두에서 신전건 탈구를 관찰하였다. 수술 소견상 4예는 시상대 파열 소견을 보였고, 1예에서는 관절낭의 이완 소견, 나머지 1예에서는 시상대가 얇아진 소견을 보였다. 4예에서 시상대 봉합술을 시행하였고, 1예에서는 관절낭 보강술 시행하였다. 선천적 발병으로 생각된 1예에서는 우측 2, 3, 4, 5 수지 신전건 탈구 가운데 증상을 동반한 제 2수지에 대해서만 시상대 봉합술 및 시상대를 이용한 고리 보강술을 시행하였다. 최종 추시상 모든 예에서 탈구의 재발은 없었고 관절 운동범위는 정상이었다. 결론: 중수지 관절부에서 신전건 탈구에서 초음파 검사는 임상적으로 저명한 탈구가 없는 경우에 의의가 크며, 특히 동적 초음파는 자기공명영상 촬영에 비해 우수하다고 할 수 있다.

  • PDF

이두건 장두의 초음파 진단 (Ultrasonographic Diagnosis of the Long Head of Biceps Tendon)

  • 송현석
    •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31-37
    • /
    • 2015
  • 이두건 장두(long head of biceps tendon)의 병변은 견관절의 전방부 통증의 여러 원인 중에 하나에 해당한다. 이두구의 형태에 대한 해부학적인 연구에 따르면, 폭, 깊이, 내측벽 각(medial wall angle)의 의미를 제시하였다. 이두건 장두 자체의 영상 소견 및 위치를 확인함으로써 진단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

  • PDF

비골 건 및 전방 경골 건 질환의 진단 및 치료 (Diagnosis and Treatment of the Peroneal Tendon and Tibialis Anterior Tendon Disorders)

  • 정홍근
    •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58-63
    • /
    • 2008
  • 비골 건 탈구 손상의 발생 기전은 전형적으로 대부분이 발목 외상 후에 발생하며, 발목이 심하게 배부 굴곡된 상태에서 비골 건이 갑작스럽고 심하게 구축하는 경우에 흔히 발생한다. 본 손상이 재발하는 경우에는 단 비골 건 파열이 자주 동반되며, 초음파 검사로 비골 구에서 탈구 되는 소견을 확인 할 수 있다. 만성 재발성 탈구는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며 비골 구를 깊게 하는 술식을 시행하여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전 경골건의 비외상성 파열은 고령 층 중 활동성 높은 부류에서 만성 자극에 의한 마멸, 국소적 스테로이드 주사, 당뇨병성 건염이나 염증성 관절증과 같은 전신질환에 의해 건의 연속성이 약화된 상태에서 호발한다.

  • PDF

동적 초음파를 이용하여 진단한 견관절 상완 이두건 장두의 아탈구 (Subluxation of the Long Head Biceps Tendon Diagnosed by Dynamic Ultrasound)

  • 박상은;정재중;이연수;김영율;김명진;지종훈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4권2호
    • /
    • pp.236-241
    • /
    • 2011
  • 목적: 이학적 검사나 단순 방사선, 정적 초음파, 자기공명영상 등의 검사를 통해 진단하기 어려운 상완 이두건 장두 아탈구의 진단 시 동적 초음파의 유용성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동적 초음파를 이용해 상완 이두건 장두 아탈구로 진단된 2명의 남자환자에 대해 관절경을 이용한 연부조직 상완 이두건 장두 고정술을 시행하고 증상 및 기능적 회복 정도를 평가 하였다. 결과: 동적 초음파를 이용해 상완 이두건 아탈구를 쉽게 진단할 수 있었으며 수술 후 증상 및 기능적 평가에서도 향상을 나타내었다. 수술 후 특이한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다. 결론: 진단이 어려운 상완 이두건 장두 아탈구의 진단 시 동적 초음파의 이용은 유용한 방법으로 판단된다.

저항 Scaption 동적 초음파를 이용한 극상건 부분 파열의 진단 (Diagnosis of Partial Thickness Tear of Supraspinatus Tendon Using Dynamic Ultrasonography Under Resisted Scaption Position)

  • 송재황;고광표;차현재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5권5호
    • /
    • pp.426-430
    • /
    • 2020
  • 극상건의 부분 파열(partial thickness tear)이 자기공명영상이나 Middleton, Crass position하의 정적초음파영상에서는 관찰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저자들은 견관절의 extension position에서 저항 scaption (resisted scaption 또는 scapular plane abduction)을 이용한 동적초음파 검사를 이용하면 다른 영상의학적 도구나 자세에서 진단을 놓칠 수 있는 극상건의 부분 파열도 효과적으로 관찰할 수 있음을 여러 증례를 통하여 경험하였다. 현재까지 극상건 부분 파열을 진단하기 위한 동적 검사 방법은 문헌으로 보고된 적이 없었던 바, 이에 두 증례를 통하여 저항 scaption을 이용한 동적 초음파에 대한 저자들의 술기를 보고하고자 한다.

주관절의 초음파 소견 및 이용 (The Use and Findings of Ultrasound in the Elbow Joint)

  • 배정연;이승준;이건우
    •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94-100
    • /
    • 2013
  • 근골격계 초음파는 방사선 노출에서 자유로우며, MRI 에 비해 저렴한 가격, 외래에서 쉽게 시술할 수 있는 접근성, 또한, 이학적 검사와 함께 병행하면서 검사의 정확성을 더 높일 수도 있는 독특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스트레스 검사와 함께 동적으로 시행하는 초음파 검사는 건, 인대, 신경 등의 숨은 병변을 확인하는 데에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주관절 초음파는 관절면, 활액막 공간에 대한 검사, 외측 상과염, 내측 상과염 등의 건 관련 질환이나 말초 신경의 병적 상태에 대한 진단 및 초음파 유도하 전, 후방 점액낭 및 관절내 주사를 위해 외래에서 손쉽게 사용될 수 있다.

  • PDF

주관절의 초음파 검사 (Ultrasonography of the Elbow Joint)

  • 김철홍;이명진;강민수
    •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23-129
    • /
    • 2012
  • 이 종설은 주관절에서의 초음파 검사 방법을 서술하였으며 주관절의 구조물들은 표층에 위치하기 때문에 초음파 사용이 용이하고 동적인 검사와 건 측과의 비교를 쉽게 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인하여 환자의 병변에 대한 많은 정보를 제공해 준다. 주관절에서 초음파 검사는 주관절 주변의 건, 근육, 인대 와 점액낭의 비정상적 형태뿐만 아니라 미세 골절(occult fracture), 주관(cubital tunnel) 내의 척골 신경의 압박 유무도 평가할 수 있다. 향후 주관절의 연부조직 이상을 진단하는 수단으로서의 초음파의 가치는 점점 증가할 것이다.

  • PDF

클러스터링 기법 기반 양자화를 이용한 회전근개 건 파열 영역 추출 및 분석 (Extraction and analysis of rotator cuff tear area Using Clustering Based Quantization)

  • 박지훈;최철호;송유선;김광백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94-496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회전근개 건 파열 추출 방법을 개선하기 위하여 초음파 영상에서 환자 정보를 제거하여 ROI 영역을 추출한다. 추출된 ROI 영역에서 명암 대비를 강조하기 위해 기존의 사다리꼴 형태의 퍼지 스트레칭 기법에서 소속 함수를 개선한 퍼지 스트레칭 기법을 적용하여 힘줄과 연골 영역을 효과적으로 강조한다. 강조된 ROI 영역에서 Max-Min 이진화와 8방향 윤곽선 추적 기법 및 Monoton Cubic Spline 기법을 적용한 후에 라벨링 기법을 적용하여 힘줄 및 연골 영역을 추출한다. 추출된 힘줄과 연골 영역을 이용하여 회전근개 영역을 추출한다. 추출한 회전근개 영역에 SOM 기반 양자화 기법을 적용하여 회전근개 건 파열 영역을 추출한다. 제안된 회전근개 건 파열 영역 추출 방법을 다양한 초음파 회전근개 건 파열 영상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제안된 회전근개 건 파열 영역이 기존의 추출 방법보다 TPR 값이 증가되어 회전근개 건 파열 분석에 효과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원위 요골 골절의 수장측 금속판 고정술 후 발생한 신전건 활막염에 대한 초음파를 이용한 진단: 증례 보고 (Ultrasonographic Diagnosis of Extensor Tenosynovitis Caused by Dorsal Screw Prominence after Volar Plate Fixation of Distal Radius Fracture: Case Report)

  • 임태강;김상열;강홍제;하대호
    •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60-64
    • /
    • 2013
  • 원위 요골 골절에 대한 수장부 금속판 고정술이 많이 사용되면서, 합병증으로서, 원위 요골 배측 피질골을 관통한 나사못으로 인해 신전건 활막염이나 파열이 발생할 수 있슴이 보고된 바 있다. 그러나, 나사못에 의한 배측 피질골의 관통여부를 표준 방사선 촬영만으로 정확히 평가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저자들은 수장측 금속판 고정술 후 발생한 신전건 건활막염 및 부분 파열이 의심된 환자에 대하여 수술 전 초음파를 이용하여 나사못에 의한 건활막염 및 활막 종괴 형성 소견을 효과적으로 진단하고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여 좋은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