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초연(超然)

Search Result 353,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The Direction of the Progress and the Scheme of Reorganization of the AToN-based Hyperconnected Infrastructure (만물지능통신 기반·초연결 인프라의 발전 방향과 재편 구도)

  • Ha, W.G.;Choi, M.S.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7 no.5
    • /
    • pp.134-149
    • /
    • 2012
  • 본고에서는 차세대 스마트 인프라 준거틀로서 '만물지능통신 기반 초연결 인프라' 개념을 제시한다. 동 개념이 대두하게 된 근거 기반으로 기술적 관점에서 스마트 기술혁신과 인프라 혁신 간의 상호관계성, 문명사적 관점에서 정보 교통 에너지 인프라 간의 공진화 과정을 거시적으로 개관한다. 그리고 초연결 클라우드 컴퓨팅, 만물지능통신망과의 선순환 관계에서 기존 인프라의 고도화와 동시에 정전교(情電交) 초연결 인프라의 탄생과 발전 방향을 모색한다. 또한 EU의 중장기 R&D 전략의 공통성과 도출을 위한 분산화된 협업시스템으로 부상하고 있는 SoS(System of Systems) 모델을 초연결 인프라의 프로토타입으로 검토한다. 이러한 작업을 기반으로 '물리적 인프라의 추상화' 그리고 '추상화한 인프라의 현실 세계로의 실체화'라는 관점에서 초연결 인프라로의 재편 메커니즘을 분석하고, 초연결 인프라를 지향한 공통 플랫폼과 그 실현을 위한 기술적 정책적 함의를 도출한다.

  • PDF

An Analysis of the Layered Architecture of the AToN-based Hyper Connectivity Industry Focusing on Japan's Strategic Technology Roadmap 2025 (만물지능통신 기반 초연결 산업의 계층구조 분석 -일본 경제산업성 기술전략맵을 중심으로-)

  • Ha, W.G.;Choi, M.S.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7 no.4
    • /
    • pp.40-53
    • /
    • 2012
  • 통신은 기본적으로 사람과 사람 간의 의사소통에서 출발한다. 그러나 만물지능통신은 통신의 대상을 사람-사물-공간-시스템으로 확장한 초연결(hyperconnectivity) 네트워킹을 전제로 한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만물지능통신 기반의 초연결 산업 구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스마트 혁명 이후의 IT 산업 분석틀로 부상한 CPNT(Content, Platform, Network, Terminal) 계층구조를 적용함과 동시에 초연결 산업의 준거틀로 일본 경제산업성 기술전략맵에 포함된 미래 사회의 삽화 내용을 원용했다. 동 기술전략맵에서는 2025년을 실현연도로 상정하여, 기술이 개발된 미래 생활환경을 삽화를 통하여 기술하고 있다. 동 삽화의 구도와 내용을 분석한 결과 초연결 산업은 사람-사물-공간-시스템 간의 초연결로 특징지을 수 있고, 콘텐츠-플랫폼-단말-네트워크 계층구조로 재구성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작업을 통하여 초연결 산업 생태계의 기본 구도로서 천지인(天地人) 모델을 제안하였다.

  • PDF

Hyper-connected Intelligent Platform Technology (초연결 지능 플랫폼 기술)

  • Kwon, D.S.;Hwang, S.K.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32 no.1
    • /
    • pp.1-12
    • /
    • 2017
  • 본고에서는 최근 이슈화된 인공지능, 산업 간 경계를 허물어 새로운 산업을 유발하는 제4차 산업혁명, 모든 사물을 연결시키는 초연결 사물인터넷 등을 실현하기 위한 미래 네트워크의 연구개발 동향과 전망을 소개하였다. 모든 사물과 사람들이 디지털 정보화되고, 그 초 대규모 연결 주체간 초 연결성과 그 연결로 생성되는 무한대의 지식정보 서비스가 중심이 되는 초연결 지식정보화 사회 실현을 위한 기술적 특징을 소개하였다. 미래의 초연결 지능정보사회에서 예상되는 초 대규모의 연결성, 정보의 홍수, 초연결에 따른 상호복잡도의 증가, 초연결로 인한 정보화 역기능 문제점과 기술 방향성을 정리하였다.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초연결 지능 플랫폼의 개념, 참조 모델, 그리고 세부적인 기술적 문제점과 도전방향에 대해 설명하였다.

  • PDF

2030: a Day in the Life of a Designer in All Things on Ambient Network-based World (만물지능통신 기반·초연결 시대의 2030년 시나리오와 함의 도출)

  • Ha, W.G.;Choi, M.S.;Hong, Y.K.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8 no.1
    • /
    • pp.121-136
    • /
    • 2013
  •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이 M2M의 궁극적 비전이라면, 만물지능통신 기반 초연결은 사람 사물 공간 그리고 시스템 간에 끊김 없는 콘텐츠를 기반으로 인식 판단 처리가 이루어지는 초연결(hyper-connectivity) 인터넷의 궁극적인 비전이라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인터넷의 기본 이념인 '모든 것들 간의 상호연결'이 실현되는 2030년 어느 날의 하루를 시나리오로 소개한다. 그리고 동 시나리오에서는 지구 규모로 모든 컴퓨터, 기기, 데이터, 콘텐츠가 상호작용하는 초연결 디지털 세상의 진면목을 보여준다. 이 과정에서 미래 만물지능통신 기반 초연결 관련 기술, 사회생활 등을 엿볼 수 있는 용어를 각 상황별로 쉽게 설명함으로써 시나리오 이해와 가독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분석을 토대로 사람의 생각, 기술 그리고 사회를 분산적이고 유기적으로 상호 연결할 수 있다는 월드와이드웹(WWW)의 담대한 비전을 포괄하는 초연결 혁명 시대의 함의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 PDF

초연결 환경에서 보안위협 대응을 위한 사물인터넷(IoT) 보안 기술 연구

  • Kim, Jeong-Nyeo;Jin, Seung-Heo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4 no.3
    • /
    • pp.57-64
    • /
    • 2017
  • 각종 사물에 네트워크 기능이 탑재되어 초연결 통신으로 연결되는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기술이 급속히 확산됨에 따라, 최근에는 그 사물 자체가 지능화되어 지능형 스마트 사물로 진화하고 있다. 기기들이 자신을 구별할 수 있는 유일한 IP를 보유하면서 사물인터넷에 연결되어, 모든 기기가 해킹의 대상이 될 수 있어 보안적인 측면에서도 취약하게 되었다. 본고에서는 최근들어 급증하는 초연결 네트워크 환경과 사물인터넷에 대하여 알아보고, 초연결 환경에서 보안 위협에 대응하는 사물인터넷 보안 기술에 대한 연구와 표준화 동향, 그리고 사물인터넷 보안 위협에 대응하는 보안 기술의 방향을 알아본다.

초연결 사회를 위한 oneM2M 표준화 기술 동향

  • Choe, Hwan-Seok;Lee, U-Seop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1 no.4
    • /
    • pp.37-43
    • /
    • 2014
  • 미래에는 사람과 사물, 데이터, 프로세스 등 모든 것이 모바일을 통해 인터넷에 연결되어 정보를 주고 받는 초연결 사회가 될 것이며 이 초연결 사회의 기본이 되는 기술, 서비스는 사물인터넷이다. 본고에서는 미래의 초연결 사회의 기반 기술이 되는 사물인터넷 기술에 대한 국제 표준화 작업을 수행하고 있는 oneM2M의 배경, 조직 구성 및 각 워킹 그룹별 표준화 기술 동향을 알아본다.

The Origin and Nature of the Hyper-Connected Society in the light of Political Economy (초연결사회의 정치경제학적 기원과 성격)

  • Park, Ji-Ung
    • 사회경제평론
    • /
    • v.31 no.3
    • /
    • pp.271-305
    • /
    • 2018
  • Today we live in the Hyper-Connected Society. The Hyper-Connected Society is the network society connected with hyper-connectivity. We know that this technical substructure of hyper-connectivity is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is paper, I want to find the origin of the Hyper-Connected Society by clarifying the pattern of the staged development of industrial revolution. The variation pattern of technical revolution including industrial revolution can be summarized very simply as follows; (1) technical revolution ${\rightarrow}$ network revolution, (2) network revolution화 ${\rightarrow}$ the variation of social network, material revolution${\rightarrow}$spiritual revolution. The pattern of the staged development of industrial revolution is as follows. Therefore, in the aspects of network revolution, the origin of the Hyper-Connected Society is the railroad revolution in USA after 1840.

A Study on the Direction of Christian education in the Age of hyper connectivity Society (초연결성 사회에서의 기독교교육 방향 모색)

  • Chung, Ha Eun
    •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 /
    • v.71
    • /
    • pp.371-399
    • /
    • 2022
  • The era we are living in is an era of hyperconnectivity where boundaries and limitations of each field and domain disappear and organically converge and share with each other. Christians living in the age of hyperconnectivity are losing their direction of life due to various divisions and severances, such as holiness and secularity, church and world, soul and body, faith and life, and humans and nature. However, in a hyperconnected society, it is necessary to break free from division and conflict caused by disconnection, and realize the kingdom of God through connection and solidarity between humans, nature, and the world. In order to explore the direction of Christian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era of hyperconnectivity and the principle of solidarity, which is the core of hyperconnectivity. The theological meaning of solidarity was examined in terms of humans, nature, and the world, and based on this understanding, the direction of Christian education in the era of hyperconnectivity was sought. It can be summarized as having a religious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of Homoconnectus with a pericoretic mode of existence. Third, education on the kingdom of justice and peace where we can live together in a solidarity relationship can be summarized.

Cloud Computing based NFV Technology Trends for the Hyper-Connected Communications Infrastructure (초연결 통신인프라를 위한 클라우드 기반 NFV 기술동향)

  • Hwang, J.Y.;Hong, S.B.;Ryu, H.Y.;Yang, S.H.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31 no.1
    • /
    • pp.86-98
    • /
    • 2016
  • 초연결 사회는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ICT)를 바탕으로 하는 만물인터넷 또는 사물인터넷으로 사람, 프로세스, 데이터, 사물이 서로 연결되어 지능화된 통신인프라를 통해 새로운 가치와 혁신의 창출이 가능해지는 사회로 변화하게 된다. 이러한 초연결 사회의 유무선 통신서비스를 단일 통신인프라에서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분산된 네트워크 장비들을 소프트웨어적으로 용이하게 통합운영 관리할 수 있는 Software Defined Networking(SDN) 기술과 컴퓨팅, 서버 스토리지 및 네트워크 자원을 가상화하고, 오픈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소프트웨어적으로 네트워크 기능제어가 가능한 Network Functions Virtualization(NFV) 기술에 의한 지능형 융합 통신인프라가 매우 중요하다. 본고에서는 초연결 통신인프라를 위한 클라우드 컴퓨팅 가상화 기술, NFV 기술동향 및 NFV Use Cases에 대한 내용을 통하여 향후 초연결 서비스 제공을 위한 통신인프라 구축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초연결사회 인프라 구축에서의 지식화 메커니즘

  • Kim, Yeong-Jun;Lee, Sang-Heum;Jeong, Gwang-Hyeon;Jeong, Il-Yeong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1 no.4
    • /
    • pp.28-36
    • /
    • 2014
  • 초연결사회 인프라는 정보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효율적인 정보의 틀을 넘어 지식을 제공하는 기능의 시스템적인 접근이 요구된다. 즉 모든 사물을 비롯하여 인간이 접할 수 있는 모든 무형의 정보, 방법 및 제반 수단까지도 초연결사회에서 독립적인 객체로서 역할을 하여 사람에게 필요한 지식을 제공하는 메커니즘이 요구될 것이다. 본 논문은 향후 초연결사회로 진입을 위한 IoT 환경에서 사물들과 관련된 사항들을 어떻게 지식화할 것인가에 대한 메커니즘의 기술적인 동향을 분석하고, 선행된 여러 국제 프로젝트에서 어떻게 사물들의 정보를 이용하여 지식화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하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나아가 구체적인 분석으로, 지능적인 초연결사회 인프라를 위한 오브젝트들의 지식화를 위한 시맨틱 온톨로지 모델링, 이를 이용한 유즈케이스를 기술한다.